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이민자 34만명으로 확대 

2001년 이후 이민쿼터 증가해도 한인 이민자는 감소​​

 

캐나다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이민자가 캐나다 인구 증가의 유일한 원천이 된다는 발상 하에 연방정부가 2020년까지 이민 쿼터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연방이민부 아메드 후센 장관은 다년간 이민 계획을 통해 내년도에 31만 명, 2019년에 33만 명, 그리고 2020년에 34만 명의 새 이민자를 받아들인다고 1일 발표했다. 정부의 목표는 매년 전체 인구의 1% 정도로 새 이민자로 채우는 결과가 됐다. 

 

과거 보수당 정부에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26만 명 수준을 유지하던 이민자 쿼터가 자유당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2016년 30만 명으로 늘었고 올해도 그 수준을 유지했었다. 후센 장관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감소하고 있는 노동인구를 보충해 국가의 번영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그런데 이렇게 이민 쿼터가 늘었다고 한인 이민자 수도 따라서 증가할 것 같지는 않다. 2000년대 초 새 이민자 쿼터가 24만 명이었을 때 한인 이민자 숫자가 가장 많았다. 1998년 한인 이민자 수가 4917명을 기록하다 외환위기 때인 1999년부터 그 수가 7217명으로 늘었고, 이어 2000년 7639명으로 늘어난 후 2001년 9608명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2002년 7334명, 2003년 7089명, 2004년 5337명, 2005년 5819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때 연방이민부의 이민쿼터는 24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캐나다 정착에 단지 어학 능력이 중요하다는 관점에 의해 언어 점수와 캐나다에서의 학업 등을 중요시 하며 상대적으로 한인 이민자 희망자의 통과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이민자 쿼터가 25만 명에서 28만 명까지 늘어난 2009년부터 2014년 사이에도 한인 이민자 수는 4000명대에서 5000명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한인들이 단순 취업만 해도 유리한 600점이나 이민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 Entry·이하 EE) 점수 규정이 작년말 변경되면서 연방 이민 통과가 어려워졌다. 그런데 한국의 언론 보도는 2020년까지 3년간 100만 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인다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달고 캐나다 이민 쉬워지지 않느냐는 식으로 초점을 맞춰 잘못된 신호를 한국 이민자 희망자에게 주고 있다.

 

현재 캐나다 이민은 캐나다에서 조기유학이나 2년 제 이상 학위를 딴 영어나 불어 능숙자가 아니면 새 이민 쿼터가 늘어도 영주권을 받기가 힘들다. 단 이번 이민 쿼터 확대로 가족초청 이민이 늘어나고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에 의한 숫자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통과 점수가 낮아질 수 있지만 캐나다에서 학업이나 직장 경력이 전혀 없이 영어나 불어가 완벽하지 않은 한국의 이민 희망자에게는 이번 새 이민 쿼터가 확대 됐다고 캐나다 이민이 마냥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인구센서스 조사를 기초로 한, 한국 출생의 캐나다 이민자의 5년 단위 통계에서도 2001~2005년이 7880명, 2006~2010년이 7565명, 그리고 2011~2016년이 6635명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어, 이 기간 캐나다 이민 쿼터가 점차 늘어난 것과 반대로 움직였다는 사실을 마음에 새겨둘 필요가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37 미국 사라진 ‘독립기념일’의 꿈… 전염성 높은 델타, 미접종자 향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7.
2536 미국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추진중...정부는 '신중'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5 미국 바이든 "미래 선택할 권리 존중 받아야" 쿠바 시위 지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4 미국 코로나19 전세계적으로 다시 악화... 4주 연속 증가세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3 미국 마이애미 챔플레인 콘도 사망자 95명으로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2 미국 메트로올랜도 샌포드국제공항, 캐나다 직항 노선 추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1 미국 허리케인 대비사항 중 바람직 하지 않은 것들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0 미국 마이애미 콘도 붕괴 여파, 콘도 시장 침체 우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29 캐나다 캐나다, 9월 7일 접종 완료 외국 거주자 입국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8 캐나다 BC주 현재 진행 중인 산불 298건...대피명령 20곳 이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7 캐나다 캐나다 올림픽 대표팀 에어캐나다편으로 도쿄로 출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6 캐나다 주한 캐나다대사관의 입국 완화 조치 한글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5 캐나다 BC 코로나19 발표 매일이 조마조마... 18일 7월 들어 최다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4 캐나다 왜 항공기로 뿌리는 방화제는 붉은 색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3 캐나다 넬리 신 의원, 44대 한인회장 임원 이사진과 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2 캐나다 BC주도 접종률 상위국가의 코로나19 재확산 저주가 내리는 것이 아니길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1 캐나다 김 총리, 재외공관 중심으로 교민들 현지상황 점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0 캐나다 곰 내려온다 곰 내려온다, 한인 많은 노스로드로 짐승이 내려온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
2519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보이스피싱범 한인 주변에 숨어 있었네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
2518 캐나다 BC주 16세 미만 청소년 근로 제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