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너리 소유 상당수가 앨버타 자본

 

news_img1_1519147229.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트랜스마운틴 사태로 인해 노틀리 주정부가 B.C주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시행하면서 일부에서는 이번 조치로 인해 오히려 앨버타 비즈니스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윌로우 파크 와인 앤 스피릿의 구매 담당 부사장 페기 페리 씨는 “이번 주정부의 B.C주 와인 수입금지 조치로 매우 당혹스럽다. 노틀리 주정부가 B.C주 와이너리 상당수의 주인이 앨버타 자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녀는 “오카나간 와이너리의 50%의 소유주는 앨버타 자본이다. 제 발등을 찍는 조치가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밝혔다. 또한, “B.C와인 수입금지 조치가 한 달 이상 지속될 경우 얼스와 같은 대규모 레스토랑 체인은 와인 리스트를 변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주 수요일을 기점으로 수입금지 조치가 시행되어 AGLC는 앨버타에 현재 B.C주 와인 재고가 약 16만 케이스, 한 달 정도의 공급량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앨버타의 경제 보복조치에 대해 B.C주 존 호간 주수상은 앨버타에 대한 재보복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며 앨버타 산 소고기 수입 금지 등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호간 주수상은 B.C주의 이번 조치에 대해 주정부의 고유 권한이라는 점과 B.C주 시민들의 이익을 위한 결정임을 재확인했다. 
페리 부사장은 “B.C와 앨버타 간의 정치적 분쟁이 결국 비즈니스를 볼모로 잡고 있는 형국”이라며 분석했다. 
오카나간의 킨혼 크릭 바인야드 젠 넬스 매니저는 “만약 앨버타 주정부가 수입금지조치를 지속할 경우 우리는 다른 지역으로 판매처를 확보할 수 밖에 없다”라고 밝혔다. 현재 이 와이너리에서 생산된 와인의 15%는 앨버타 지역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77 미국 콜로라도주 식품점 총기 난사, 경찰 포함 10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6 미국 플로리다주 증오 단체 68개, 인구 대비 전국 1위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5 미국 '코비드 밀물'에 달아오른 마이애미 주택시장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4 미국 플로리다 변종 코로나 환자 912명 '미국 최고치'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3 미국 디즈니 월드 등 올랜도 테마파크 관광객 '우글우글'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2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접종연령, 50세 이상으로 낮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1 캐나다 실내 종교 서비스 제한적 허용 밴쿠버중앙일.. 21.03.30.
2970 캐나다 BC주 3차 코로나19 대유행 지옥문 열리다...26일 확진자 908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9 캐나다 노스밴도서관서 마구 칼 휘둘러 7명 사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8 캐나다 써리RCMP, 성범죄 피해자의 신고 요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7 캐나다 BC 30일부터 4월 19일까지 다시 식당 실내 영업 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6 캐나다 BC주 사상 일일 최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5 캐나다 퀘벡주, 3월 26일부터 체육관 재개 허용 Hancatimes 21.03.31.
2964 캐나다 퀘벡주와 연방정부,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위해 1억달러 투자 Hancatimes 21.03.31.
2963 캐나다 캐나다 총리와 퀘벡주 총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강조 Hancatimes 21.03.31.
2962 캐나다 몬트리올 지역, 3월 17일부터 통행금지 완화 Hancatimes 21.03.31.
2961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몬트리올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3.31.
2960 캐나다 코비드19 확진 캐나다인 96%, '경고 앱' 제대로 이용 못해 Hancatimes 21.03.31.
2959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
2958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