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 시드니서 대북정책 설명회 가져… ‘통일국민협약’ 체결 추진

 

김기혁.jpg

 

한국의 문재인 정부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공감대 확산과 대북정책의 일관성,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외동포와의 소통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주 시드니를 방문한 통일부의 김기혁 회담운영부장은 지난 화요일(21일) “민주평통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재외동포와의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대북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장은 “정권 교체 때 마다 반복되는 통일정책의 단절이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지속 가능한 통일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가칭 ‘통일국민협약’ 체결을 추진 중”이라면서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통일국민협약은 여야 정치권과 시민단체, 정부 등이 참여해 도출한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체결될 예정이며, 특히 국민들의 목소리를 가급적 많이 듣는 쌍방향 소통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김 부장과 오충석 국제협력과장 등 통일부 당국자 4명은 지난 월요일(20일) 호주를 방문해 수요일(22일)까지 캔버라와 시드니에서 호주 북한문제 전문가와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자문위원들을 대상으로 대북정책 설명회를 가졌다. 이어 목요일(23일)부터는 뉴질랜드의 오클랜드와 웰링턴에서 같은 행사를 진행했다.

통일부는 매년 미국과 유럽, 호주와 아시아 국가 등을 방문해 현지 북한 전문가와 재외동포들을 대상으로 남북관계 현황과 정부의 대북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해오고 있다.

김 부장 일행은 지난 화요일 저녁 이스트우드의 한 식당에서 민주평통 호주협의회(회장 형주백) 자문위원들을 대상으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기본방향과 최근 북한동향, 남북관계 현황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이날 김 부장은 미리 마련한 설명 자료 외에 180장에 달하는 북한 관련 사진들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면서 남북회담이나 교류협력의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남북관계 현황에 대해서 상세히 소개했다. 그는 남북회담이나 북한 지역 답사 등을 위해 50여 차례 북한을 방문, 공무원 중에서 ‘최다 방북자’로 표창을 받기도 했다.

특히 김 부장은 2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지난 2007년 12월 북한 지역 경의선 복구지원을 위해 판문점역에서 신의주역까지 직접 열차를 운행하면서 현장조사를 실시했었다고 밝히고, 당시 찍은 사진을 슬라이드로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김 부장은 ‘북한이 변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십여 년 전 개성공단에서 만난 북한 근로자들을 통해 변화할 것이란 확신을 얻었다”고 답했으며, 남북관계 전망에 대해선 “풀릴 것이다. 남북관계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통일은 요원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인구 기자 herald@koreanherald.com

 

  • |
  1. 김기혁.jpg (File Size:33.1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63 호주 한국대사관 주관 첫 ‘한식문화축제’(K-Food)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0.15.
1262 뉴질랜드 5달러, 10달러 지폐 신권 유통 오늘(12일)부터 시작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261 뉴질랜드 오클랜드 시내 아파트에 한국인 여성 감금 주장, 영사관 경찰 대책 촉구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260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파하드 자바르, 이전 테러범들과 다른 점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9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자바르 페이스북에 “이슬람 시민의 영웅” 댓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8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경찰, 총기테러 관련 4명의 테러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7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NSW 경찰청 앞에서 15세 청소년 총기 발사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6 호주 기획- ‘베이징 선언 및 행동강령’ 20년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5 호주 호주인 마약운반자들, 홍콩 고등법원서 ‘보석’ 허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4 호주 NSW 주 일부 지역 노인층, 아이들보다 많아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3 호주 ‘디지털 괴롭힘과 학대’... 피해자 24시간 괴롭힐 수 있어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2 호주 경매 낙찰률 급락, 시드니 부동산 시장 크게 둔화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1 호주 환각성 불법 마약 사용자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0 호주 브리즈번 주택 중간가격, 9월 분기 2% 상승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9 호주 멜번 부동산 시장, 호주 전역에서 가장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8 호주 제5회 오세아니아 한글학교 교사 연수 성황리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개천절 경축 리셉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6 호주 호주한인미술협회 30주년 기념, ‘Here & There’ 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5 호주 ‘제36차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4 뉴질랜드 '뉴질랜드 페스티벌(New Zealand Festival in Korea)' 10월 한달간 다양한 행사 펼쳐져 file 굿데이뉴질랜.. 15.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