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회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참가자들의 국가별 분포도는 14회 때와 비슷하다. 미국과 캐나다, 남미,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의 44개국에서 참가신청서가 도착했다. 물론 러시아 참가자의 신청서가 압도적으로 많고(216명) 다음으로 아시아의 음악 강국인 한국(89명)과 중국(54명), 일본(38명)의 신청서가 많다. 유럽연합국 가운데에서는 주로 프랑스(16명)와 독일(12명), 이탈리아(12명), 스페인(6명) 연주자들이 참가를 신청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14명)와 그루지야(3명), 벨라루스(9명), 카자흐스탄(7명), 라트비아(6명) 연주자도 콩쿠르에 참가한다.


이와 관련 게르기예프 총감독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번 콩쿠르에서는 한국과 중국 연주자들 못지않게 러시아 연주자들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다. 그런데 한국과 중국, 일본의 젊은 음악가들 수십 명이 유럽과 특히 미국에서 수학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니 그들 중 유수의 미국 및 유럽 음대 졸업생이나 재학생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문마다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나라가 있다. 첼로 부문에서는 프랑스가, 성악 부문에서는 한국이 그랬다. 그래도 최근 15~20년 사이 세계 주요 극장에서 러시아 성악가들이 보여주는 존재감에 이견이 없는 만큼, 러시아 성악가들도 이번 콩쿠르에서 좋은 실력을 보여주리라 기대한다. 제15회 차이콥스키 콩쿠르는 현재의 세계 음악계를 보여주는 거울이 될 것이다."


< 사진: 모스크바프레스, 기사:모스크바프레스 협약사-러시아포커스 제공>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3 러시아 “美, 北의 러시아판 사드 기술 구입 비난 의도” file 뉴스로_USA 19.01.23.
172 러시아 “미국의 新MD전략 세계 안정에 도전” 러통신 file 뉴스로_USA 19.01.29.
171 러시아 ’절망한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러언론 file 뉴스로_USA 19.02.01.
170 러시아 “러일전쟁시 독도도 공격대상” 러통신 file 뉴스로_USA 19.02.02.
169 러시아 “북한에 비핵화 대가로 원전건설 제안 터무니없어” 주북한 러시아대사, file 뉴스로_USA 19.02.04.
168 러시아 “러시아-중국이 긴밀하다고?” 뉴스로_USA 19.02.04.
167 러시아 ‘미국은 러시아와의 미사일협정을 파기할까?’ 뉴스로_USA 19.02.08.
166 러시아 “국가예산으로 조선소 지원하는 러시아 정부” 뉴스로_USA 19.02.08.
165 러시아 ‘핵전쟁위협은 현재진행형’ 러 일간지 뉴스로_USA 19.02.08.
164 러시아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두개의 시각’ file 뉴스로_USA 19.02.10.
163 러시아 “동해명칭 모든 연안국가 고려해야” 러전문가 뉴스로_USA 19.02.12.
162 러시아 ‘북한, 미국 기만 증거 없어’ 러 전문가 file 뉴스로_USA 19.02.14.
161 러시아 ‘악마이미지 벗는 북한과 미국’ file 뉴스로_USA 19.02.15.
160 러시아 ‘북한, 日의 독도 영유권 주장 비난’ 인터팍스통신 뉴스로_USA 19.02.17.
159 러시아 “러시아, 비핵화진전 대가로 대북제재 부분적 완화” 주장 뉴스로_USA 19.02.24.
158 러시아 ‘타협점 찾아가는 미국과 북한’ 뉴스로_USA 19.02.24.
157 러시아 “북극해 항로, 실크로드 못지않아” 러 정치가 file 뉴스로_USA 19.02.28.
156 러시아 러시아정교회 키릴 총주교 북한방문 뉴스로_USA 19.03.07.
155 러시아 ‘북미결렬 중국이 가장 만족’ 뉴스로_USA 19.03.07.
154 러시아 러시아, 북한에 밀 2천톤 이상 무상지원 file 뉴스로_USA 19.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