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중국 구매자 1).jpg

시드니 고급 주택시장의 큰 손이었던 중국인 투자자들이 멜번(Melbourne)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사진은 멜번 소재 ‘Australia 108 빌딩’. 이 빌딩 100층에 자리한 펜트하우스가 올해 중국인 투자자에게 2천500만 달러에 매매됐다.


시드니 ‘포인트 파이퍼’보다 멜번 ‘투락’ 지역에 더 관심

 


시드니 부동산 시장에서 고급 주택을 노리던 부유층 중국인 구매자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와 눈길을 끈다.

지난 주 토요일(1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인 ‘도메인’(Domain)은 이에 대해 ‘멜번으로의 이동’ 때문으로 분석했다.

 

고급 주택을 전담하는 시드니 부동산 중개인들은 최대 부동산 시장 활황기인 올 봄 시즌 들어 갑자기 줄어든 해외 구매자들의 관심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관련 자료에 따르면 부유층 중국인들 사이에서 시드니의 대표적인 부촌인 포인트 파이퍼(Point Piper) 해안가 주택보다 멜번(Melbourne)의 대표적인 부촌인 투락(Toorak) 지역에 더 애정을 보이고 있다.

 

중국인 투자자를 위해 전 세계 부동산을 소개하는 웹사이트 ‘주와이’(Juwai)에 따르면, 지난 9월의 경우 500만 달러 이상의 주택을 대상으로 한 검색 횟수에서 멜번이 시드니보다 7배나 많았다.

 

‘주와이’ 공동창업자 중의 하나인 사이몬 헨리(Simon Henry)씨는 “올해 초에는 확실히 시드니 지역에 대한 흥미가 높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멜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주와이 검색 횟수에서도 드러나듯 시드니에 대한 검색은 1월이나 9월이나 큰 차이가 없으나, 멜번의 경우에는 1월에 비해 700%가량 증가했다”고 말했다.

 

연방 이민부의 ‘Significant Investor’ 비자 발급 횟수에서도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된다. 8월에서 10월까지 3개월 동안 이 투자비자는 시드니 지역의 경우 5건인데 반해 멜번에서의 신청은 14건에 달했다.

 

멜번의 고급 주택 전문 부동산인 ‘마샬 화이트’(Marshall White)의 존 본지오노(John Bongiorno) 대표는 “500만 달러 이상의 고급 주택에 대한 중국인 구매자들의 문의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어났음이 확인되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고급 주택 전문 부동산인 ‘RT 에드거’(RT Edgar)의 마크 리지웨이(Mark Wridgway) 대표는 “올해 1천만 달러 이상의 고급 주택을 6채나 팔았다”면서 “이는 지난해보다 정확히 두 배”라고 말했다. 리지웨이 대표는 1천만 달러 이상의 고급 주택에 관심을 보이는 구매자의 70%가 중국인이라고 전했다.

 

멜번 ‘디럭스 부동산’(Deluxe Property)의 폴 파이퍼(Paul Pfeiffer) 대표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올 들어 캔터베리 지역이 인기가 있었다”면서 “지난 2월 모노미스 애비뉴(Monomeath Avenue)의 1천208만 달러 저택을 시작으로 중국인 구매자들에게 몇 채의 1천만 달러 이상 주택 판매가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지난 4월에는 멜번 지역 역사상 최고의 판매 기록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사우스뱅크(Southbank)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 108 빌딩’(Australia 108 building) 100층에 위치한 펜트하우스가 2천500만 달러에 매매된 것.

 

리지웨이 대표는 시드니 포인트 파이퍼(Point Piper) 소재 맨션인 ‘빌라 델 마레’(Villa del Mare) 저택을 구매했던 중국인 투자자가 연방 재무부 당시 조 호키(Joe Hockey) 장관의 외국인 투가 규제 때문에 3천900만 달러에 강제로 매각해야만 했던 사건이 있은 후 중국인 구매자들이 멜번 지역에 더 큰 관심을 쏟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봄 시즌에 접어들면서 시드니 지역 고급 주택 매매 열기가 식어가는 것은 상당히 놀라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실 몇 개월 전 카지노 재벌 제임스 패커(James Packer)씨의 버클루즈(Vaucluse) 소재 저택이 중국계 사업가인 차우 착 윙(Chau Chak Wing)씨에게 팔리면서(7천만 달러) 전국적으로 이른바 ‘트로피’ 저택 열풍(성공의 상징으로 큰 주택을 구입하여 주변에 과시하는 것)이 불었기 때문이다.

 

시드니 고급 주택 전문 중개인들 역시 이번 봄에 대해 적지 않게 기대를 하고 있었다. 호주 달러 가치가 미 달러의 70.5센트 수준으로 떨어져 있고, 또한 국제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호주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더블 베이 소재 ‘LJ Hooker Double Bay’의 빌 말로프(Bill Malouf)씨는 “문의 횟수와 매물 수를 기준으로 보면, 이번 봄은 정말 오래간만에 조용한 시기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이먼 매너스’(Simeon Manners) 사의 리차드 사이먼(Richard Simeon)씨는 로워 노스쇼어(Lower North Shore) 지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10월초의 황금연휴가 중국인들에게는 길일로 여겨져 많은 구매자들이 나타날 것이라고 여겼지만 별 다른 반응이 없었다”고 말했다. 사이먼씨는 “인스펙션 현장에 나타난 아시안 구매자들은 지난 몇 년 동안 꾸준히 이 지역을 관찰해 온 사람들”이라며 “몇 년 전처럼 갑자기 관광버스에서 단체 손님들이 내리듯 새로운 구매자들이 한꺼번에 등장하는 시기는 지나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금융기관 ‘AMP Capital’의 수석 경제학자 쉐인 올리버(Shane Oliver)씨는 시드니 고급 주택 시장에 새로운 매물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현재 멜번과의 분위기 차이를 설명하는 한 가지 이유가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매물이 없으니 분위기가 식어가는 것도 당연하다”면서 “고급 주택 시장은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분위기는 언제든지 쉽게 바뀔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업체 CBRE의 저스틴 브라운(Justin Brown) 대표는 “중국인 구매자를 중심으로 볼 때, 멜번이 시드니보다 큰 시장”이라면서 “적절한 가격의 분양 아파트들이 있고 멜번 대학들이 중국 현지에서 적극적으로 마케팅 활동을 펼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브라운 대표는 “당연한 말이겠지만 자녀들을 교육시킨 곳에서 부동산을 매입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정부가 최근 들어 자본의 해외 유출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해외 부동산을 구입하려는 중국인 구매자들이 곤란을 겪고 있다.

 

올리버씨는 “중국 정부의 자본이동 통제가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외환 보유고가 모든 것을 100% 설명하지는 못하지만 상징적으로 전체적인 흐름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며 “8월의 경우 대략 미화 2천억 달러 정도가 중국에서 해외로 빠져나간 것에 비해 9월 들어서는 500억 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올리버씨는 “이러한 흐름은 10월에 더 강화되어 중국은 자본이 밖으로 나가는 것보다 자국 내로 들어오는 상황을 기대하고 있다”며 “이것이 호주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고급 부동산 업체인 ‘Kay & Burton’ 사의 로스 사바스(Ross Savas)씨는 그러나 호주달러의 가치가 낮게 지속되는 동안에는 호주 고급 주택에 대한 중국인의 관심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역시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의 신흥 부자들이 자녀들을 조기유학 보내고 싶어한다는 데에 있다”면서 “호주 달러가 저렴한 것을 활용, 자녀가 유학 도중이나 졸업 이후에 부동산 매입을 하고자 하는 이러한 경향은 멜번 부동산 시장 성장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경민 객원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01 호주 버려진 장난감으로 탄생한 ‘공 룡 세 상’ 톱뉴스 18.01.12.
4300 호주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신작 ‘더 포스트’ 톱뉴스 18.01.12.
4299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재점화 톱뉴스 18.01.14.
4298 호주 끝이 안보이는 시드니 전철 ‘대란’…15일 지연 운행 우려 톱뉴스 18.01.14.
4297 호주 2018 호주오픈 15일 개막…정현, 권순우 ‘출격’ 톱뉴스 18.01.14.
4296 호주 샘 해밍턴-제임스 최 호주대사, 평창올림픽 성화 봉송 톱뉴스 18.01.14.
4295 뉴질랜드 지진으로 생긴 호수, 특이한 관광상품으로 각광 NZ코리아포.. 18.01.16.
4294 뉴질랜드 다양한 길거리 공연 등장하는 CHCH NZ코리아포.. 18.01.17.
4293 뉴질랜드 뉴질랜드 독자들은 스릴러를 좋아해 NZ코리아포.. 18.01.17.
4292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상 열기로 해변 수온 올라가 NZ코리아포.. 18.01.17.
4291 뉴질랜드 혼자 버스 타고 쇼핑하러 가는 견공(?) NZ코리아포.. 18.01.17.
4290 호주 부동산 화제- 시드니 인근, 주택 가격 저렴한 해안 휴양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9 호주 NSW 주, ‘Be Water Safe, Not Sorry’ 캠페인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8 호주 2018년 대대적 변화가 전망되는 시드니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7 호주 광역시드니 각 카운슬의 개발신청 승인 상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6 호주 Australia Day... ‘호주’ 국가 출발을 기념하는 최대 국경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5 호주 정부 규제 강화로 외국인 부동산 구입,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4 호주 녹색당, “Australia Day의 날짜 변경 추진하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3 호주 대졸 신입 ‘정규직’ 취업난... 5명 중 1명, 첫 직장은 ‘파트타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2 호주 호주 각 지역 중 ‘일자리 찾기’ 가장 쉬운 지역은 NSW 주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1 호주 국민 언론 신뢰도, 한국 최하위…뉴스 공정성•정확성 모두 ‘낙제점’ 톱뉴스 18.01.19.
4280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가열 톱뉴스 18.01.19.
4279 호주 ‘지리멸렬’ 시드니 전철 사태…19일 24시간 파업 톱뉴스 18.01.19.
4278 호주 [호주오픈] 정현, 즈베레프에 기권승…2회전 진출 톱뉴스 18.01.19.
4277 호주 호주달러,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가파른 상승세 톱뉴스 18.01.19.
4276 호주 중국-호주, 불편한 관계 심화… 중국 매체, 호주에 융단 폭격 톱뉴스 18.01.19.
4275 호주 시드니 최고의 고학력자 동네: ‘로즈’(Rhodes) 톱뉴스 18.01.19.
4274 호주 정현, 메드베데프 3-0 완파…호주오픈 3회전 진출 톱뉴스 18.01.19.
4273 호주 베넬롱 낙선 크리스티나 케넬리, 상원의회 입성 확정적 톱뉴스 18.01.19.
4272 호주 호주 12월 고용 3만4천700명↑…예상 큰 폭 상회 톱뉴스 18.01.19.
4271 호주 건축 인허가 절차 가장 까다로운 카운슬은? 톱뉴스 18.01.19.
4270 호주 수퍼(퇴직연금) 조기 인출 사례 증가…정부 규정 완화 가능성 시사 톱뉴스 18.01.19.
4269 호주 "미니 주택단지가 뜬다" 톱뉴스 18.01.19.
4268 호주 새해맞이 풍수인테리어, 현관 꾸미기 톱뉴스 18.01.19.
4267 호주 방탄소년단 읽기, 낮은울타리 신상언 선교사 톱뉴스 18.01.19.
4266 호주 심심한 방학, 관심에 따라 만끽하는 재미가 달라요 톱뉴스 18.01.19.
4265 호주 26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맞아 페리톤 행사 열려 톱뉴스 18.01.19.
4264 뉴질랜드 뉴질랜드 전국 주택 연간 5.8%, 오클랜드 1.8% 상승 NZ코리아포.. 18.01.20.
4263 뉴질랜드 재신다 아던 총리 “6월에 첫 아기 출산해” NZ코리아포.. 18.01.20.
4262 뉴질랜드 사립 초중고 졸업 비용, 모두 36만 달러...국공립의 10배 NZ코리아포.. 18.01.20.
4261 뉴질랜드 하루 동안 3차례 지진 찾아온 CHCH, 피해 보고는 없어 NZ코리아포.. 18.01.20.
4260 뉴질랜드 싸움 현장 출동했다가 대박(?) 성과 올린 경찰 NZ코리아포.. 18.01.20.
4259 뉴질랜드 타우랑가, 오클랜드 제치고 주택 구입 가장 어려운 도시 NZ코리아포.. 18.01.22.
4258 뉴질랜드 지난해 부의 28%인 420억 달러, 인구 1% 키위 부자들 손으로... NZ코리아포.. 18.01.22.
4257 뉴질랜드 “수백만 마리 꿀벌이 집단 폐사한 원인은?” NZ코리아포.. 18.01.22.
4256 뉴질랜드 임대 계약에 인종과 혼인 관계 문제, 인권보호 위원회 불만 제소 NZ코리아포.. 18.01.23.
4255 뉴질랜드 집 나간 사이에 이름 2개나 더 갖게된 물오리 한 마리 NZ코리아포.. 18.01.23.
4254 뉴질랜드 교사가 부족해 은퇴 교사 재고용한 학교 NZ코리아포.. 18.01.23.
4253 뉴질랜드 남섬의 한 타운, 플라스틱 빨대 금지 캠페인 벌여 NZ코리아포.. 18.01.24.
4252 호주 센트럴코스트 임대료 상승, 시드니 외곽 지역 중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