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거지역).jpg

우리 사회의 필수 서비스 직종인 경찰-소방관-교사-간호사 분야 종사자들의 거주 지역이 지난 10년 사이 크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주택 가격과 임대료로 인해 도심 인근을 더나 먼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시드니 외곽의 한 신규 주거단지(ABC 뉴스화면 캡처).

 

‘Urban Housing Lab’ 보고서... 높은 주택 가격-임대료 부담으로

연구진, “경찰 등 필수 서비스 인력의 거주지-직장 거리는 가까워야”

 

지난 2016년 8월 실시된 인구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필수 사회 서비스 직종 및 특정 직종 종사자들의 시드니 지역 거주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도심 인근 지역에 거주해야 하는 이들이 시드니 먼 외곽에 다수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본지 1277호- 2018년 1월26일 자 보도).

지난 수년간 이어진 주택 가격의 엄청난 상승으로 인해 도심 이내 지역(inner city) 및 도심과 가까운 지역(middle-ring)의 경찰-소방관-간호사-교사 등 필수 서비스 직종 종사자 상당수가 도심에서 더 먼 거리의 지역으로 말려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사가 나왔다. 이로 인해 각 분야 종사자가 고루 분포되어야 하는 지역 기반이 느슨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주 월요일(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한 연구 자료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년(2006년에서 2016년) 사이 파라마타 지역(Parramatta region)은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가장 많이 떠난 곳으로, 감소폭은 21.4%에 달했다. 이어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가 -15.2%로 집계됐으며, 시드니 이너 사우스웨스트(inner south west. -14.6%), 라이드(Ryde. -14.2%), 이너웨스트(inner west. -11.3%) 순이었다.

같은 기간 광역시드니를 벗어난 NSW 주 남부, 서던 하일랜드(Southern Highlands)는 지역 내 필수직종 종사자 거주 비율이 17%나 증가했으며 헌터밸리(Hinter Valley. +13.6%), 일라와라(Illawarra. +10.5%) 또한 경찰-소방관-간호사-교사 거주 인구가 늘어났다.

이번 연구는 시드니대학교 도시개발 및 주택정책 연구소인 ‘Urban Housing Lab’이실시한 것으로, 보고서는 “시드니 지역의 경우 핵심 종사자의 거주지와 직장 사이의 공간적 불일치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대도시 지역(metropolitan region), 특히 도심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기는 하지만 대다수는 대도시 외곽의 먼 교외 지역(outer ring suburbs)에 몰려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고서는 이들 직종 종사자들을 도심으로부터 먼 거리의 외곽으로 밀어내는 요인으로 ‘높은 주택 가격과 임대료’를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가시적인 주택정책 혁신 또는 정책이 없는 한 이들의 도심(또는 인근) 지역 거주 비율을 더 낮출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이너시드니(inner Sydney) 지역의 중간 가격 주택 구입을 위한 20%의 디포짓(deposit)을 마련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은 8.4년이었으나 2016년에는 13년으로 늘어났다. 그 사이 주택 가격이 크게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들 직종 종사자 가운데 이제 막 근무를 시작한 간호사(entry level enrolled nurse)가 얻는 임금에 맞는 적정 가격의 주택 임대료 지역은 시드니에서 자동차로 약 2시간30분 거리인 헌터밸리(Hunter Valley) 지역의 세스녹(Cessnock)이었다.

교직원 상호은행(Teachers Mutual Bank)의 스티브 제임스(Steve James) 대표는 “세스녹은 시드니의 어느 병원으로 가더라도 150킬로미터 거리, 왕복 300킬로미터가 된다”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전했다.

이런 가운데 보고서는 어렵지 않은 정책 변화로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직장과 가까운 곳에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시드니 대도시의 일부 지역에는 이들 필수 직종 종사자들이 얻은 임금으로는 주택 가격이나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만큼 주택 가격이 저렴한 지역의 개발을 확대해 이들을 위한 주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시드니 대학교(Sydney University)의 니콜 그란(Nicole Gurran) 정책 분석가는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통합적 주택 및 지역개발 정책(inclusionary planning)을 통해 개발자들이 부동산 가격을 낮추도록 만들면 주요 공공 서비스 직종 종사자들의 이동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Urban Housing Lab’의 이번 조사는 또한 필수 직종 종사자들의 경우 직장까지의 거리가 멀다 보니 개인 승용차 이용이 많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율은 5%에 불과했다. 이는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일반인 비율 12.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이다.

그란 교수는 “핵심 직종 종사자들로 하여금 주택 가격이 저렴한 지역에다 대중교통 이용도 불편한 곳에 거주하도록 강요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우리 사회 최우선 필수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이 주택 가격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높은 비용 때문에 먼 출퇴근 거리를 왕복해야 하는 현실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 시드니 시티(City of Sydney), 울라라(Woollahra) 및 모스만 카운슬(Mosman Council) 지역은 교사-경찰-소방관-간호사 등 필수 직종 종사자 거주 비율이 가장 낮은 카운슬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들의 거주 비율이 높은 곳은 시드니 먼 외곽의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 캠든(Camden), 광역시드니를 벗어난 카이야마(Kiama)였다.

지난 달, 호주 통계청의 ‘센서스 2016’ 자료를 기반으로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외곽 지역 중 경찰 종사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서부 펜리스(Penrith) 인근의 글렌모어 파크(Glenmore Park)였다. 이곳은 시드니 도심에서 55킬로미터 거리이다.

 

■ 필수 직종 종사자들의 지역별 이탈

(2006-2016년 사이)

-Parramatta : -21.4%

-Eastern suburbs : -15.2%

-Inner South West Sydney : -14.6%

-Ryde : -14.2%

-Inner West Sydney : -11.3%

-Illawarra : +10.5%

-Hunter Valley : +13.6%

-Southern Highlands : +17%

Source: The University of Sydney; Urban Housing Lab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거지역).jpg (File Size:73.6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01 호주 시드니 교통 혼잡 해결, 1천100억 달러로도 부족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200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불구, 시드니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19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첫 주택구입자, 로젤 소재 테라스 주택 아쉽게 놓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4198 뉴질랜드 뉴질랜드 한국교육원, NA CAPE와 업무협약 체결 NZ코리아포.. 19.03.07.
4197 뉴질랜드 연기없는 담배 세계 최초로 소개, 금연 관계자는 반대 NZ코리아포.. 19.03.07.
4196 뉴질랜드 뉴질랜드 30개 국가 추가로 조세 협정 체결, 모두 90개 국가와 협정 NZ코리아포.. 19.03.06.
4195 뉴질랜드 주택 가격 이미 높은 지역은 가격 하향세, 다른 지역은 가격 오르고 있어 NZ코리아포.. 19.03.06.
4194 뉴질랜드 전통 깨고 부인의 성을 따른 마오리 남성 NZ코리아포.. 19.03.06.
4193 뉴질랜드 키위 과일 수확시기 시작, 만 8천명 정도 근로자 필요 NZ코리아포.. 19.03.06.
4192 뉴질랜드 마운트 마웅가누이 해변 “6년째 국내 최고 해변으로 뽑혀” NZ코리아포.. 19.03.05.
4191 뉴질랜드 '너무 끔찍'-우편함에 남겨진 목잘린 아기 염소 NZ코리아포.. 19.03.05.
4190 뉴질랜드 지난 여름 “기상관측 사상 3번째로 더운 여름이었다” NZ코리아포.. 19.03.05.
4189 뉴질랜드 [사진뉴스 ]3.1절 100주년 기념, 웰링톤 마이클 파울러 센터에 태극 빛깔 조명 밝혀.. NZ코리아포.. 19.03.04.
4188 뉴질랜드 '올해의 젊은 농부' 타스만 지역, 노스 캔터베리 여성이 수상 NZ코리아포.. 19.03.04.
4187 뉴질랜드 NZ “1월 무역수지, 13년 만에 1월 기준 최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9.03.02.
4186 뉴질랜드 3살 아들 희귀병 치료 모금 위해, 웰링턴에서 오클랜드까지 걷는 부모 NZ코리아포.. 19.03.02.
4185 뉴질랜드 자전거가 전해주는 평화와 우정의 메시지-Otaki 초등학교 자전거 전달식 개최 NZ코리아포.. 19.03.01.
4184 뉴질랜드 뉴질랜드에 또다시 홍역 나돌아 NZ코리아포.. 19.03.01.
4183 뉴질랜드 ‘Sex and the City’의 사라 제시카 파커 “NZ 와인 제조에 함께 나선다” NZ코리아포.. 19.03.01.
4182 호주 NSW 주 선거- 집권 여당, 시드니 서부-지방 실업 문제 해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81 호주 NSW 주 선거- 노동당, 부자 과세 추진... 의료 인력 기금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80 호주 NSW 주 선거- 녹색당, “주택가격 적정화, 우선순위 지구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9 호주 줄리 비숍 전 외교장관 은퇴... “정치 벗어난 삶 살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8 호주 Great Australian road trips to take in 2019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7 호주 학부모들의 ‘school shopping’, 거주지 소재 하이스쿨 외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6 호주 임신 중인 자매의 뒷모습... 올해 인물사진 공모전 ‘최우수상’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5 호주 NSW 학교들, 장애 학생 급속 증가에 큰 ‘압박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4 호주 주택 공급자들, 지난 10년 이래 가장 큰 매매가 할인율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 들어 가장 많은 660채 주택, 경매 매물로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4172 뉴질랜드 [영상] “한 마리 새처럼 공중을 훨훨~” 카이트 서핑 즐기는 견공 NZ코리아포.. 19.02.28.
4171 뉴질랜드 휴 잭맨 “9월에 오클랜드에서 NZ 첫 공연한다” NZ코리아포.. 19.02.28.
4170 뉴질랜드 질병으로 입국 거부당한 NZ교사의 캐나다 남편 “의료비 포기하고 워크비자 받아 NZ코리아포.. 19.02.28.
4169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개인용 불꽃놀이 폭죽 판매 금지 공식화 예정 NZ코리아포.. 19.02.28.
4168 뉴질랜드 매일 다른 사람이 버린 담배 꽁초 줍는 여성 NZ코리아포.. 19.02.28.
4167 뉴질랜드 NZ 전 총리, 부도난 건설회사 책임으로 6백만 달러 지불 판결 받아 NZ코리아포.. 19.02.27.
4166 뉴질랜드 한 카이로프랙틱, 치료비 대신 물품으로..."코하" 정책 제시 NZ코리아포.. 19.02.27.
4165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학교, 등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9.02.27.
4164 뉴질랜드 취학전 아동 양육, 5년전보다 2배 비용 들어 NZ코리아포.. 19.02.26.
4163 뉴질랜드 사춘기 소년에게 음란한 공격, 오클랜드 우버 기사 추방 결정 NZ코리아포.. 19.02.26.
4162 뉴질랜드 마약과 권총 , 골프 전동차 배터리 부분에 숨겨 밀수한 2명 구속 NZ코리아포.. 19.02.26.
4161 뉴질랜드 크루즈 방문객들 검문없이 입국, 보안에 구멍 NZ코리아포.. 19.02.22.
4160 뉴질랜드 웰링턴, 열차와 버스 운전사 부족 NZ코리아포.. 19.02.22.
4159 뉴질랜드 조세 실무팀, 포괄적 개념의 양도 소득세 도입 제안 NZ코리아포.. 19.02.22.
4158 호주 노동당 지지율 크게 하락... 노동당-연립 지지율 2%로 좁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7 호주 NSW 주가 제공하는 가계생계비 부담 완화 정책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6 호주 시드니 가계 지출, 건강보험-의료비 지출 가장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5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4 호주 한 자동차 수집가의 ‘Aston Martin DB5’, 새 호주교통박물관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3 호주 미국, 대호주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중국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2 호주 중국인들, 뉴질랜드 여행 ‘보이콧’... 화웨이 통신장비 거부에 ‘보복’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