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건국 550주년을 기념하는 건국절행사가 수도 아스타나에서 대대적으로 개최되었다. 

  11일 부터 3일간 계속된 기념행사 중 주요 행사로는 나자르바예프 국립대학에서 열린 '카자흐스탄 고대국가의 역사' 컨퍼런스와  국립국장에서 열린 기념 공연 등이다. 

  역사 컨퍼런스는 20개국에서 온 46명의 학자를 비롯해 국내 전문가와 정부 당국자 등 1천여 명이 참가하였다. 

  이어진 기념 공연에도 배우, 스태프 등 2천500명이 동원된 대규모 행사로 치루어졌다. 

  또 행사 기간에 국립박물관 마당에는 50채의 '유르트'(유목민이 쓰는 천막)가 설치되고 각지에서 온 100여 명의 금속 및 목공예 장인들이 관람객들에게 전통생활방식을 보여주고 체험기회도 제공하였다.   

  카자흐스탄은  1465~1847년까지 지금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북부를 통치하던 왕조국가를  자신들의 국가기원으로 보고 있다.   이 고대왕국은 자니벡 칸과 케레이 칸이 건립했으며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유목민족 국가였다.

  이후 청왕조에 쫒긴 중가르 인들의 서진으로 인해 카자흐인들이 생존에 위협을 느끼고 러시아황제에게 보호를 요청하는 사건을 계기로 러시아 제국(1721~1917)의 영향권 밑으로 들어갔다.  

  카자흐스탄이 고대왕국의 건립을 기념하는 것은 올해가 처음으로써 작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이 계기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자국 청년 포럼에서 나자르바예프대통령의 치적을  추켜세우려는 의도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예전에는 국가가 없던 땅에 나라를 세웠다"고 말했으나 이 말이 카자흐인들에게는 그 이전에는 독립국 지위나 역사를 가진 적이 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며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이 해프닝 후 나자르바예프는 그러면서 선조의 건국이념과 그 뜻을 기려 "카자흐스탄 건국 550주년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개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자흐스탄은 전체 인구 중 러시아인들이 21%를 차지하고 있고, 또 소련시절 스탈린 정권의 민족 이주정책으로 인해 고려인 동포를 위시하여 독일, 체첸, 쿠르드 민족 등도 사는 다민족 국가이다. 

  또 대통령 직속기구로 '민족회의'라는 장관급 기구를 두고 각 민족 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민족간 화합을 강조해 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3 러시아 “金위원장 매우 인간적..유머 뛰어나” 러 상원의장 file 뉴스로_USA 18.09.17.
212 러시아 푸틴, 즈베즈다 조선소 방문 눈길 file 뉴스로_USA 18.09.20.
211 러시아 “동방경제포럼 동북아 협력 이정표” 러 부총리 file 뉴스로_USA 18.09.22.
210 러시아 “평양선언문 획기적” 러상원 국제위원장 뉴스로_USA 18.09.23.
209 러시아 “유라시아 여성포럼 남북대화 협조” 러상원의장 뉴스로_USA 18.09.23.
208 러시아 “남북, 강대국 눈치안보고 성과도출” 러 상원위원장 file 뉴스로_USA 18.09.24.
207 러시아 ‘전쟁은 끝나는 것인가?’ 러특파원 file 뉴스로_USA 18.09.25.
206 러시아 ‘평화를 사랑하는 김정은’ 러매거진 file 뉴스로_USA 18.09.30.
205 러시아 ‘전쟁이 없는 시대’ 러 RBC통신 file 뉴스로_USA 18.10.03.
204 러시아 타스통신 文대통령 유엔기조연설 보도 눈길 뉴스로_USA 18.10.03.
203 러시아 러, UN안보리 한반도평화 구축제안 발의 뉴스로_USA 18.10.03.
202 러시아 러 외교장관, UN ‘한반도 비핵화 지지 결의안’ 제안 file 뉴스로_USA 18.10.05.
201 러시아 “북 비핵화조치 대북제재 해제로 응답” 러 UN안보리 제의 뉴스로_USA 18.10.05.
200 러시아 ‘UN총회 이란, 북한, 시리아 집중’ 러 네자비시마야가제타 file 뉴스로_USA 18.10.05.
199 러시아 ‘남북대화를 기뻐하는 러시아’ 러 상원의장 file 뉴스로_USA 18.10.13.
198 러시아 대북제재 지목 러선박들 韓항구 자유롭게 운항 file 뉴스로_USA 18.10.13.
197 러시아 ‘미중 분쟁의 인질이 된 한반도’ 러신문 file 뉴스로_USA 18.10.23.
196 러시아 ‘김정은 러방문은 제재 완화 위한 보증’ 러통신 file 뉴스로_USA 18.10.23.
195 러시아 “북러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 논의중” 러 대통령실 뉴스로_USA 18.10.26.
194 러시아 ‘한국은 화해 미국은 강경’ 대북 엇박자 뉴스로_USA 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