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밴쿠버와 토론토 주택 가격 상승에 외국인 부동산 투기자가 몰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주로 고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는 통계자료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은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와 함께 조사한 메트로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의 비주거자의 주택 소유에 관한 통계정보를 19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메트로 밴쿠버에서 비거주자(non-residents)의 주택 소유 비율은 전체 주택의 4.8%였다. 자산 가치로는 5.1%에 달했다. 결국 메트로 밴쿠버의 비거주자 주택 가치가 상대적으로 거주자보다 높다는 의미다. 반면 광역토론토는 3.4%에 3%로 나타나 비거주자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트로밴쿠버 도시 중 밴쿠버의 비거주자 소유 비율은 7.6%로 가장 높았으며, 리치몬드가 7.5%, 웨스트밴쿠버가 6.2% 등 주로 중국계가 선호하는 도시의 쏠림현상이 높았다. 광역토론토의 경우 토론토가 4.9%, 리치몬드힐이 3.6%, 그리고 마컴이 3.3%로 역시 중국계 선호지역의 비율도 높았다. 

 

비거주자의 소유 주택을 형태별로 보면 주로 관리가 편한 아파트에 집중이 되는 양상을 보였다. 메트로 밴쿠버의 경우 전체의 7.9%가 그리고 광역 토론토는 7.2%를 차지했다. 즉 메트로 밴쿠버의 비거주자 소유 주택 중 80%가 콘도인 셈이고 광역 토론토는 90%에 육박했다는 의미다. 밴쿠버에 있는 아파트의 50.1%가 비거주자 소유하고 있으며, 리치몬드는 14.9%로 나타났으며, 토론토의 경우는 82.8%, 미시사가는 8.6%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주택의 경우는 메트로 밴쿠버가 전체 주택의 3.2% 그리고 광역 토론토가 2.1%에 머물렀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7년 사이에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가격은 173.7%가, 광역 토론토는 145%가 상승했다. 특히 최근 3년간 가격 상승세가 가파라져서 메트로 밴쿠버는 60%, 광역 토론토는 40%나 올랐다. 

 

비거주자의 투기가 몰려서 인 듯 메트로 밴쿠버 전체의 비거주자 아파트 가격은 자가 아파트에 비해 30.4%가 높았다. 밴쿠버의 경우는 비거주자의 아파트 가격이 93만 달러로 자가 소유자에 비해 25.6%나 비쌌다. 

광역 토론토 아파트의 경우 비거주자 소유가 8.7% 높았고, 토론토만은 평균 가격이 43만 9000달러로 7.6% 비쌌다. 

 

단독 주택의 경우에도 메트로 밴쿠버의 비거주자 주택 가격이 평균 230만 달러로 자가 거주자 160만 달러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는 부촌일수록 더 심해져 웨스트밴쿠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지역의 비거주자 주택은 800만 달러로 자가의 530만 달러에 비해 높았다. 

 

이번 발표에 동참한 CMHC는 캐나다 대도시의 아직도 비거주자의 주택 소유 비율이 낮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전국적으로 1%을 약간 상회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주택 가격 여유도가 낮고 주택 가격이 평균 가격보다 2배 넘게 높은 메트로 밴쿠버나 공역 토론토 지역이 감안하지 않은 분석으로 보인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17 미국 팬데믹 세상, 온라인 주택구매 시대가 도래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6 미국 미국 성인 50% 백신접종 완료... 7월4일은 '코로나 독립' 경축일?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5 미국 '허리케인 세금공휴일' 면세 혜택 받으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4 미국 오바마케어 '연방자금' 거부하는 플로리다, 이대로 좋은가?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3 미국 올랜도시와 오렌지카운티, 주거지 임대료 지원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2 미국 손꼽히는 플로리다 경관 도로들...올해 3개 더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03.
2711 캐나다 퀘벡주, 기술 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새 프로그램 출시 file Hancatimes 21.06.03.
2710 캐나다 모더나 백신, “12세이상 청소년에 효과적, 안정성 이상무” file Hancatimes 21.06.03.
2709 캐나다 퀘벡주 코로나19 규제 낮춰… 몬트리올-라발 지역은 ‘적색’ 유지 file Hancatimes 21.06.03.
2708 캐나다 캐나다 우정국 고객 95만 명 정보 유출 Hancatimes 21.06.03.
2707 캐나다 몬트리올 공중보건국장, “계속해서 경계 늦추지 말라" 당부 file Hancatimes 21.06.03.
2706 캐나다 퀘벡주, AZ백신 주기 8주로 단축 file Hancatimes 21.06.03.
2705 캐나다 연방 NDP 차기 총선 랭리-알더그로브 지역구 장민우 후보 승인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4 캐나다 새만금개발청, 캐나다 기업 대상 비대면 투자유치 나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3 캐나다 해외국민 환자 국내 이송·보호체계 대폭 개선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2 캐나다 호텔 3일 자가격리 거부 벌금, 5천불로 상향 조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1 캐나다 뉴웨스트민스터서 총 대신 칼로 살인 시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700 캐나다 3일 연속 일일 확진자 200명대 미만...사회봉쇄 완화 기대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4.
2699 캐나다 1분기 시민권 취득 한인 13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
2698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그럼 환각 운전은 누가 잡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