종합(백인우월 1).jpg

호주 백인우월주의 집단 ‘Antipodean Resistance’가 타스마니아 대학교 호바트 캠퍼스 표지판 곳곳에 동성결혼 합법화 반대 포스터를 부착,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사진은 타스마니아 대학교에서 발견된 포스터 중 하나.

 

타스마니아대학교 곳곳에 ‘강한 문구’의 비방 포스터 다수 부착

멜번 대학서 중국 학생 비난했던 ‘Antipodean Resistance’ 소행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찬반 여부를 묻는 우편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동성결혼을 비방하는 인종혐오성 문구의 캠페인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스스로를 “당신이 기다리던 히틀러”라고 묘사하는 호주 백인우월주의 단체 ‘Antipodean Resistance’가 나치(Nazi)의 상징 ‘스와스티카’(swastikas) 이미지와 함께 동성결혼 비방 메시지가 담긴 스티커를 타스마니아대학교 호바트 캠퍼스 곳곳에 붙여놓은 것이 목격됐다고 금주 월요일(25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또 다른 포스터에는 게이 및 트랜스젠더의 높은 자살률에 대한 정보가 담기기도 했으며, 선글라스를 착용한 젊은 히틀러의 사진과 함께 “국가사회주의가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다”(National Socialism or nothing) 라는 문구가 적혀 있기도 했다.

지난 일요일(24일) 밤, 이 포스터들이 제거되자 이들은 다시 자신들의 트위터 페이지에 해당 포스터를 게재하고 반대 활동을 이어갔다.

 

종합(백인우월 2).jpg

‘Antipodean Resistance’의 웹사이트에는 얼굴에 해골 이미지를 합성한 남성 7명이 나치(Nazi) 기를 들고 나치 식의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의 사진 등이 게재되어 있다. 빅토리아(Victoria) 주의 한 산악지대에서 하이킹을 하는 이 단체 회원들(사진).

 

‘Antipodean Resistance’는 “불치병에 걸린 나라를 우려하는 젊은 집단들의 움직임”이라며 해당 캠페인을 정당화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들은 동성결혼을 “도덕적으로 타락한 진보주의”로 칭하고, “이것이 남북아메리카를 일군 백인들의 업적을 망치고 나라를 붕괴시키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그러나 백인들이 존재하고 이들의 심장에 용기가 남아있는 한 우리 땅을 다시 되찾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Antipodean Resistance’의 웹사이트에는 얼굴에 해골 이미지를 합성한 남성 6명이 나치 기를 들고 나치 식의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의 사진 등이 게재되어 있다.

이들은 과거에도 외국인 혐오주의를 표방하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이들의 웹사이트에 “상당수의 유학생들이 학업을 마치기 전 호주 시민권을 취득하고 있어 호주 학생들이 일자리를 잃어가고 있다”며 “돈벌이 수단으로 해외 학생들을 받아들이는 각 대학교에 직접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ABC 방송의 보도에 따르면 ‘Antipodean Resistance’는 빅토리아(Victoria) 주 및 퀸즐랜드 선샤인코스트(Sunshine Coast)에 급진주의 활동 장소를 설치했다고 주장했으며, “모든 주에서 활동이 가능하게 됐다. 호주 전역에서 단체에 가입할 수 있다”라고도 덧붙였다.

 

종합(백인우월 3).jpg

타스매니아 대학교의 표지판에 부쳐진 ‘Antipodean Resistance’의 스와스티카 스티커.

 

지난 7월 이 단체는 멜번의 두 대학에 중국인을 비방하는 포스터를 게재하기도 했다(본지 1253호 보도). 이후 중국 미디어에 자신들의 활동이 보도되자, 최근 자신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유명세를 타고 있는 것을 자랑하기도 했다.

한편 에릭 아벳츠(Eric Abetz) 연방 상원의원은 해당 동성결혼 반대 포스터에 대해 “역겨운 메시지”라고 비난하면서 “정치적으로 논의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백인우월 1).jpg (File Size:58.8KB/Download:23)
  2. 종합(백인우월 2).jpg (File Size:87.4KB/Download:26)
  3. 종합(백인우월 3).jpg (File Size:35.1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51 호주 소셜 미디어의 힘... WA의 핑크빛 호수, 중국 관광객 넘쳐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50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 ‘방문할 만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파리 꼽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9 호주 63개 국가 대상 ‘디지털 경쟁력’... 호주 14위로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8 호주 생존율 10% 미만의 췌장암, ‘호주인의 치명적 질병’ 중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7 호주 On the move... 국내이주로 인구 성장 혜택 받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6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임대료, 공급 부족으로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5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주택거래 활발했던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4 뉴질랜드 환경/화산/분출/폭발; 바닷속 뉴질랜드 화산 분출구 화이트 섬 일요시사 20.01.23.
4843 호주 부모로부터의 독립... 대학 새내기들 위한 주거지 마련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4842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호주 통화정책 ·경제 지표에도 직격탄 톱뉴스 20.01.21.
4841 호주 호주오픈 테니스, 산불 때문에 이틀 연속 예선 진행 차질 톱뉴스 20.01.21.
4840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직접 도울 수 있는 방법은? 톱뉴스 20.01.21.
4839 호주 호주 산불 사태, ‘기후 난민’ 국가 될 수도… 기상악화에 집 포기 톱뉴스 20.01.21.
4838 호주 올해부터 적용되는 새 규정들 톱뉴스 20.01.21.
4837 호주 호주 사상 최악 산불 피해 성금 2억 달러 돌파 톱뉴스 20.01.21.
4836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호우 ‘강타’ 톱뉴스 20.01.21.
4835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폭우에 돌풍…캔버라 ‘골프공 우박’ 강타 톱뉴스 20.01.21.
4834 호주 “수개월 이어진 최악의 산불, 지울 수 없는 상처 남겼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33 호주 올 1월 1일부터 변경된 정책과 규정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32 호주 “전 세계는 지금 호주의 커피 문화에 매료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31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공항으로 가는 새 도로 2020년 착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30 호주 2020 호주 부동산 시장 전망-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29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가장 저렴하게 거래된 주택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28 호주 2019년 호주 주택 가격, 2.3% 성장... 시드니-멜번이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4827 호주 역대 최악의 호주 산불 사태, 그 피해 규모는...? 톱뉴스 20.01.14.
4826 호주 호주광산재벌 ‘통 큰 기부’...포리스트 회장 산불성금 7천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4825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성금’ 세계적 유명인사 기부 행렬…디캐프리오 400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4824 호주 페더러·윌리엄스·나달 등 호주 산불 피해 돕기 자선 경기 출전 톱뉴스 20.01.14.
4823 호주 노스 파라마타 맥도날드 터에 아파트 350채 건립 추진 톱뉴스 20.01.14.
4822 호주 ‘산불’ 불똥 직격탄 맞은 스콧 모리슨…지지율 급락 톱뉴스 20.01.14.
4821 호주 호주 사법당국 “가짜 산불 성금 모금 행위 엄단” 톱뉴스 20.01.14.
4820 호주 산불피해 돕기 초대형 자선 공연 ‘Fire Fight Australia’ 톱뉴스 20.01.14.
4819 호주 시드니 경전철, 개통 3시간 만에 기술적 결함으로 멈춰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8 호주 또 하나의 럭셔리 기차 여행, ‘Great Southern’ 서비스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7 호주 한류의 힘... 한국에서 시작된 ‘먹방’, 호주인들에게도 ‘먹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6 호주 호주 연구진의 시도, 알츠하이머 환자에 희망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5 호주 호주 원주민들의 성역, 울룰루만 있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4 호주 호주 방문 인도 여행자 급증... 순수 ‘관광’ 비율은 낮은 편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3 호주 자동차 페트롤 가격, 가장 비싼 소매업체는 ‘Coles Express’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2 호주 시드니-멜번 고급 부동산 가격,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1 호주 2020년 호주의 실내 인테리어 트렌드는 ‘자연과의 통합’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48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드럼모인 소재 타운하우스, 입찰 경쟁으로 낙찰가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8.
4809 호주 새해맞이 불꽃놀이로 번지는 최악의 산불 불똥 톱뉴스 19.12.17.
4808 호주 韓-호주 외교·국방장관 "北 긴장고조 중단·대화재개 촉구" 톱뉴스 19.12.17.
4807 호주 연방정부 18개 부처, 14개로 축소 톱뉴스 19.12.17.
4806 호주 노동당, 석탄 수출 '반대' 정책 급선회 시사 톱뉴스 19.12.17.
4805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4804 호주 모리슨 총리 “기후변화, 산불 원인 제공” 첫 시인 톱뉴스 19.12.17.
4803 호주 NSW 주 산불 사태, 주말까지 ‘진행형’ 톱뉴스 19.12.17.
4802 호주 호주 의학계 "시드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비상 사태’" 강력 경고 톱뉴스 19.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