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에 한국어 포함 총 인구는 10만 9705명

중국어, 일어, 러시아어 주사용자도 소수 존재

언어로만 진정한 한인 추산하는데 어려워

 

 

캐나다의 인구센서스가 조사 기간 중 캐나다에 (단기여행 제외)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전수 조사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이지만 그 결과가 정확히 한인 수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특히 한국 공관이나 각 지역 한인사회가 파악하고 있는 한인 숫자와도 너무 큰 차이가 나 이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도 필요하다.

 

연방통계청이 2016년도 인구센서스 조사를 기준으로 2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모국어 중에 한국어가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 총 수는 10만 9705명이다. 이중 단일 응답자는 총 10만 8420명이었고, 영어나 불어와 같은 공식언어가 주 모국어라고 대답한 수는 2700명이었다. 이들 중 영어가 모국어라 한 수는 2655명, 불어는 50명이으로 5명은 영어와 불어 모두 사용하는 인구다.

 

공식언어가 아닌 한국어를 주 모국어라 대답한 순 숫자는 총 10만 5475명이다.

 

복수 응답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대답한 인구 중 6만 8685명은 영어나 불어를 가정에서 주로 쓰지 않는다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에서 한국어를 모국어 중의 하나로 사용하지만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인구도 3만 9735명이었다. 불어는 240명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한국어를 단일 모국어로 꼽지도 않고 영어나 프랑스어도 아닌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은 몇 명이고 누구일까하는 의문이 남는다. 한국어와 공식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수는 560명이다. 이들을 보면 일어가 80명, 중국어가 115명 등으로 재일동포나 중국 조선족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또 러시아어도 5명, 크로아티아도 5명 등은 구소련에 의해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이탈리아가 15명, 네덜란드 5명, 베트남어 5명, 필리핀어 사용자 5명 등도 나타났다. 더 이상한 것은 벵골어 사용자 5명, 우르두어 사용자 5명, 카렌어 사용자 5명, 티벳-버마 5명, 그리고 북아프리카 지역 언어인 셈족어를 쓰다는 사람도 5명 등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응답도 나왔다.

 

데이터를 메트로밴쿠버 지역으로만 한정해서 다시 도출해 보면 모국어에 한국어를 포함 한 수는 총 3만 4220명이다. 이중 단일 응답의 경우 공식언어 사용자가 775명으로 비공식어 사용자는 3만 3065명이다. 

이들 중 한국어 단일 응답자는 3만 2985명이었다. 이외에 일본어 사용자가 30명, 중국어가 30명, 몽고어가 5명, 독어가 5명, 스페인어가 5명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이란어가 5명, 우르두어가 5명, 베트남어가 5명 등이 섞어 있다.

 

모국어 중 하나로 한국어라고 한 인구 중 가정에서 주로 영어를 쓰는 인구는 1만 1770명이고 불어가 10명이었으며 공식어 이외의 언어를 쓰는 인구가 2만 2180명이었다.

 

이번 인구센서스 통계 자료를 통해 모국어 중 한국어를 포함 시킨 인구와 이중 한국어만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모국어라고 대답한 경우, 그리고 이민 2세 이상의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한인 등이 영어를 모국어라고 대답했을 경우 인구센서스의 한국어 사용자만으로 전국적이나 메트로밴쿠버 지역의 한인 인구를 추산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2017년도 한국 외교부의 재외동포 현황 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로 한인 수는 24만 942명이다. 밴쿠버 총영사관 관할지역(BC, 알버타, 사스카추언)은 10만 1802명이다. 이는 인구센서스의 한국어 기준으로 본 결과와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수치다.  

 

이는 비단 캐나다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등에서도 외교부 등 한국 정부나 한인사회의 비공식 한인 추정치와 한국어 사용자로 추산되는 한인 수가 2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결국 한국어 사용자로 한인을 구분할 지 아니면 한국적 정서와 유대감을 갖고 재외동포로 볼 지 아니면 한국 국적자만 한국인으로 볼지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요구된다.

 

특히 한국에서 자유한국당 국회의원과 주요 언론사들이 재외동포를 매국노 외국인으로 적대시 보는 마당에 한국적 동질감을 누구까지 포함시킬지 한국과 재외동포 사회가 심도 있게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77 미국 콜로라도주 식품점 총기 난사, 경찰 포함 10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6 미국 플로리다주 증오 단체 68개, 인구 대비 전국 1위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5 미국 '코비드 밀물'에 달아오른 마이애미 주택시장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4 미국 플로리다 변종 코로나 환자 912명 '미국 최고치'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3 미국 디즈니 월드 등 올랜도 테마파크 관광객 '우글우글'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2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접종연령, 50세 이상으로 낮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1 캐나다 실내 종교 서비스 제한적 허용 밴쿠버중앙일.. 21.03.30.
2970 캐나다 BC주 3차 코로나19 대유행 지옥문 열리다...26일 확진자 908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9 캐나다 노스밴도서관서 마구 칼 휘둘러 7명 사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8 캐나다 써리RCMP, 성범죄 피해자의 신고 요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7 캐나다 BC 30일부터 4월 19일까지 다시 식당 실내 영업 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6 캐나다 BC주 사상 일일 최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5 캐나다 퀘벡주, 3월 26일부터 체육관 재개 허용 Hancatimes 21.03.31.
2964 캐나다 퀘벡주와 연방정부,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위해 1억달러 투자 Hancatimes 21.03.31.
2963 캐나다 캐나다 총리와 퀘벡주 총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강조 Hancatimes 21.03.31.
2962 캐나다 몬트리올 지역, 3월 17일부터 통행금지 완화 Hancatimes 21.03.31.
2961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몬트리올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3.31.
2960 캐나다 코비드19 확진 캐나다인 96%, '경고 앱' 제대로 이용 못해 Hancatimes 21.03.31.
2959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
2958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