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vate school fees skyrocket, surpassing wage growth and inflation rates

 

2018년 시드니의 사립학교 수업료 인상폭은 평균 3.9%로 파악됐다.

하지만 대표적 부유층 지역인 시드니 북부와 동부 지역에 소재한 사립학교의 대부분은 4%~5%의 인상곡선을 그렸다.

특히 지난 한해동안 호주의 임금인상률은 2%, 물가지수(인플레이션) 상승률은 1.8%에 그쳤다는 점에서 사립학교 학비 인상률이 과하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지난 5년 동안 시드니 사립학교의 학비는 평균 23.5% 포인트 인상됐고, 웨이벌리 지역에 소재한 세인트 캐서린 스쿨은 지난 2013년 2만6천 달러였던 12학년 학생 수업료가 올해는 3만5098달러로 총 35% 뛰어올랐다.

 

Sydney private school fees soar past $37,000

시드니 명문 사립학교 수업료 37 달러 돌파

 

한편 시드니의 일부 명문 사립학교의 연 수업료는 3만 7천 달러를 돌파하는 등 올해 들어서도 사립학교 학비가 최대 5% 가량 인상되는 등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시드니 동부지역의 명문 크랜브룩의 12학년 학생들의 올해 학비는 전년도 대비 4% 포인트 인상된 3만7,230달러로 치솟았다.

달링허스트 스켁즈(SCEGGS)의 12학년 수업료도 3만7282달러로 전년 대비 1% 포인트 인상됐다.

시드니 서부지역의 대표적 명문 남자학교 킹스의 12학년 학생 수업료가 처음으로 3만5천 달러를 넘어섰다.

크랜브룩의 니콜라스 샘슨 교장은 “교육적 투자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학교 수업료에 더욱 많은 특활 프로그램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NSW주 사립학교 연합의 제프 뉴콤 회장은 “교사 연봉과 테크놀로지 비용의 급격한 상승으로 수업료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뉴콤 회장은 “양질의 교육을 위해 교사들의 연봉을 동결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학교 당국은 학부모들의 재정적 부담을 최대한 고려해 학비 인상폭을 늘 최소화하면서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모나쉬 대학 교육학과의 데이비드 진지어 교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하면 명문 사립학교 12학년 학생들이 공립학교 12학년 학생들보다 전체적으로 더 우수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진지어 교수는 “한 마디로 공립학교들은 사립학교의 1/3 가량의 재원으로 사립학교의 성적을 따라잡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NSW주 HSC 시험에서 공립 셀렉티브 스쿨이 상위 톱 10을 거의 휩쓸었고, 일부 명문 일반 공립학교가 다수의 명문 사립학교의 성적을 앞질렀다.

일반 공입학교 가운데 첼튼햄 걸즈가 전체 성적에서 53위를 차지했고 윌러비 걸즈 하이가 61위, 체리브룩 텍이 68위 그리고 킬라라 하이가 78위를 각각 차지하면서 다수의 명문 사립학교를 따돌렸던 것.

가장 학비가 비싼 체리브룩은 41위, 세인트 캐서린은57위, 그리고 힐즈 그래마는 100위에 그쳤다.

사립학교 가운데는 시드니 그래마 스쿨이 6위, 애쉬캠 9위, 아보츨리 14위, 그리고 15위를 차지한 모리아 칼리지 등이 상위권에 포진됐다.

진지어 교수는 “경제적 측면에서만 굳이 따진다면 자녀를 사립학교에 보내는 것이 별다른 이득은 없고, 사립학교의 다양한 특별활동에 포함되는  조정, 보팅, 승마 등의 스포츠 등도 성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녀를 공립학교에 보냄으로써 생기는 여유 자금으로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오히려 더 많은 것을 해줄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고 조언했다.

고공행진 사립학교 학비등골 휘는 학부모

최근 5년간 사립학교 학비의 평균 인상률이 23.5%로 파악되는 등 수업료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립학교 진학률은 ‘철옹성’이다.

전국적으로 취학연령대 아동의 1/3이 사립학교에 재학중이다.

하지만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고생의 경우 45%가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다.

영국과 뉴질랜드의 경우 전체 아동의 사립학교 재학률은 6%에 불과하며 캐나다 7%, 그리고 미국은 9%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호주에서는 사립학교 열풍이 이어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계속되는 사립학교의 학비 인상 추세에 ‘학부모들의 등골은 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학부모의 가처분 소득 가운데 학비를 모두 감당하는 학부모는 49%, 투자수입이나 저축한 돈에서 학비를 지불하는 경우도 16%인 것으로 한 조사에서 드러났다.

교육연구기관 ‘에드스타트’의 조사에 따르면 부모 등 가족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7%였으며 심지어 신용카드로 학비를 돌려막는 경우도 16%로 파악됐다.

뿐만 아니라 자녀의 학비를 충당하기 위해 개인융자를 한 경우는 2%, 주택재융자를 받은 경우도 9%나 됐다.

즉, 사립학교 학부모의 65%만이 스스로 자녀들의 학비를 충당할 뿐 나머지 35%는 “학비 조달에 등골이 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http://topdigital.com.au/node/530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01 호주 시드니 교통 혼잡 해결, 1천100억 달러로도 부족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200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불구, 시드니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19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첫 주택구입자, 로젤 소재 테라스 주택 아쉽게 놓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198 뉴질랜드 뉴질랜드 한국교육원, NA CAPE와 업무협약 체결 NZ코리아포.. 19.03.07.
4197 뉴질랜드 연기없는 담배 세계 최초로 소개, 금연 관계자는 반대 NZ코리아포.. 19.03.07.
4196 뉴질랜드 뉴질랜드 30개 국가 추가로 조세 협정 체결, 모두 90개 국가와 협정 NZ코리아포.. 19.03.06.
4195 뉴질랜드 주택 가격 이미 높은 지역은 가격 하향세, 다른 지역은 가격 오르고 있어 NZ코리아포.. 19.03.06.
4194 뉴질랜드 전통 깨고 부인의 성을 따른 마오리 남성 NZ코리아포.. 19.03.06.
4193 뉴질랜드 키위 과일 수확시기 시작, 만 8천명 정도 근로자 필요 NZ코리아포.. 19.03.06.
4192 뉴질랜드 마운트 마웅가누이 해변 “6년째 국내 최고 해변으로 뽑혀” NZ코리아포.. 19.03.05.
4191 뉴질랜드 '너무 끔찍'-우편함에 남겨진 목잘린 아기 염소 NZ코리아포.. 19.03.05.
4190 뉴질랜드 지난 여름 “기상관측 사상 3번째로 더운 여름이었다” NZ코리아포.. 19.03.05.
4189 뉴질랜드 [사진뉴스 ]3.1절 100주년 기념, 웰링톤 마이클 파울러 센터에 태극 빛깔 조명 밝혀.. NZ코리아포.. 19.03.04.
4188 뉴질랜드 '올해의 젊은 농부' 타스만 지역, 노스 캔터베리 여성이 수상 NZ코리아포.. 19.03.04.
4187 뉴질랜드 NZ “1월 무역수지, 13년 만에 1월 기준 최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9.03.02.
4186 뉴질랜드 3살 아들 희귀병 치료 모금 위해, 웰링턴에서 오클랜드까지 걷는 부모 NZ코리아포.. 19.03.02.
4185 뉴질랜드 자전거가 전해주는 평화와 우정의 메시지-Otaki 초등학교 자전거 전달식 개최 NZ코리아포.. 19.03.01.
4184 뉴질랜드 뉴질랜드에 또다시 홍역 나돌아 NZ코리아포.. 19.03.01.
4183 뉴질랜드 ‘Sex and the City’의 사라 제시카 파커 “NZ 와인 제조에 함께 나선다” NZ코리아포.. 19.03.01.
4182 호주 NSW 주 선거- 집권 여당, 시드니 서부-지방 실업 문제 해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81 호주 NSW 주 선거- 노동당, 부자 과세 추진... 의료 인력 기금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80 호주 NSW 주 선거- 녹색당, “주택가격 적정화, 우선순위 지구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9 호주 줄리 비숍 전 외교장관 은퇴... “정치 벗어난 삶 살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8 호주 Great Australian road trips to take in 2019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7 호주 학부모들의 ‘school shopping’, 거주지 소재 하이스쿨 외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6 호주 임신 중인 자매의 뒷모습... 올해 인물사진 공모전 ‘최우수상’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5 호주 NSW 학교들, 장애 학생 급속 증가에 큰 ‘압박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4 호주 주택 공급자들, 지난 10년 이래 가장 큰 매매가 할인율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 들어 가장 많은 660채 주택, 경매 매물로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2 뉴질랜드 [영상] “한 마리 새처럼 공중을 훨훨~” 카이트 서핑 즐기는 견공 NZ코리아포.. 19.02.28.
4171 뉴질랜드 휴 잭맨 “9월에 오클랜드에서 NZ 첫 공연한다” NZ코리아포.. 19.02.28.
4170 뉴질랜드 질병으로 입국 거부당한 NZ교사의 캐나다 남편 “의료비 포기하고 워크비자 받아 NZ코리아포.. 19.02.28.
4169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개인용 불꽃놀이 폭죽 판매 금지 공식화 예정 NZ코리아포.. 19.02.28.
4168 뉴질랜드 매일 다른 사람이 버린 담배 꽁초 줍는 여성 NZ코리아포.. 19.02.28.
4167 뉴질랜드 NZ 전 총리, 부도난 건설회사 책임으로 6백만 달러 지불 판결 받아 NZ코리아포.. 19.02.27.
4166 뉴질랜드 한 카이로프랙틱, 치료비 대신 물품으로..."코하" 정책 제시 NZ코리아포.. 19.02.27.
4165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학교, 등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9.02.27.
4164 뉴질랜드 취학전 아동 양육, 5년전보다 2배 비용 들어 NZ코리아포.. 19.02.26.
4163 뉴질랜드 사춘기 소년에게 음란한 공격, 오클랜드 우버 기사 추방 결정 NZ코리아포.. 19.02.26.
4162 뉴질랜드 마약과 권총 , 골프 전동차 배터리 부분에 숨겨 밀수한 2명 구속 NZ코리아포.. 19.02.26.
4161 뉴질랜드 크루즈 방문객들 검문없이 입국, 보안에 구멍 NZ코리아포.. 19.02.22.
4160 뉴질랜드 웰링턴, 열차와 버스 운전사 부족 NZ코리아포.. 19.02.22.
4159 뉴질랜드 조세 실무팀, 포괄적 개념의 양도 소득세 도입 제안 NZ코리아포.. 19.02.22.
4158 호주 노동당 지지율 크게 하락... 노동당-연립 지지율 2%로 좁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7 호주 NSW 주가 제공하는 가계생계비 부담 완화 정책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6 호주 시드니 가계 지출, 건강보험-의료비 지출 가장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5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4 호주 한 자동차 수집가의 ‘Aston Martin DB5’, 새 호주교통박물관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3 호주 미국, 대호주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중국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2 호주 중국인들, 뉴질랜드 여행 ‘보이콧’... 화웨이 통신장비 거부에 ‘보복’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