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3-1.jpg

 

 

프랑스가 계속된 겨울비로 침수피해가 속출한 가운데, 이번에는 폭설로 곳곳의 도로가 끊기는 등 극심한 혼잡을 겪고 있다.

 

파리 에펠탑은 폭설로 인해 이틀째 입장이 금지됐으며, 수도권 일드프랑스 지역에는 46개의 보호소가 문을 열고 폭설로 집에 가지 못한 사람들을 수용하기도 했다. 

프랑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6일 밤과 7일 새벽 사이, 파리에만 12㎝가량의 눈이 내렸고 기온은 영하 7도 이하로 떨어져 빙판길로 변했다. 

 

겨울에도 눈을 좀처럼 보기 힘든 파리에서 이처럼 많은 눈이 내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이로 인해 6일 밤부터 파리의 주변 도로는 자동차들로 뒤엉켰고 도로가 얼어붙으면서 일반 버스와 통학버스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프랑스 북부 지역에서는 눈과 강풍으로 고속철도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다가 8일 오후에야 재개되기도 했다. 

 

파리와 외곽 위성도시들을 잇는 주요 도로들도 폭설로 고립된 마을들도 생겨났고, 샤를 드골과 오를리 두 공항에서는 항공기 이착륙 일정이 대부분 지연되는 등 큰 혼잡을 빚기도 했다.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에 걸쳐 있는 알프스 산간 지대 곳곳도 교통이 두절돼 관광객들이 고립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알프스 최고봉인 몽블랑 자락에 있는 프랑스 샤모니의 스키장은 눈사태 위험이 커짐에 따라 폐쇄됐으며이 일대의 주요 도로와 터널 상당수도 교통이 통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폭설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세느강변 상류의 마을들이다. 최근 오랫동안 이어진 겨울비로 크게 불어난 강물이 다시 빠지기도 전에 한파와 폭설이 겹쳐 피해가 컸다.

 

파리 시는 불가피한 일이 아니면 승용차를 몰고 시내에 진입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파리 주변 도로의 대형 트럭 진입도 금지했다. 

기상청은 이번 주말까지 흐린 날씨가 계속되며 간헐적으로 눈 비가 내릴 예정이라며, 파리 인근의 현 8곳을 포함한 프랑스 전역 28개 현에 악천후와 도로 결빙으로 인한 오렌지색 경보를 발령했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편집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0 프랑스 ‘닷 파리’ 도메인, 본격 개통 프랑스존 14.12.04.
869 프랑스 종교의 역사와 예술의 도시, 아비뇽, Avignon 프랑스존 14.12.04.
868 프랑스 화기애애했던 재불한인회장선거 & 재불한인송년의 밤 프랑스존 14.12.04.
867 프랑스 재불한인회장 세대교체, 한인사회 도약의 계기로 file 프랑스존 14.12.04.
866 영국 영국 노동자들, 실질임금 하락 가장 커 유로저널 14.12.11.
865 독일 독일, 미국 다음 두번째로 중요한 이주국가 유로저널 14.12.11.
864 프랑스 작은 정성 큰 베품, 함께 보내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프랑스존 14.12.18.
863 프랑스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마르세유, Marseille 프랑스존 14.12.18.
862 프랑스 이국정취 가득한 프랑스의 폴리네시아, 글래낭 군도 프랑스존 14.12.18.
861 프랑스 이한치한? 연말 추위를 즐기는 방법 프랑스존 14.12.18.
860 프랑스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보내면서… 프랑스존 14.12.18.
859 독일 경제 전문가, 독일경제 예상 의외로 성장할 것 유로저널 15.01.07.
858 영국 영국주택가격, 하루 평균 42파운드(약 70달러) 인상 유로저널 15.01.07.
857 베네룩스 네덜란드인의 모슬림에 대한 부정적 시각 최고조에 달해 유로저널 15.01.07.
856 기타 터키 여행시 친근하게 접근하는 터키인들 주의해야 유로저널 15.01.07.
855 프랑스 프랑스인 60%, 외국인들 투표참여에 반대 유로저널 15.01.07.
854 독일 세계 위기에도 불구, 큰 성장 이룬 독일의 경제 유로저널 15.01.22.
853 영국 통계청, "영국 인구 이민자 증가로 크게 늘어" 유로저널 15.01.22.
852 프랑스 파리 테러 이후 프랑스 여론의 단면 유로저널 15.01.22.
851 기타 25일 조기총선 앞둔 그리스, 경제정책 가장 큰 변수 유로저널 1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