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신종플루' 이후 최악, 보건 관계자들 백신 접종 권고
 
flushot.jpg
▲올해 독감이 미 전역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관계자들은 백신 접종이 최선 방책이라고 권고하고 있다. 사진은 롱우드시 윈딕시 수퍼마켓 앞에 나붙은 독감주사 홍보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전역을 강타한 독감이 세력을 확대하며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현재 중앙플로리다 지역 의사 사무실과 응급실은 밀려드는 독감 환자들로 메워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 약국에는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의 품귀현상까지 빚고 있다. 또 지난 주 팬핸들 지역의 걸프 카운티는 교육구 차원에서 모든 학교를 폐쇄하는가 하면, 팜비치 카운티에서는 12세 남학생이 독감으로 사망했다.

플로리다주 보건부(FDH)는 1월 셋째주인 지난주가 주간별로 따져 사상 최고로 집단 독감 유행이 심했던 시기라고 밝히고, 너싱홈과 장기 요양원을 포함한 52개 단체에서 독감 환자들이 속출했다고 전했다. FDH는 독감시즌이 16주에서 20주 정도인 점을 감안해 올해 독감 유행이 앞으로 몇 주 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올해 독감 시즌이 2009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일명 ‘돼지 독감’·H1N1) 이후 가장 극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유행하는 독감 바이러스는 H3N2로 비록 신종은 아니지만,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보다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CDC는 이번 시즌처럼 독감 유행이 극심할 경우 독감 환자가 3400만명, 독감으로 의사나 병원을 찾는 환자가 1600만명이 될 수 있고, 입원 환자도 70만명이 넘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또 성인과 아동을 포함해 5만6000명이 독감으로 사망할 수 있다.

현재까지 전국에서 독감으로 인한 어린이 사망자는 최소 37명이며, 이중 3명이 플로리다에서 나왔다. 이 숫자는 평년과 비슷하지만 독감 시즌이 진행되면서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독감 환자 대부분은 1∼2주 내로 회복하지만, 면역력이 약하거나 노약한 환자는 독감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보건 관계자들은 올해와 같은 독감 유행에는 독감 백신 접종과 타미플루 등 항바이러스제 처방이 무기이며, 특히 어린이, 노인, 임신부 그리고 천식과 당뇨, HIV 질환자들처럼 독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군 환자들은 더욱 신경써야 한다고 권고했다.

독감주사의 효력은 2달 뒤에 나타나기 때문에 9월부터 10월에 접종이 많이 이뤄진다. 그러나 보건 관계자들은 독감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접종이라며, 지금이라도 독감주사를 맞으라라고 권고한다.

또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는 독감을 치료하는 직효약은 아닐지라도 독감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간을 단축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독감 초기 48시간내에 투입하면 더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독감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수칙으로는 손씻기, 양치질, 스트레스 해소, 충분한 수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독감 환자는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 사람들과 섞일 때는 타인에게 전염이 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37 미국 바이든 "성인 90%, 4월 19일까지 백신 접종 마치도록 하겠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4.03.
2936 미국 대형 텍사스 주유소 ‘버키스’, 플로리다에 문 열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4.03.
2935 미국 플로리다 식당-영화관 출입에 ‘백신 패스포트’? 코리아위클리.. 21.04.03.
2934 미국 올랜도 I-4익스프레스, 더이상 '렉서스 레인' 아니다 코리아위클리.. 21.04.03.
2933 미국 플로리다 백신 접종, 4월 5일부터 16세 이상으로 확대 코리아위클리.. 21.04.03.
2932 캐나다 밴쿠버 식당 2곳 영업 계속, 당국 규제에 반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2931 캐나다 부활절 나흘간 BC주 코로나19 성적표...일일 평균 101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2930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임직원, 제주 4.3 평화공원 참배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7.
2929 캐나다 BC 코로나19 백신접종 3단계 예약은 온라인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8.
2928 캐나다 BC, 연방-주정부 코로나19 대응 만족도 높은 편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8.
2927 캐나다 BC 이제 1000명 대 일일 확진자가 일상...변이바이러스가 문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8.
2926 캐나다 반아시아 인종차별이 증가하는 가운데 대응에 관한 행동 촉구 Hancatimes 21.04.09.
2925 캐나다 퀘벡주 학생과 학부모들 주정부에 학교 재개 정책을 되돌릴 것을 요청 Hancatimes 21.04.09.
2924 캐나다 퀘벡주, 55세 미만의 시민들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중단 Hancatimes 21.04.09.
2923 캐나다 퀘벡주 보건복지부 장관 “퀘벡주가 COVID-19 3차 웨이브에 있다.”라고 밝혀 Hancatimes 21.04.09.
2922 캐나다 퀘벡주, 3차 웨이브로 인해 다시 규제 강화 예정 Hancatimes 21.04.09.
2921 캐나다 교육부, 영어교육청에게 모든 고등학생들은 다시 학교로 돌아와야 된다고 강조 Hancatimes 21.04.09.
2920 캐나다 퀘벡주, 앞으로 10일동안 3개 도시 특별 제재 Hancatimes 21.04.09.
2919 캐나다 화이자 백신 “청소년에 높은 예방효과” Hancatimes 21.04.09.
2918 캐나다 국립공중보건연구소, 근로자들에게 직장에서도 항상 마스크를 착용을 권고 Hancatimes 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