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상어 1).jpg

호주 과학-산업연구 기관인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연구원들이 상어에 대한 최초 연구에 상어에 부착한 꼬리표, DNA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호주 동부에서 뉴질랜드에 이르는 해역에 새끼 상어를 포함, 5천500마리의 백상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은 호주 동부 해역의 백상어(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캡처).

 

CSIRO 분석... ‘인명피해 방지-상어보호 정책 마련의 중요 기반’ 평가

 

호주의 여름 시즌에 가장 경계해야 할 위험 대상 중 하나로 상어가 꼽힌다. 서핑이나 수영 등 해변에서의 휴가 중 상어 공격으로 목숨을 잃는 이들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물론 목숨을 앗아가는 호주의 위험 동물-곤충 가운데 상어로 인한 사건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지난 해 1월 멜번대학교 연구진이 ‘내과 저널’(Internal Medicine Journal)을 통해 소개한 ‘위험 생물’ 분석(2000년-2013년 사이 자료)에 따르면 목숨을 빼앗거나 치명적 상해를 입힌 공물-곤충에는 꿀벌이나 말벌, 뱀, 거미, 틱 또는 개미, 등이 있다.

실제로 호주의 상어연구 권위자로 꼽히는 서던크로스대학교(Southern Cross University) 해양생태학자 다니엘 부처(Daniel Bucher) 박사는 “여러 건의 상어공격 뉴스가 있지만 상어에 물려 목숨을 잃는 사례는 낮은 편”이라는 의견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가장 위험한 생물 중 하나이며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NSW 주 정부는 유명 해변에 상어의 접근을 차단하는 그물망 설치를 시도하기는 했으나 그 실효성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가운데 호주 동부 해안에 5천500여 마리의 백상어(white shark)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 상어 공격으로부터 수영객, 서퍼들을 보호하면서 상어 개체 보존을 위한 진지한 토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주 금요일(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연방정부 과학-산업연구 기관인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의 연구 보고서를 인용, 보도하면서 “연구원들은 이번 보고서가 상어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 영역에서 분명한 증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CSIRO 연구원들이 상어개체에 대한 최초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를 업데이트한 상어 서식 확인 프로젝트는 호주 해안의 백상어 개체에 대한 가장 견실한 추정치라는 평가이다. 이번 연구는 상어 꼬리표 붙이기(tagging), DNA 및 상세한 통계치를 결합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원들은 약 750마리의 백상어 성체가 타스마니아(Tasmania)에서 센트럴 퀸즐랜드(central Queensland) 동부 해안 및 뉴질랜드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했으며, 보다 폭넓게는 최소 470마리에서 최대 1천3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새끼 상어를 포함하면 백상어 수는 전체 5,460마리에서 많게는 1만2,800마리로 추정됐다.

아울러 또 다른 1,460마리의 백상어 성체 그룹은 호주 남서부 해역, 빅토리아 주 서부(western Victoria)에서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북서부 해역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수치는, 적게는 760마리에서 최대 2,250마리에 달하는 게 연구원들의 분석이다. 여기에는 어린 백상어 개체 수치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지난해 12월 상어 개체에 대한 예비 수치가 발표되었을 당시 조슈아 프라이덴버그(Joshua Anthony Frydenberg) 환경부 장관은 “서부 호주(WA) 노동당 주 정부가 해변에서의 상어 공격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연구원들은 보고서에서 “이번의 새로운 데이터가 백상어를 보호하기 위한 첫 단계이자 정책 결정을 위한 기본 정보가 되며 멸종위기 상태의 백상어 개체를 보존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종합(상어 2).jpg

이번 백상어 개체 조사 프로젝트를 진행한 CSIRO 연구원들은 이번 분석 결과가 상어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고 또 상어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사진 : Pixabay

 

호주 동부와 남서부 해역에 서식하는 두 그룹의 상어 개체는 1990년대 후반 보호정책이 시작된 것으로, 백상어 성체 수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약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호주 해안에 서식하는 상어 개체가 늘었다는 증거는 확인하지 못했다는 게 연구원들의 설명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방 정부의 ‘국립 환경과학 프로그램’(ational Environmental Science Programme) 중 ‘해양생물 다양성 허브’(Marine Biodiversity Hub)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다.

최근 수년 사이 NSW 주 북부 해안의 상어공격을 막기 위한 조치로 NSW 주가 상어 접근을 차단하는 그물망 설치 및 드럼라인(drumline) 등으로 상어 보전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어 왔다.

겨울철을 제외한 시기, NSW 주 50개 이상의 해변에 설치되는 상어 그물망은 백상어를 비롯해 다른 종의 상어들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퀸즐랜드 주 또한 85개의 해변에 그물망과 드럼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지난 2014년 당시 서부 호주(WA) 주 자유당 정부는 상어공격 위험이 높은 해안의 수영 및 서핑 해역에 ‘Kill zones’를 설정하고 이 해역 안에 접근한 상어에 대해서는 포획하거나 죽이는 것을 허용한 바 있다. 당시 주 정부의 이 정책은 환경부를 비롯해 각 시민단체들로부터 공개적인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미국 기반의 세계적 환경단체인 ‘Humane Society International’의 호주 해양과학자인 제시카 모리스(Jessica Morris)씨는 상어개체 보호 정책을 결정하기 전, 지난 10여 년 간의 상어 남획, 서식지 파괴 및 상어통제 프로그램에 의해 백상어들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상어는 건강한 생태계를 위해 매우 중요한 생물종이며, 호주 정부는 이 생물종의 본질과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해안으로 접근한 상어를 죽이는 것이 우리 해변을 더 안전하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많은 연구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상어 1).jpg (File Size:53.5KB/Download:33)
  2. 종합(상어 2).jpg (File Size:62.2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뉴트럴베이 아파트, 입찰자들 ‘눈치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50 호주 중국인들, 뉴질랜드 여행 ‘보이콧’... 화웨이 통신장비 거부에 ‘보복’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9 호주 미국, 대호주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중국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8 호주 한 자동차 수집가의 ‘Aston Martin DB5’, 새 호주교통박물관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7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6 호주 시드니 가계 지출, 건강보험-의료비 지출 가장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5 호주 NSW 주가 제공하는 가계생계비 부담 완화 정책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4 호주 노동당 지지율 크게 하락... 노동당-연립 지지율 2%로 좁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2643 뉴질랜드 조세 실무팀, 포괄적 개념의 양도 소득세 도입 제안 NZ코리아포.. 19.02.22.
2642 뉴질랜드 웰링턴, 열차와 버스 운전사 부족 NZ코리아포.. 19.02.22.
2641 뉴질랜드 크루즈 방문객들 검문없이 입국, 보안에 구멍 NZ코리아포.. 19.02.22.
2640 뉴질랜드 마약과 권총 , 골프 전동차 배터리 부분에 숨겨 밀수한 2명 구속 NZ코리아포.. 19.02.26.
2639 뉴질랜드 사춘기 소년에게 음란한 공격, 오클랜드 우버 기사 추방 결정 NZ코리아포.. 19.02.26.
2638 뉴질랜드 취학전 아동 양육, 5년전보다 2배 비용 들어 NZ코리아포.. 19.02.26.
2637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학교, 등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9.02.27.
2636 뉴질랜드 한 카이로프랙틱, 치료비 대신 물품으로..."코하" 정책 제시 NZ코리아포.. 19.02.27.
2635 뉴질랜드 NZ 전 총리, 부도난 건설회사 책임으로 6백만 달러 지불 판결 받아 NZ코리아포.. 19.02.27.
2634 뉴질랜드 매일 다른 사람이 버린 담배 꽁초 줍는 여성 NZ코리아포.. 19.02.28.
2633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개인용 불꽃놀이 폭죽 판매 금지 공식화 예정 NZ코리아포.. 19.02.28.
2632 뉴질랜드 질병으로 입국 거부당한 NZ교사의 캐나다 남편 “의료비 포기하고 워크비자 받아 NZ코리아포.. 19.02.28.
2631 뉴질랜드 휴 잭맨 “9월에 오클랜드에서 NZ 첫 공연한다” NZ코리아포.. 19.02.28.
2630 뉴질랜드 [영상] “한 마리 새처럼 공중을 훨훨~” 카이트 서핑 즐기는 견공 NZ코리아포.. 19.02.28.
262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올 들어 가장 많은 660채 주택, 경매 매물로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8 호주 주택 공급자들, 지난 10년 이래 가장 큰 매매가 할인율 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7 호주 NSW 학교들, 장애 학생 급속 증가에 큰 ‘압박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6 호주 임신 중인 자매의 뒷모습... 올해 인물사진 공모전 ‘최우수상’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5 호주 학부모들의 ‘school shopping’, 거주지 소재 하이스쿨 외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4 호주 Great Australian road trips to take in 2019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3 호주 줄리 비숍 전 외교장관 은퇴... “정치 벗어난 삶 살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2 호주 NSW 주 선거- 녹색당, “주택가격 적정화, 우선순위 지구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1 호주 NSW 주 선거- 노동당, 부자 과세 추진... 의료 인력 기금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20 호주 NSW 주 선거- 집권 여당, 시드니 서부-지방 실업 문제 해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8.
2619 뉴질랜드 ‘Sex and the City’의 사라 제시카 파커 “NZ 와인 제조에 함께 나선다” NZ코리아포.. 19.03.01.
2618 뉴질랜드 뉴질랜드에 또다시 홍역 나돌아 NZ코리아포.. 19.03.01.
2617 뉴질랜드 자전거가 전해주는 평화와 우정의 메시지-Otaki 초등학교 자전거 전달식 개최 NZ코리아포.. 19.03.01.
2616 뉴질랜드 3살 아들 희귀병 치료 모금 위해, 웰링턴에서 오클랜드까지 걷는 부모 NZ코리아포.. 19.03.02.
2615 뉴질랜드 NZ “1월 무역수지, 13년 만에 1월 기준 최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9.03.02.
2614 뉴질랜드 '올해의 젊은 농부' 타스만 지역, 노스 캔터베리 여성이 수상 NZ코리아포.. 19.03.04.
2613 뉴질랜드 [사진뉴스 ]3.1절 100주년 기념, 웰링톤 마이클 파울러 센터에 태극 빛깔 조명 밝혀.. NZ코리아포.. 19.03.04.
2612 뉴질랜드 지난 여름 “기상관측 사상 3번째로 더운 여름이었다” NZ코리아포.. 19.03.05.
2611 뉴질랜드 '너무 끔찍'-우편함에 남겨진 목잘린 아기 염소 NZ코리아포.. 19.03.05.
2610 뉴질랜드 마운트 마웅가누이 해변 “6년째 국내 최고 해변으로 뽑혀” NZ코리아포.. 19.03.05.
2609 뉴질랜드 키위 과일 수확시기 시작, 만 8천명 정도 근로자 필요 NZ코리아포.. 19.03.06.
2608 뉴질랜드 전통 깨고 부인의 성을 따른 마오리 남성 NZ코리아포.. 19.03.06.
2607 뉴질랜드 주택 가격 이미 높은 지역은 가격 하향세, 다른 지역은 가격 오르고 있어 NZ코리아포.. 19.03.06.
2606 뉴질랜드 뉴질랜드 30개 국가 추가로 조세 협정 체결, 모두 90개 국가와 협정 NZ코리아포.. 19.03.06.
2605 뉴질랜드 연기없는 담배 세계 최초로 소개, 금연 관계자는 반대 NZ코리아포.. 19.03.07.
2604 뉴질랜드 뉴질랜드 한국교육원, NA CAPE와 업무협약 체결 NZ코리아포.. 19.03.07.
260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첫 주택구입자, 로젤 소재 테라스 주택 아쉽게 놓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
2602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불구, 시드니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