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성인 세계 최고 수준

 

캐나다 경제활동 인구의 학력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BC주의 고등교육을 받은 인구 비율은 캐나다 평균을 밑돌고 있다는 자료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OECD 자료를 바탕으로 12일 발표한 25세~64세 성인의 학력 통계 자료에 따르면 BC주에서 초대졸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63%를 기록했다. 캐나다 전체적으로 65%를 기록한 것에 비해 2% 포인트 낮았다. BC주와 경쟁하는 온타리오주는 66%, 퀘벡은 67%, 그리고 알버타주는 65%를 기록하며 평균 이상을 기록했다. 

 

그러나 학사 학위 이상만 봤을 때 캐나다 평균은 28%를 기록했는데, BC주는 29%로 평균을 상회했으며, 온타리오의 32%에 이어 10개 주 가운데 2위를 기록해 BC주는 고등교육에서 양극에 쏠린 형태를 보였다. 

 

OECD의 포스트세컨더리 평균은 42%에 비해 캐나다가 높은 비율을 보였지만, 학사 학위 이상만 따졌을 때는 OECD 평균 29%와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결국 캐나다가 고졸 이후 학사 미만의 다양한 전문 포스트세컨더리 교육이 발달했다고 해석됐다. OECD 평균으로 13%에 불과한 것에 비해 36%로 3배 가깝게 높았다. 

 

이번 통계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25세~64세 성인의 고등학교 졸업 비율은 2016년 기준으로 91%에 달했다. OECD 국가 평균이 78%인 것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캐나다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나라는 체코(94%)와 폴란드(92%) 뿐이다. 미국은 90%를 기록했다. 캐나다 지역별로 보면 BC주가 93%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이렇게 높은 캐나다의 교육수준에 비해 취업율은 그리 좋은 성적표를 얻지 못했다. 2016년도에 25세~64세의 고졸 이상 캐나다인의 고용률은 55%로 OECD 평균의 58%에 비해 낮았다. 초대졸이나 대학 학위를 받은 사람의 고용률은 고졸 이상의 고용률보다 크게 높아 82%를 기록했지만 OECD의 84%에 비해서 여전히 낮았다. 

 

GDP 대비 교육 자원 투자 비율에서 2014년 기준으로 캐나다는 6%를 기록했는데 이는 OECD 국가 평균 5.2%에 비해서 높은 편이었다.  

 

2017년 기준으로 15-29세의 캐나다 젊은이들 중에 교육이나 취업, 교육 훈련을 받지 않은 비율이 12%를 기록해 OECD 평균 14%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G7국가와 비교했을 때 영국(13%), 미국(14%)보다 낮았지만 일본과 독일의 10%에 비해서는 낮았다.  

 

캐나다 교사 관련 통계에서는 2014/15학년도에 7학년에서 9학년 담당 15년 이상 경력 교사의 연봉은 미화로 6만 5621달러로 35개 OECD 국가 중 4위를 기록했다. 룩셈부르크(미화 11만 3136), 독일(미화 7만 4078), 네덜란드(미화 6만9268)가 캐나다보다 높은 상위 3위안에 들었다. 캐나다 내에서만 보면 퀘벡이 미화로 5만 7158달러로 가장 낮았다. 

 

캐나다 교사들이 월급을 많이 받는 것 같지만 OECD 다른 나라 교사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15학년도에 OECD 평균 교사의 수업 시간이 794시간이지만 캐나다는 797시간으로 3시간이 길었다. 특히 7학년에서 9학년의 경우 캐나다 교사가 742시간으로 OECD 평균 712시간에 비해 30시간이 많았다. 또 10학년에서 12학년의 고학년의 경우는 743시간 대 662시간으로 그 격차가 더 벌어졌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97 캐나다 쌍둥이 자매, '환상적인' 음주운전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6 캐나다 BC 중소기업회복 보조금 신청 마감 임박...7월 1일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5 캐나다 캐나다 고용회복 프로그램 6일부터 11월 20일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4 캐나다 캐나다 8월 말까지 화이자 백신 매주 200만회분 공급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3 캐나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일반직 행정직원 채용 중 밴쿠버중앙일.. 21.06.08.
2692 캐나다 최근 내 주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8.
2691 캐나다 일본·IOC 독도 도발 속 밴쿠버 차세대는 '독도 사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2690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전세계 한글학교와 ‘찾동’ 화상간담회 시행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2689 캐나다 코로나19 대유행 속 밴쿠버의 현충일 66주년 행사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9.
2688 캐나다 병적증명서, 나라사랑 전자우편 인증 후 온라인 발급 가능 밴쿠버중앙일.. 21.06.10.
2687 캐나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 영화 <69세> 온라인 상영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0.
2686 캐나다 존 호건 BC주 수상, 온타리오 무슬림 가족 테러에 비판 성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0.
2685 캐나다 중국계 젊은 캐나다인 인종차별 경험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2684 캐나다 늘푸른 장년회, 차세대 사업 본격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2683 캐나다 버나비RCMP, 불법 마약 범죄자 체포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1.
2682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과 MOU 체결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2681 캐나다 한국 청년 해외진출, 밴쿠버 등 전 세계 '케이 무브' 센터에 길이 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2680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
2679 미국 뉴욕 ‘백신지갑’을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21.06.12.
2678 미국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지속...회복세 다지는 미국 경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