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육수준 1).jpg

주요 과목 학업성취도 부문에서 호주 외곽지역 학생들이 도시 학생들보다 최대 2년이 뒤쳐진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호주 교원노조(AEU)는 공립학교에 대한 정부 지원금 인상을 강하게 요청했다.

 

내륙 지방 지역 학생들의 영어-수리능력, 도시 학생에 2년 뒤쳐져

호주 교원노조 보고서... “정부 지원금 및 구조적 문제 해결” 촉구

 

지방 지역 학생들이 주요 과목 학업성취도 부문에서 도시 학생들보다 최대 2년이 뒤쳐진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정부 지원금과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향후 이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고 금주 월요일(2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호주 교원노조(Australian Education Union, 이하 AEU)는 지방(regional), 농촌(rural) 및 먼 외곽지역(remote) 학생들의 NAPLAN(The Natioanal Assessment Program – Literacy and Numeracy) 및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성적을 분석한 결과, 각 시험의 영어와 수학 부문에서 도시 학교 학생들에 비해 2년이 뒤처져 있음을 확인했다.

전국 학교 18만5천명의 교장 및 교사와 기타 교육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AEU의 코레나 헤이소프(Correna Haythorpe) 위원장은 “공립학교 87%가 2023년까지 턴불(Malcolm Turnbull) 정부의 새 학교재정지원 모델인 ‘곤스키2.0’(Gonski 2.0) 정책의 자금수혜 기준 자격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로 인해 지역 간 학업능력 격차는 더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헤이소프 위원장은 이어 “호주 전체 70%의 아이들이 공립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며 “이는 복합적으로 국가 전체의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NSW 주 교사연합(NSW Teachers Federation councillor)의 게 마스터스(Gae Masters) 위원은 “학교 지원금 자격기준 미달에 대한 위험성이 현재 직면한 문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NSW 북부 소재 카이오글 하이스쿨(Kyogle High School) 교장이기도 한 그녀는 카이오글 고등학교 학생들도 NAPLAN 시험에서 평균 이하의 성적을 기록한 것을 우려하며, “학교 커리큘럼 변화 및 교사들의 교수능력 향상과 젊은 직원 채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스터스 위원은 “그러나 자원이 부족하게 되면 학생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해줄 수 없고,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비용도 감당할 수 없다”면서 “있는 것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필요한 최소 금액도 모자라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녀의 추산에 따르면 외곽지역 학교의 경우 도시 학교보다 교사 한 사람당 1천 달러가 더 많은 1천5백 달러가 필요하다.

AEU는 이번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지역 간 학교 격차를 줄일 몇 가지 방안도 제안했다. 여기에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적 직원채용 계획, △교사의 초기 교육,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도서민(Torres Strait Islander) 아이들의 성적 향상에 대한 보다 많은 집중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부는 AEU가 제출한 해당 보고서를 검토 중이며, 최종 보고 및 제안서는 올해 말 마무리될 예정이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교육수준 1).jpg (File Size:32.2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01 호주 시드니 파란 하늘 사라졌다... 산불 스모그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0 호주 호주 의학계 "시드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비상 사태’" 강력 경고 톱뉴스 19.12.17.
1999 호주 NSW 주 산불 사태, 주말까지 ‘진행형’ 톱뉴스 19.12.17.
1998 호주 모리슨 총리 “기후변화, 산불 원인 제공” 첫 시인 톱뉴스 19.12.17.
1997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1996 호주 노동당, 석탄 수출 '반대' 정책 급선회 시사 톱뉴스 19.12.17.
1995 호주 연방정부 18개 부처, 14개로 축소 톱뉴스 19.12.17.
1994 호주 韓-호주 외교·국방장관 "北 긴장고조 중단·대화재개 촉구" 톱뉴스 19.12.17.
1993 호주 새해맞이 불꽃놀이로 번지는 최악의 산불 불똥 톱뉴스 19.12.17.
199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드럼모인 소재 타운하우스, 입찰 경쟁으로 낙찰가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8.
1991 호주 2020년 호주의 실내 인테리어 트렌드는 ‘자연과의 통합’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90 호주 시드니-멜번 고급 부동산 가격,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9 호주 자동차 페트롤 가격, 가장 비싼 소매업체는 ‘Coles Express’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8 호주 호주 방문 인도 여행자 급증... 순수 ‘관광’ 비율은 낮은 편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7 호주 호주 원주민들의 성역, 울룰루만 있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6 호주 호주 연구진의 시도, 알츠하이머 환자에 희망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5 호주 한류의 힘... 한국에서 시작된 ‘먹방’, 호주인들에게도 ‘먹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4 호주 또 하나의 럭셔리 기차 여행, ‘Great Southern’ 서비스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3 호주 시드니 경전철, 개통 3시간 만에 기술적 결함으로 멈춰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
1982 호주 산불피해 돕기 초대형 자선 공연 ‘Fire Fight Australia’ 톱뉴스 20.01.14.
1981 호주 호주 사법당국 “가짜 산불 성금 모금 행위 엄단” 톱뉴스 20.01.14.
1980 호주 ‘산불’ 불똥 직격탄 맞은 스콧 모리슨…지지율 급락 톱뉴스 20.01.14.
1979 호주 노스 파라마타 맥도날드 터에 아파트 350채 건립 추진 톱뉴스 20.01.14.
1978 호주 페더러·윌리엄스·나달 등 호주 산불 피해 돕기 자선 경기 출전 톱뉴스 20.01.14.
1977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성금’ 세계적 유명인사 기부 행렬…디캐프리오 400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1976 호주 호주광산재벌 ‘통 큰 기부’...포리스트 회장 산불성금 7천만 달러 쾌척 톱뉴스 20.01.14.
1975 호주 역대 최악의 호주 산불 사태, 그 피해 규모는...? 톱뉴스 20.01.14.
1974 호주 2019년 호주 주택 가격, 2.3% 성장... 시드니-멜번이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3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가장 저렴하게 거래된 주택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2 호주 2020 호주 부동산 시장 전망-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1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공항으로 가는 새 도로 2020년 착공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70 호주 “전 세계는 지금 호주의 커피 문화에 매료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9 호주 올 1월 1일부터 변경된 정책과 규정들,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8 호주 “수개월 이어진 최악의 산불, 지울 수 없는 상처 남겼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1967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폭우에 돌풍…캔버라 ‘골프공 우박’ 강타 톱뉴스 20.01.21.
1966 호주 산불피해 호주동남부, 집중 호우 ‘강타’ 톱뉴스 20.01.21.
1965 호주 호주 사상 최악 산불 피해 성금 2억 달러 돌파 톱뉴스 20.01.21.
1964 호주 올해부터 적용되는 새 규정들 톱뉴스 20.01.21.
1963 호주 호주 산불 사태, ‘기후 난민’ 국가 될 수도… 기상악화에 집 포기 톱뉴스 20.01.21.
1962 호주 호주 산불 피해 직접 도울 수 있는 방법은? 톱뉴스 20.01.21.
1961 호주 호주오픈 테니스, 산불 때문에 이틀 연속 예선 진행 차질 톱뉴스 20.01.21.
1960 호주 역대 최악의 산불, 호주 통화정책 ·경제 지표에도 직격탄 톱뉴스 20.01.21.
1959 호주 부모로부터의 독립... 대학 새내기들 위한 주거지 마련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8 뉴질랜드 환경/화산/분출/폭발; 바닷속 뉴질랜드 화산 분출구 화이트 섬 일요시사 20.01.23.
1957 호주 2019 부동산 시장- 주택거래 활발했던 상위 지역(suburb)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6 호주 시드니 지역 아파트 임대료, 공급 부족으로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5 호주 On the move... 국내이주로 인구 성장 혜택 받는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4 호주 생존율 10% 미만의 췌장암, ‘호주인의 치명적 질병’ 중 하나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3 호주 63개 국가 대상 ‘디지털 경쟁력’... 호주 14위로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1952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 ‘방문할 만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파리 꼽아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