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 1).jpg

1인 또는 커플의 50세 이상 고령층이 주택부족이 심화되는 시드니 및 멜번 지역의 단독주택 50~60%를 차지함으로써 향후 두 도시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의 경우 정원이 딸린 주거지에서 성장할 기회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시드니 북부의 넓은 단독주택에서 홀로 거주하는 머빈 데이비스(Mervyn Davies)씨.


시드니 및 멜번 태생 아이들, 정원 딸린 주거지 생활 어려워

 


앞으로 시드니나 멜번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정원이 딸린 주택을 갖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금주 월요일 발표된 ‘주택위기 보고서’(Housing crisis report)는 호주의 고령자 계층인 50세 이상 연령층이 보유하고 있는 턱없이 넓은 단독 주택을 지적하고 있다.

 

‘호주 인구연구소’(Australian Population Research Institute. APRI)의 인구학자 밥 비렐(Bob Birrell)씨와 데이빗 맥클로스키(David McCloskey)씨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드니의 경우 오는 2022년까지 30만9천 가구의 새 주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멜번은 이보다 많은 35만5천 가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주 월요일(2일), 이 보고서를 인용 보도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아이가 있는 가족으로 정원이 있는 주택을 원한다면, 시드니의 경우 향후 필요한 주택의 절반, 멜번은 추가로 필요한 주택의 3분 2가 단독주택이어야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보고서 상의 인구조사 자료는 50세 이상 고령의 호주인들이 시드니와 멜번 중간 교외지역 단독주택의 50~60%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나이 많은 가정 가운데 주거지 규모를 줄이거나 또는 건강 악화, 케어 필요성, 파트너 사망 등의 이유로 집을 줄이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이들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부분의 호주인들은 보통 75세까지 이처럼 비교적 큰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또 보고서는 이들이 주거지를 옮긴다 해도 그 형태는 유닛이나 아파트가 아닌 또 다른 단독주택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층 호주인들이 차지하고 있는 단독주택 수는 시드니의 경우 6만5천 가주, 멜번은 이보다 많은 7만6900가구에 달한다.

 

보고서는 이어 자유-국민 연립 정부가 연금수령 인구 비율 확산에 따라 고령층에 대해 재정적 인센티브를 추가함으로써 자산 한계 이상의 재정은 잃게 된다고 언급하면서, 이들이 단독주택을 고집하는 배경 중 하나로 설명했다.

 

APRI의 인구학자 밥 비렐 박사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와의 인터뷰에서 “고령층이 이사를 할 것이라고 분명히 말하기는 어렵다”면서 “단독주택은 친구들과 만나는 장소이며 정원이 있고 또 손자들에게 놀이 공간을 제공하는 등 중요한 기능적 측면이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비렐 박사는 이어 “그보다 중요한 것은 문화적 인식 변화가 없는 한 고령층의 경우 75세까지 단독주택을 떠나는 케이스는 보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기 이후 세대의 젊은이들에게 쉽게 길을 열어주지 않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보고서는 멜번에 거주하는 프랭스톤(Frankston)과 흄(Hume)씨의 사례를 언급하면서, 고령층의 높은 단독주택 거주 비율로 인해 정원이 있는 주택을 원할 경우 도심으로부터 먼 외곽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으며, 시드니의 경우도 단독주택 대신 유닛에서 거주할 수밖에 없게끔 되어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렐 박사는 “시드니에서는 아이가 있는 젊은 여성의 30%가량이 유닛이나 아파트에서 거주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멜번의 경우 이 비율은 약 절반”이라고 말했다.

 

도심 내부의 보다 집중적인 개발도 해결책은 아니다. 부지 가치의 상승으로 인해 도심 지역의 주택 부지를 분할해 주택을 건축한다 해도 그 비용은 이미 100만 달러를 초과하고 있다.

 

“우리는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진 지역의 주거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는 비렐 박사는 “그런 지역의 단독 주택은 고소득 계층 사람들에게 독점될 것이며, 그것을 즐기는 부유층과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 사이의 경계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젊은이들의 경우 부모로부터 독립을 지연하는 징조가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아이를 가진 이후에도 독립을 하지 않고 부모 집에서 얹혀 살기도 한다.

 

현재 멜번의 경우 고층의 주거단지가 무수히 건축되고 있지만 멜번의 주택 수요에 도움이 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이들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옥외 생활을 즐길 수 없는 60스퀘어미터의 작은 주거 공간”이라고 언급한 비렐 박사는 “아이가 있는 가족들이 거주하기에는 그리 적합한 공간이 아니며, 특히 부동산 개발회사들의 경우 60만 달러 이하로 공급할 수 있는 주거지를 건축하다보니 공간이 작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이너 멜번(inner Melbourne)의 경우 젊은이들 뿐 아니라 고령층 수요 아파트는 9만 가구에 달한다.

 

비렐 박사는 보고서에서 “일각에서는 아파트 수요가 활발한 것에 대해 1인 또는 커플 가구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라지만 이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며 “넓은 단독주택을 차지하고 있는 고령층의 1인 또는 부부 가구의 경우 주거지를 쉽게 옮지기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높은 기준금리-인플레이션 수치에 불구, 호주 가계들 ‘탄력적’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0 호주 RBA 로우 총재 임기, 9월 종료 예정... 호주 첫 중앙은행 여성 총재 나올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9 호주 Uni. of Sydney-Uni. of NSW, 처음으로 세계 대학 20위권에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8 호주 연방정부, 비자조건 위반 강요를 ‘형사 범죄’로 규정하는 새 법안 상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7 호주 시드니 제2공항 ‘Western Sydney Airport’, 예비 비행경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6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 전환... 부동산 시장 반등 이끄는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5 호주 겨울 시즌에 추천하는 블루마운틴 지역의 테마별 여행자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4 호주 ‘전 세계 살기 좋은 도시’ 목록에 호주 4개 도시, 12위권 이내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3 호주 호주의 winter solstice, 한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기는 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2 호주 정치적 논쟁 속에서 임차인 어려움 ‘지속’... ACT의 관련 규정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1 호주 연방 노동당 정부, 야당의 강한 경고 불구하고 ‘Voice 국민투표’ 시행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0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9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8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7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6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5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4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3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2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1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0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9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8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7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6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5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4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3 호주 호주 국민가수 슬림 더스티의 히트곡 ‘A Pub with No Beer’의 그 펍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2 호주 연금 정보- 새 회계연도부터 고령연금 지급,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1 호주 지난해 NSW 등서 매매된 부동산의 25%, 고령의 구매자가 모기지 없이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0 호주 NSW 노동당 정부의 첫 예산계획, ‘70억 달러 블랙홀’ 직면... 삭감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9 호주 그래프로 보는 호주 노동시장... 경제학자들, “전환점에 가까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8 호주 3월 분기 호주 경제성장률 0.2% 그쳐... 현저한 GDP 둔화 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7 호주 호주 전체 근로자 거의 절반, 부채에 ‘허덕’...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6 호주 4만 명에 달하는 범법 행위자 자녀들이 겪는 고통-복합적 불이익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5 호주 최저임금 8.6%-근로자 일반급여 5.75% 인상, 향후 금리상승 압박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4 호주 NSW 주 소재 공립대학들, 등록학생 감소로 2022년 4억 달러 재정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3 호주 프랑스 식민지가 될 뻔했던 호주... 영국의 죄수 유배지 결정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2 호주 악화되는 주택구입 능력... 가격 완화 위해 부유 지역 고밀도 주거지 늘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1 호주 시드니 평균 수입자의 주택구입 가능한 교외지역, 20% 이상 줄어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0 호주 기준금리 상승 불구, 5월 호주 주택가격 반등... 시드니가 시장 회복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9 호주 퀸즐랜드 아웃백 여행자 11% 감소... 4년 만에 맞는 최악의 관광시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8 호주 정신건강-자살예방 시스템 변화 구축, “실제 경험 뒷받침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7 호주 CB 카운슬의 폐기물 처리 기술,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6 호주 그라탄연구소, 정부 비자개혁 앞두고 이주노동자 착취 차단 방안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5 호주 호주 가정의 변화... 자녀 가진 부부의 ‘정규직 근무’, 새로운 표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4 호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투자자들의 세금공제 신청,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3 호주 NSW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계획... 인지세 절약 가능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2 호주 기준금리 상승의 실질적 여파... 인플레이션 더해져 소비자들, 지갑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