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애틀랜타문학상에 90여 작품 응모…11월12일 시상식 거행
심사위원들 “대상을 뽑지 못해…다양한 표현방법 아쉬워”


 

애틀랜타문학회(회장 안신영)가 애틀랜타 한인들의 문학 창작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실시한 ‘제2회 애틀랜타 문학상’의 수상작을 발표했다.

 

문학회는 지난 9월23일 수필부문 17편과 시부문 72편 등 총 89편을 심사한 결과 대상이 없이 수필부문 최우수상에 김수린씨의 <기억의 굴레>를, 시부문 최우수상에는 정미선씨의 <해변일기>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시부문 우수상에는 이은모씨의 <12월 어느 날에>와 채정림씨의 <아카시아>가 선정됐으며, 장려상에는 조진성씨의 <길>이 뽑혔다.

 
 

김동식 심사위원은 “수필의 경우 내용, 독창성/창의성, 전개방법(기승전결), 내용에서 주는 감동성, 문장력과 문장의 간결성, 논리적 전개와 반증 여부 등을 중심으로 보았고, 시의 경우에는 내용, 독창성/창의성, 메타포(은유), 라임(운율), 시어의 선택, 전개하는 방법, 그 시가 주는 감동성, 압축/간결성 등을 주안점으로 심사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아쉽게도 문학성이라는 점에서 볼 때, 대상을 뽑기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며“그러나 대부분의 작품이 우수했고, 마음 같아선 전부 다 작품상을 드리고 싶은 심정이었다”고 덧붙였다.

 

김문성 심사위원은“많은 분들이 고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해 주셨다”면서“표현 방법이 (대체로) 똑같았다는 것이 아쉬웠다”고 평했다. 그는“다양한 표현법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발표된 시들을 많이 보시면 참고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안신영 회장은“우선 공모전에 참가해 주신 동포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심사위원들의 합심된 마음으로 정해진 룰에 의해 아주 공정하게 심사했다”고 말했다.

 

안 회장은“대상을 여러모로 검토했는데, 좀 더 좋은 작품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대상이 아니더라도 모든 작품들이 좋았다”고 말했다.

 

박홍자 심사위원은“응모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다음에는 되도록이면 1.5세대 차세대들이 더 많이 응모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문학회에 따르면, 작년에 실시된 제1회 문학상에는 수필부문 23편(11명), 시부문 55편(14명)이 응모했는데, 올해 제2회 공모전에는 수필부문 17편(13명), 시부문 72편(18명)이 참여해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수상자들에게는 상패와 상금이 수여되며, 애틀랜타 시문학 제11호에 작품이 게재된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12일(일) 오후 6시 애틀랜타 한인회관에서 열리는 ‘애틀랜타 시문학 제11호’ 출판기념회에서 개최된다.

 


 

클릭시 이미지 새창.

▲9월 23일, 5명의 심사위원들이 제2회 애틀랜타 문학상 응모작품들을 심사하고 있다. 좌로부터 김문성, 김동식, 안신영, 박홍자, 오성수.
  • |
  1. 20170923_132406_s.jpg (File Size:207.4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30 미국 주종근 교수 전시회 ‘Voice’ 리셉션 “신앙고백적 감동의 작품들” 뉴스코리아 17.07.22.
1929 미국 달라스 한인회·캐롤튼 경제개발국 회동 5개 행사 업무 상호 협력 방안 논의 뉴스코리아 17.07.22.
1928 미국 매스터코랄 포트후드 군부대 공연 “감사와 감동 전달해준 합창” 뉴스코리아 17.07.22.
1927 미국 천사들의 합창 ‘월드비전’ 미주 공연 뉴스앤포스트 17.07.22.
1926 미국 캐롤튼 시,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 나선다! KoreaTimesTexas 17.07.22.
1925 미국 박병진 전 주하원, 애틀랜타 연방검사 된다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2.
1924 미국 포트워스 한국여성회, 9월 23일(토) ‘추석 놀이마당 대잔치’ 개최 뉴스코리아 17.07.25.
1923 미국 한미연합회, 8월 26일(토) 연례만찬 개최 뉴스코리아 17.07.25.
1922 미국 제19회 미주체전 외부 후원금, 3만 6천 달러 모금 뉴스코리아 17.07.25.
1921 미국 “미국 정치에 대한 한인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뉴스코리아 17.07.25.
1920 미국 한국전 참전 용사 기념 벤치 3년만에 설치 완료 뉴스코리아 17.07.25.
1919 캐나다 캘거리 한인아트클럽, Beef & Barley Day 행사 퍼레이드에 참가 CN드림 17.07.25.
1918 미국 “한국을 사랑해준 참전용사들 감사합니다”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5.
1917 미국 “너 여기있다” 반말투에 당혹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7.
1916 미국 한국전 참전용사 감사 오찬 …참전용사의 희생은 ‘희망의 씨앗’ KoreaTimesTexas 17.07.28.
1915 미국 팝페라 퀸 이사벨, 도령한복 입고 애국가 부른다! KoreaTimesTexas 17.07.28.
1914 미국 한인 입양아 캠프, 한국음식과 전통가락에 ‘덩실’ KoreaTimesTexas 17.07.28.
1913 미국 코리안페스티벌, 평창과 달라스가 만난다! KoreaTimesTexas 17.07.28.
1912 미국 애틀랜타 공항 ‘너 여기있다’→‘현재위치’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8.
1911 미국 차기 애틀랜타 한인회장 입후보 9월8일까지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