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말콤 1).jpg

NSW 주 부총리인 존 바릴라로(John Barilaro) 국민당 대표가 연방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에게 차기 선거 전 사퇴할 것을 촉구하고 나서는 등 집권당 수장의 지도력이 흔들리는 가운데, 호주인의 71%는 그가 임기를 마치기를 바란다는 입장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왼쪽부터 말콤 턴불 총리, 줄리 비숍(Julie Bishop) 외교장관,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재무장관.

 

페어팩스-입소스 여론조사... 양당선호도는 노동당 앞서

 

NSW 주 부총리인 존 바릴라로(John Barilaro) 국민당 대표가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연방총리에게 다음 선거 전 사퇴할 것을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호주인의 4분의 3이 이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입소스’(Ipsos)사에 의뢰, 전국 유권자를 상대로 한 여론조사 집계에 따르면 턴불 총리가 임기기간을 지켜주기를 바란다는 답변은 71%에 달했다.

특히 자유-국민 연립당(Coalition) 지지자들의 80% 이상이 턴불 총리의 사퇴를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현 집권당인 자유-국민 연립에 대한 전국민의 지지도는 2016년 7월 총선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자유-국민 연립과 노동당의 양당선호도(Two-party Preferred)에서 노동당(Labor)이 53%로 연립당(47%)보다 우세해 지난 5월과 9월 여론조사와 변함없는 인기를 유지했다.

금주 월요일(4일), 지난 주말 실시된 페어팩스 여론조사 집계를 보도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이 같은 결과가 2019년 11월2일 총선까지 지속될 경우 턴불 정부의 지지율은 3.4% 가량 하락하게 되며, 연립당은 16석을 잃게 되고 노동당의 힘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사에 따르면 연립당과 노동당은 우선투표 선호도(primary vote)에서 각각 34%, 33%를 기록했다. 또한 전체 선호도에서 외교부 장관인 줄리 비숍(Julie Bishop) 자유당 부대표는 32%의 지지율로 말콤 턴불(29%) 총리보다 앞섰으며, 이어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연방총리(14%), 피터 더튼(Peter Dutton) 이민부 장관(5%),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재무부 장관(4%) 순으로 지지율이 분포됐다.

연립당 지지자들 중에는 자유당 대표로 턴불 총리를 지지한다고 답변한 유권자가 35%로 비숍 장관의 지지율(29%) 보다 많았다.

턴불 총리는 지난 일요일(3일) 뉴스전문 채널 ‘스카이 뉴스’(Sky News)와의 인터뷰에서 “연립 여당은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고 있다”며 “차기 총선에서도 연립당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또 “다음 선거 전 개인소득세 할인 정책을 발표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런 한편 턴불 총리는 지난주 토요일(2일) 뉴잉글랜드(New England) 연방 선거구 보궐선거에서 승리한 바나비 조이스(Barnaby Joyce) 전 연방 부총리의 의회 복귀에 축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노동당 내에서는 25%가 빌 쇼튼(Bill Shorten) 야당 대표를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타냐 플리버섹(Tanya Plibersek) 야당 부대표(23%), 앤서니 알바네스(Anthony Albanese) 전 야당 대표(20%)가 뒤를 이었다.

턴불 총리와 쇼튼 대표의 지지율 차이를 보면, 턴불 지지율은 42%로 변화가 없었으나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지난 9월 조사보다 2%가 상승한 49%로 집계됐다.

반면 쇼튼 대표의 지지율은 2%가 올라 38%를 기록했으며, 비지지율은 변동없이 52%를 나타냈다.

총리 선호도(Preferred Prime Minister)에서 턴불 총리와 쇼튼 대표의 지지율 차이는 17% 포인트로 지난 9월 이래 턴불 총리가(48%) 쇼튼 대표(31%)를 여전히 앞서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주 수요일(11월29일)부터 토요일(2일)까지 호주 전국 1천401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2.6%다.

 

▲정당별 우선투표 선호(Primary vote)

-노동당 : 33%

-연립(자유-국민당) : 34%

-녹색당 : 13%

-기타 정당 : 21%

 

▲양당선호도(Two-party preferred)

-노동당 : 53%

-연립(자유-국민당) : 47%

 

▲턴불 총리 정책 지지(PM's performance)

-지지한다 : 42%

-지지하지 않는다 : 49%

-모르겠다 : 10%

 

▲쇼튼 대표 정책 지지(Opposition Leader's performance)

-지지한다 : 38%

-지지하지 않는다 : 52%

-모르겠다 : 10%

 

▲수상선호도(Preferred Prime Minister)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 48%

-빌 쇼튼(Bill Shorten) : 31%

-모르겠다(Uncommitted) : 22%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말콤 1).jpg (File Size:44.0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800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9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8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7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6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5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4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3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2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1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90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6789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8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7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6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5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4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3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2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1 호주 보험-금융 서비스 가격 상승 속, Private health insurance 3% 이상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80 호주 호주 각 학교 교장들, ‘최악’ 수준의 신체적 폭력-협박에 시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9 호주 ‘P-plate’ 상태의 자녀 ‘안전’ 고려한다면, 자동차를 사 주는 대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8 호주 계속되는 가계 재정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이 ‘부업’ 찾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6777 호주 생활비 압박 지속... 정부, 물가상승률에 맞춰 최저임금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6 호주 순 해외이민자 유입-자연 증가로 호주 인구, 곧 2천700만 도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5 호주 Minns-Perrottet 현직 및 전직 NSW 주 총리, ‘McKinnon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4 호주 정부, 비시민권자 대상으로 보다 수월한 ‘강제추방’ 가능한 법안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3 호주 주택 1sqm 당 프리미엄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2 호주 할리우드 스타덤의 화려했던 순간, 그 기억을 간직한 영화 촬영 여행지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1 호주 자동차 절도-파손 및 가택침입 등 전국에서 ‘household crime’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70 호주 ‘충격적’ 일자리 급증... 실업률, 지난해 9월 이전의 낮은 수준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9 호주 World Happiness Report... 호주인 ‘행복감’, 상위 10위에 올랐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8 호주 호주 당국, 프랑스 방문 여행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주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7 호주 COVID-19 전염병 대유행으로 전 세계 기대수명, 1.6년 감소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6 호주 “유아기의 스크린 시청 시간, 부모와의 상호 언어형성 기회 빼앗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5 호주 ChatGPT-기타 인공지능 활용한 고등교육 부문의 부정행위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6764 호주 시니어 대상 pension 및 Jobseeker payments 등 복지수당 인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3 호주 NSW 예산계획, “바람직한 사회적 결과-투명성 향상에 목표 둘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2 호주 올들어 두 번째의 RBA 통화정책 회의, 이자율 4.35% 유지 결정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1 호주 2023년 NSW-VIC-QLD 주의 매매 부동산 4개 중 1개는 ‘현금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60 호주 tap-and-go 확대... 호주인들, 신용카드 수수료로 연간 10억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9 호주 주택 부족 심화... 부동산 가격, ‘적정 가치’에 비해 얼마나 치솟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8 호주 “화석연료 산업에 보조금 지급하면서 대학 학업에는 비용 청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7 호주 NSW 교육부 장관, 주 전역 공립학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6 호주 연방정부의 새 이민전략 이후 주요 대학 국제학생 입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5 호주 대다수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long COVID’,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4 호주 2024 럭비 시즌... CB City의 그린키퍼, ‘Bulldog’ 홈구장 관리 ‘만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6753 호주 부유한 은퇴 고령자들, ‘Aged Care’ 비용 더 지불해야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6752 호주 최대 220만 명 ‘기본 권리’ 변경 위한 ‘Work-from-home’ 논쟁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