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현지인 1,500여 명 참여

4천 호주달러 11월 25일 전달

 

 

Newsroh=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첨부사진2.시드니 100만 시민모금 활동2.jpg

 

 

호주 시드니에서 일본군 성노예문제 해결을 위한 100만 시민모금운동에 동참해 모아진 기금을 주최측에 전달했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실천 추진위원회(공동대표 박은덕, 염종영, 이하 시소추)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이하 정의기억재단)에서 진행하는 ‘100만 시민모금 운동’에 동참해 성금을 재단측에 전달했다고 27일 밝혔다.

 

시소추는 각 회원들이 혼스비와 카슬힐, 시티 등 시드니 곳곳에서 지난 100일 간의 모금활동을 전개했다. 이번 모금운동은 시드니 일대는 물론, 멜번 평화의 소녀상 건립위원회 회원들 40여 명과 캔버라 지역 한인들도 함께한 가운데, 한인 및 현지인 1,500여 명이 참여해 약 4천 호주달러를 모금했다.

 

 

첨부사진3. 청계광장 100만 시민모금 후원자 명단.jpg

 

 

모금액은 지난 25일 서울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열린 정의기억재단의 '2017 동행의 날 우리 손으로 해방을!' 행사에서 평화 여성인권활동가로서의 삶을 살아온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여성인권상’과 더불어 시민기금으로 함께 전달됐다.

 

정의기억재단의 ‘100만 시민모금 운동’은 한국과 일본정부의 일방적인 일본군’위안부’합의(12.28합의)를 반대하며 일본 정부가 지급한 10억 엔의 기금 수령을 거부(拒否)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시민들 스스로 조성한 기금을 전달하는 모금 운동으로 한국에서 지난 8월 15일부터 11월 22일까지 100일간 진행되었다.

 

시소추 회원들은 이번 모금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일본정부의 위로금 10억 엔 반환을 통한 12.28합의의 실질적 무효화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촉구(促求)했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실천 추진위원회는 지난해 8월 6일 해외에서는 네 번째, 호주에서는 첫 번째로 시드니 애쉬필드 연합교회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으며,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위한 국내외 연대 및 인간의 존엄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문화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첨부사진1.시드니 100만 시민모금 활동1.jpg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1주년 기념식 성황 (2017.8.9.)

영화상영, 바자회, 추모연주 등 전쟁중 인권보호 뜻 기려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6454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63 호주 한국대사관 주관 첫 ‘한식문화축제’(K-Food)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0.15.
1262 뉴질랜드 5달러, 10달러 지폐 신권 유통 오늘(12일)부터 시작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261 뉴질랜드 오클랜드 시내 아파트에 한국인 여성 감금 주장, 영사관 경찰 대책 촉구 file 굿데이뉴질랜.. 15.10.12.
1260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파하드 자바르, 이전 테러범들과 다른 점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9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 자바르 페이스북에 “이슬람 시민의 영웅” 댓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8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경찰, 총기테러 관련 4명의 테러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7 호주 파라마타 총기 테러-NSW 경찰청 앞에서 15세 청소년 총기 발사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6 호주 기획- ‘베이징 선언 및 행동강령’ 20년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5 호주 호주인 마약운반자들, 홍콩 고등법원서 ‘보석’ 허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4 호주 NSW 주 일부 지역 노인층, 아이들보다 많아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3 호주 ‘디지털 괴롭힘과 학대’... 피해자 24시간 괴롭힐 수 있어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2 호주 경매 낙찰률 급락, 시드니 부동산 시장 크게 둔화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1 호주 환각성 불법 마약 사용자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5.10.08.
1250 호주 브리즈번 주택 중간가격, 9월 분기 2% 상승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9 호주 멜번 부동산 시장, 호주 전역에서 가장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8 호주 제5회 오세아니아 한글학교 교사 연수 성황리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개천절 경축 리셉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6 호주 호주한인미술협회 30주년 기념, ‘Here & There’ 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5 호주 ‘제36차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0.08.
1244 뉴질랜드 '뉴질랜드 페스티벌(New Zealand Festival in Korea)' 10월 한달간 다양한 행사 펼쳐져 file 굿데이뉴질랜.. 15.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