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사관).jpg

호주 언론인 루이스 에반스(Louise Evans)씨의 책 <Passage to Pusan>을 소재로 한국전쟁에서 아들을 잃은 호주인 어머니와 한국인 어머니의 특별한 만남에서 시작되어 3대로 이어진 두 가족의 인연을 담은 전시회가 시드니, 퀸즐랜드에 이어 캔버라에서 마련된다. 사진은 이 전시회 포스터.

 

주호주 한국대사관, ANU에서 ‘부산으로 가는 길’ 전시회 마련

 

한국전쟁이 맺어준 호주와 한국 두 가정의 특별한 인연을 담은 사진전이 시드니 한국문화원에서 선보여 화제를 모은 가운데 세 번째로 캔버라 전시가 마련된다.

주호주 한국대사관은 한국문화원 및 호주국립대 한국연구소와 공동으로 ‘부산으로 가는 길 : 두 가족을 맺어준 특별한 여정’(Passage to Pusan : the journey bridging the relationship of two families) 전시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오는 11월9일부터 17일까지 호주 국립대학교(ANU) ‘Hedley Bull Atrium’에서 열리는 이 전시는 호주 언론인 루이스 에반스(Louise Evans)씨가 집필한 동명의 책(Passage to Pusan)을 소재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호주 군인 빈센트 힐리(Vincent Healy, 빈스)의 무덤을 찾아 1961년 홀로 부산으로 떠난 빈세트의 어머니 텔마 힐리(Thelma Healy)씨의 1만5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여정을 토대로 구성된 것이다.

이 전시는 지난 6월 시드니한국문화원에서 맨 처음 마련,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선사한 바 있으며 두 번째로 퀸즐랜드(Queensland) 샌드게이트(Sandgate) 역사사회박물관에서 개최됐다.

전시는 텔마 힐리 여사의 여행기, 가족사진 및 편지 등 6개의 작품에 담긴 텔마의 한국방문 기록, 한국전 참전용사 미망인 고 김창근 여사 가족과의 공통의 슬픔과 상실감을 계기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두 가족간의 인연과 우정을 소개하고 있다.

캔버라 전시를 마련한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1950년에서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전쟁에서 340명의 호주 군인들이 고귀한 목숨을 희생했다”며 “이번 전시회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이들의 희생을 돌아보고, 감사를 표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으로 가는 길’은 다큐멘터리 영화로도 제작되어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호주 전역 주요 도시에서 연이어 개최된 ‘호주 한국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이번 캔버라 전시회 기간 동안 ANU에서도 상영된다.

전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기간 : 11월9일-11월17일, 월-금요일 오전 8시-오후 6시30분

-장소 : Hedley Bull Atrium,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130 Garran Rd, Acton ACT)

-다큐멘터리 상영 일정 : 1차 / 11월9일(목) 오후 3시30분-5시, Coombs Theatre, ANU( Hedley Bull Atrium 인근). 상영 이후 작가 Louise Evans와의 질의응답 시간 예정. 2차 / 11월13일(월) 오후 4시-5시30분, Coombs Extension, ANU(Coombs Theatre 인근)

-기타 : 전시회 및 다큐멘터리 관람 무료

 

  • |
  1. 종합(대사관).jpg (File Size:54.3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63 뉴질랜드 오클랜드 시내 아파트에 한국인 여성 감금 주장, 영사관 경찰 대책 촉구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962 뉴질랜드 5달러, 10달러 지폐 신권 유통 오늘(12일)부터 시작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961 호주 한국대사관 주관 첫 ‘한식문화축제’(K-Food)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0.15.
1960 호주 한국교육원, 한국어 능력시험 일정 공고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9 호주 독도사랑 호주연합, ‘독도의 날’ 행사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8 호주 주시드니한국문화원, ‘Party on the Park’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7 호주 주시드니한국문화원, ‘Party on the Park’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6 호주 재외선거등록, 우편 및 인터넷으로도 가능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5 호주 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절절포’ 부대 격려 방문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4 호주 퀸즐랜드 부동산 신뢰지수 상승, 자신감 Up!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3 호주 시드니 1M 미만 주택구입 불가능 지역 늘어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2 호주 2012년 3월 이래 퍼스 지역 임대료 인하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1 호주 주입식 마약 중독자 중 ‘아이스’ 복용자, 6% 증가 호주한국신문 15.10.15.
1950 호주 이번 주 NSW 주 전역서 ‘2015 HSC 시험’ 시작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9 호주 호주 노동당, 새 ‘정신건강 서비스’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8 호주 시드니 도심 경전철 건설... 일부 교차로 혼잡 심각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7 호주 NSW 주 정부, 가정폭력 대처 프로그램 착수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6 호주 ‘뱅스타운 기차 라인’ 지역, 대대적 개발 계획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5 호주 연방 법무부, 10대 테러 용의자 강력 대처 방침 호주한국신문 15.10.15.
1944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이전 대테러법 변경 요청 있었다” 호주한국신문 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