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거 후 토론토 경찰이 공개한 사기 피고인 김범준씨의 사진 

 

동업자라 속이고 고객 돈 받아 가로채고

"이민 도와준다" 알선료 챙겨 잠적

 

지난달 30일 토론토에서 검거된 상습 렌트 사기 피고인 김범준씨가 BC주에서도 횡령과 이민 사기 등 다양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 

 

김씨에게 당한 밴쿠버 피해자는 경고 웹사이트까지 만들어 적극적으로 세상에 알려 검거에 도움을 줬다. 토론토에서 김씨와 계약하려던 한 학생이 경고 웹사이트를 발견하고 정보를 주고받으며 언론에 제보해 경찰 수사까지 이끌었기 때문이다. 

 

웹사이트를 만든 강소라씨에 따르면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에 김씨가 처음 출근한 날은 2014년 9월이었다. 알버타주 일식당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당시에도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에 꺼렸지만 공교롭게도 일손이 모자라 채용하게 됐다. 김씨는 배달원으로 3개월가량 근무하는 동안에도 성실하지 못하고 거짓말을 일삼는 등 수상한 점이 많았다. 

 

우선 신분을 속여 공금을 가로채는 일부터 시작했다. 직원 신분인데도 자신이 사업 파트너라고 속이고 고객에게 거래대금을 걷는 수법을 썼다. 현금으로 달라고 해 증거를 남기지 않도록 머리도 썼다. 입금이 되지 않아 고객과 통화한 회사는 '사업 파트너'인 김씨가 이미 돈을 받아간 사실을 알아냈다.

 

범죄는 한 건으로 끝이 아니었다.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발뺌하던 김씨를 수상하게 여겨 다른 거래처에도 확인하자 피해가 더 드러났다. 고객으로부터는 현금을 받고 회사에는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부정도 저질렀다. 이때 사용한 카드도 정상적으로 발급된 신용카드가 아닌 위조 카드였다. 추궁을 받은 김씨는 말로만 갚겠다고 하고 피해 보상 없이 결국 도주했다. 자신의 짐은 회사에 그대로 둔 채였다.

 

행방을 찾던 회사는 김씨가 방범 카메라를 조작해 녹화를 차단하고 회사 주차장에 세워둔 자신의 차에서 생활한 사실도 알게 됐다. 경찰에 피해를 신고한 후 짐을 열어 본 강씨는 김씨가 한국에서 죄를 저질러 복역한 전과도 드러났다. 짐 속에는 한국에서 추방돼 돌아가지 못하자 이의 해결을 위해 탄원하는 편지도 함께 들어있었다.

 

피해자 강씨가 웹사이트를 만들어 공개한 후 여러 건의 제보가 들어왔다. 그중에는 김씨가 이민을 도와주겠다고 해 돈을 보냈는데 이후 잠적했다며 이민사기를 당했다는 내용도 있었다. 다른 커뮤니티 사이트 여러 곳에도 김씨로 인해 피해를 봤다는 글들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도주한 김씨가 토론토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제보도 받았다. 

 

체포에 결정적인 계기는 10월 초 받은 연락이었다. 피해 사실이 널리 알려지기 전 토론토에서 김씨가 내놓은 집을 계약하려던 한 한인이 김씨의 설명이 의심쩍어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보다가 강씨가 만든 웹사이트를 보고 연락한 것이다. 강씨는 그 날 이후 다른 이들로부터 매일 제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다행히 김씨가 자신의 신분증 사본을 계약자에게 건네고 은행 계좌로 돈을 보낸 흔적이 있어 추적은 쉬웠다.

 

강씨는 그동안 여러 차례 인터넷 게시판에 주의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지만 개인정보 보호의 이유로 차단됐다며 답답한 현실을 지적했다. 또 어린 학생에서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피해자들에게 신고를 권해도 영어가 부족하다거나 이름이 밝혀지는 게 싫다는 이유로 한 건도 경찰에 연락하지 않았다고 안타까워했다. 심지어 한 이민사기 피해자는 "직접 찾아내 가만두지 않겠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신고나 추후 연락은 꺼렸다.

 

강씨는 자신의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도주한 김씨를 잡는 일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이 더 피해 보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2015년 웹사이트까지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검거된 김씨는 지난달 31일 오전 토론토 법정에 섰으나 통역을 요청해 3일로 재판기일이 연기됐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kevin.lee@joongang.ca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37 미국 사라진 ‘독립기념일’의 꿈… 전염성 높은 델타, 미접종자 향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7.
2536 미국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추진중...정부는 '신중'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5 미국 바이든 "미래 선택할 권리 존중 받아야" 쿠바 시위 지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4 미국 코로나19 전세계적으로 다시 악화... 4주 연속 증가세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3 미국 마이애미 챔플레인 콘도 사망자 95명으로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2 미국 메트로올랜도 샌포드국제공항, 캐나다 직항 노선 추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1 미국 허리케인 대비사항 중 바람직 하지 않은 것들은?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30 미국 마이애미 콘도 붕괴 여파, 콘도 시장 침체 우려 file 코리아위클리.. 21.07.19.
2529 캐나다 캐나다, 9월 7일 접종 완료 외국 거주자 입국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8 캐나다 BC주 현재 진행 중인 산불 298건...대피명령 20곳 이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7 캐나다 캐나다 올림픽 대표팀 에어캐나다편으로 도쿄로 출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0.
2526 캐나다 주한 캐나다대사관의 입국 완화 조치 한글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5 캐나다 BC 코로나19 발표 매일이 조마조마... 18일 7월 들어 최다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4 캐나다 왜 항공기로 뿌리는 방화제는 붉은 색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1.
2523 캐나다 넬리 신 의원, 44대 한인회장 임원 이사진과 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2 캐나다 BC주도 접종률 상위국가의 코로나19 재확산 저주가 내리는 것이 아니길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1 캐나다 김 총리, 재외공관 중심으로 교민들 현지상황 점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2.
2520 캐나다 곰 내려온다 곰 내려온다, 한인 많은 노스로드로 짐승이 내려온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
2519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보이스피싱범 한인 주변에 숨어 있었네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
2518 캐나다 BC주 16세 미만 청소년 근로 제한 file 밴쿠버중앙일.. 2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