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부채 비율 축소

 

캐나다도 각 가구에서조차 부의 집중이 심화된 채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도 가계소득 분석자료에 따르면, 가처분 소득 상위 20%가 전체 가계 소득의 48.9%를 차지하는 반면 하위 20%는 5.8%에 불과했다.

 

또 상위 가계 소득 20%의 부유층이 작년도 전체 가계의 가처분 소득의 40.9%를 차지했다. 이들의 부의 원천은 국내총생산(GDP)의 23.5%를 담당했다.

 

이런 최상위와 최하위의 가계 소득 비중의 차이와 가처분 소득 비중의 차이는 2010년 이후 거의 변화가 없다는 결론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와 최하위 계층간 가계의 최종 소비지출 차이는 부의 차이에 비해서는 작은 편이었다. 상위 20%가 재화나 서비스로 최종 소비한 비중은 31.8%를 차지하는 반면 하위 20%는 최종 소비액의 12.5%를 차지하며 소득이나, 가처분 소득의 차이가 40%포인트 가량 나는 것에 비해 고작 20% 포인트의 차이만 보였다. 이는 부자는 번만큼 다 소비로 이어지지 않지만 저소득 가정은 소득이 적지만 필수적으로 지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출 대비 소비의 차이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즉 부자는 저축을 할 여유가 있어 다시 자본소득을 올릴 수 있지만 저소득층은 먹고 살기 위한 지출만으로도 빠듯하다는 뜻이다.

 

소득에 대해 어떻게 지출하는지 연령별로 비교해 보면, 젊을수록 수입대비 지출이 적은 저축을 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65세 이상은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형태다. 즉 65세 이상은 벌기보다는 저축한 돈을 쓰는 편인데 주로 연금 등을 찾아 쓰게 되기 때문이다. 작년만을 두고 보면 35세 이하는 연간 소득대비 지출에서 134달러가 남지만, 65세 이상은 오히려 5474달러가 감소했다.

 

가처분 소득대비 부채 비율 통계에서 작년도에만 전국 평균으로 172.1%였다. 즉 소득보다 부채가 3분의 2 정도 많았다는 뜻이다. 소득 수준으로 비교해 보면 하위 20%는 부채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2배가량 높은 333.4% 달했다. 반면 상위 20%는 128.3%에 불과했다. 저소득층은 모기지나 자동차 리스 등 부채를 갚기에 소득이 너무 적다는 의미이다.

 

각 주별로 자산대비 부채 비율을 보면 BC주는 2010년 19.7%에서 2016년 15.7%로 4% 포인트가 낮아졌는데 이는 BC주의 부동산 가격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BC주의 자산은 3.7% 포인트가 증가한 것으로 전국 평균 1% 포인트와 비교가 됐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17 미국 팬데믹 세상, 온라인 주택구매 시대가 도래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6 미국 미국 성인 50% 백신접종 완료... 7월4일은 '코로나 독립' 경축일?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5 미국 '허리케인 세금공휴일' 면세 혜택 받으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4 미국 오바마케어 '연방자금' 거부하는 플로리다, 이대로 좋은가?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3 미국 올랜도시와 오렌지카운티, 주거지 임대료 지원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2 미국 손꼽히는 플로리다 경관 도로들...올해 3개 더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1 캐나다 퀘벡주, 기술 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새 프로그램 출시 file Hancatimes 21.06.03.
2710 캐나다 모더나 백신, “12세이상 청소년에 효과적, 안정성 이상무” file Hancatimes 21.06.03.
2709 캐나다 퀘벡주 코로나19 규제 낮춰… 몬트리올-라발 지역은 ‘적색’ 유지 file Hancatimes 21.06.03.
2708 캐나다 캐나다 우정국 고객 95만 명 정보 유출 Hancatimes 21.06.03.
2707 캐나다 몬트리올 공중보건국장, “계속해서 경계 늦추지 말라" 당부 file Hancatimes 21.06.03.
2706 캐나다 퀘벡주, AZ백신 주기 8주로 단축 file Hancatimes 21.06.03.
2705 캐나다 연방 NDP 차기 총선 랭리-알더그로브 지역구 장민우 후보 승인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4 캐나다 새만금개발청, 캐나다 기업 대상 비대면 투자유치 나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3 캐나다 해외국민 환자 국내 이송·보호체계 대폭 개선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2 캐나다 호텔 3일 자가격리 거부 벌금, 5천불로 상향 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1 캐나다 뉴웨스트민스터서 총 대신 칼로 살인 시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0 캐나다 3일 연속 일일 확진자 200명대 미만...사회봉쇄 완화 기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699 캐나다 1분기 시민권 취득 한인 13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8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그럼 환각 운전은 누가 잡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