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건국 550주년을 기념하는 건국절행사가 수도 아스타나에서 대대적으로 개최되었다. 

  11일 부터 3일간 계속된 기념행사 중 주요 행사로는 나자르바예프 국립대학에서 열린 '카자흐스탄 고대국가의 역사' 컨퍼런스와  국립국장에서 열린 기념 공연 등이다. 

  역사 컨퍼런스는 20개국에서 온 46명의 학자를 비롯해 국내 전문가와 정부 당국자 등 1천여 명이 참가하였다. 

  이어진 기념 공연에도 배우, 스태프 등 2천500명이 동원된 대규모 행사로 치루어졌다. 

  또 행사 기간에 국립박물관 마당에는 50채의 '유르트'(유목민이 쓰는 천막)가 설치되고 각지에서 온 100여 명의 금속 및 목공예 장인들이 관람객들에게 전통생활방식을 보여주고 체험기회도 제공하였다.   

  카자흐스탄은  1465~1847년까지 지금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북부를 통치하던 왕조국가를  자신들의 국가기원으로 보고 있다.   이 고대왕국은 자니벡 칸과 케레이 칸이 건립했으며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유목민족 국가였다.

  이후 청왕조에 쫒긴 중가르 인들의 서진으로 인해 카자흐인들이 생존에 위협을 느끼고 러시아황제에게 보호를 요청하는 사건을 계기로 러시아 제국(1721~1917)의 영향권 밑으로 들어갔다.  

  카자흐스탄이 고대왕국의 건립을 기념하는 것은 올해가 처음으로써 작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이 계기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자국 청년 포럼에서 나자르바예프대통령의 치적을  추켜세우려는 의도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예전에는 국가가 없던 땅에 나라를 세웠다"고 말했으나 이 말이 카자흐인들에게는 그 이전에는 독립국 지위나 역사를 가진 적이 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며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이 해프닝 후 나자르바예프는 그러면서 선조의 건국이념과 그 뜻을 기려 "카자흐스탄 건국 550주년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개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자흐스탄은 전체 인구 중 러시아인들이 21%를 차지하고 있고, 또 소련시절 스탈린 정권의 민족 이주정책으로 인해 고려인 동포를 위시하여 독일, 체첸, 쿠르드 민족 등도 사는 다민족 국가이다. 

  또 대통령 직속기구로 '민족회의'라는 장관급 기구를 두고 각 민족 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민족간 화합을 강조해 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0 러시아 한러 비즈니스 회담 뉴스로_USA 19.05.31.
829 러시아 ‘한국, 한반도 평화과정에 러시아 기여 높이 평가’ (리아노보스티 통신) 뉴스로_USA 19.05.31.
828 러시아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받은 이유 (러 이즈베스티야) file 뉴스로_USA 19.05.31.
827 러시아 “황금 기생충” 러언론의 봉준호감독 헌사 뉴스로_USA 19.05.31.
826 러시아 ‘한국, 현대산업전쟁 살아남기 전략 필요’ 러 매거진 뉴스로_USA 19.05.30.
825 러시아 문희상,한러 우호의 밤 참석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러시아 역할 강조 file 모스크바매일.. 19.05.28.
824 러시아 韓무역대표단 러시아 치타시 방문 뉴스로_USA 19.05.28.
823 러시아 모스크바한국학교 한마음 체육대회 file 뉴스로_USA 19.05.25.
822 러시아 모스크바한국학교 한글도서 기증식 file 뉴스로_USA 19.05.25.
821 러시아 아르메니아에서 한국영화제 뉴스로_USA 19.05.24.
820 러시아 한국 무역 대표단 5월말 러시아 치타시 방문 (잡루 통신) 뉴스로_USA 19.05.24.
819 러시아 문희상국회의장 5월 27-29일 모스크바 방문 뉴스로_USA 19.05.24.
818 러시아 ‘北에 최악의 기근 또 올까’ (타스통신) file 뉴스로_USA 19.05.23.
817 러시아 ‘이주 한인들의 무덤이 된 사할린’ 러 일간지 뉴스로_USA 19.05.22.
816 러시아 한국, 연해주 경매 어시장 구성 참여 뉴스로_USA 19.05.21.
815 러시아 모스크바한국학교 대사관견학 file 뉴스로_USA 19.05.20.
814 러시아 아르메니아 국회의장 우윤근대사 영접 file 뉴스로_USA 19.05.11.
813 러시아 ‘韓기업 러 이르쿠츠크주 합작 프로젝트’ 뉴스로_USA 19.05.02.
812 러시아 카잔에서 러시아인 고려인 한류 꽃피워 file 뉴스로_USA 19.04.29.
811 러시아 ‘韓정부 올해안 푸틴 방한 희망’ 우윤근대사 뉴스로_USA 19.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