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세척보다 물과 전기 덜 소요, 소독효과까지 있어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워킹맘이 흔한 미국에서는 식기 세척기(디시 워셔) 사용이 일반화 되어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 사용으로 절약되는 시간은 일년에 3주정도라고 한다. 또 식기 세척기는 물과 전기 소모가 많을 것이라는 일반인들의 생각과는 달리 세척기에 그릇을 모아 하루 한 번정도 돌린다면 오히려 물과 전기가 절약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에 헹굼이 이루어져 위생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식기 세척기의 장점이다.
 

dish1.jpg
▲ 식기 세척기
 

식기 세척기는 밑부분 모토가 돌아가면서 바닥에 급수된 물이 위로 올라가 날개 모양의 회전 분사기의 구멍을 통해 물살을 내뿜는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에 세척제와 적절한 물의 온도가 그릇의 세척을 도우며, 마지막 헹굼의 온도(82-92℃)는 건조, 소독에 큰 역할을 한다.

세척과정은 식기류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예비 세척, 세제가 투입돼 그릇이 닦여지는 본 세척 그리고 세척이 끝난 후 건조과정등 세가지로 나뉘어 진다.

매달 식초 한 컵 사용하면 미네랄 쌓이는 것 방지

식기세척기는 처음 몇년간은 별 고장없이 쓰는 게 보통이지만 정기적인 세척기 청소를 해준다면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세척기 작동을 더디게 만드는 것 중 하나는 기름때와 물속의 석회여분이 곳곳에 끼어 물이 제대로 분사가 되지 않거나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려면 한 달에 한번씩 식초 한 컵을 그릇에 부어 빈 세척기내 아래 그릇 받침에 놓고 세척기를 돌리면 세척기에 미네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유리컵에 자국이 남아있는 것이 감지되면 물의 레벨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세척기내에 물이 정상적으로 차게 한 다음 문을 열어 물의 양이 어느정도인지 첵크해 본다. 정상이라면 세척기 문턱까지 거의 차게 된다.

만약 물이 이보다 훨씬 낮다면 물 주입구 스크린에 찌꺼기가 끼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찌꺼기를 제거해 주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또 물을 분사하는 날개에 난 구멍들도 막혔나 확인하고 이쑤시개 같은 것을 이용해 청소해 준다.

세척기 아래에는 물을 덥히는 코일이 있다. 이 코일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아보려면 세척하기 전 싱크대 밑의 온수 꼭지를 잠그고 세척 중간과정쯤에 문을 열어 코일이 뜨거운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세척이 끝난 후 바닥에 1인치 정도 혹은 그 이상의 물이 고여있다면 배수가 잘 되지 않은 것이다. 이때는 펌프가 막혔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또 배수 호스가 막혔거나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다.

바닥의 물이 점점 불어난다면 물 주입 밸브가 세고 있다는 것을 뜻하므로 더 큰 문제를 일으키기 전에 밸브를 교체해야 한다. 모든 전자제품이 그러하듯 식기 세척기도 조그마한 이상이 감지될 때 수리해 주어야 큰 고장을 막을 수 있다.

다음은 식기 세척기 사용시 주의할 점들이다.

(1) 식기 세척기용 전용세제를 사용한다. 시중의 가정용 중성세제(퐁퐁, 트리오등)를 사용하면 세척기 내부에 과다한 거품 발생으로 세척능력이 떨어짐은 물론, 고장의 원인이 된다.

(2) 식기세척기로 세척하기 전에 식기류에 묻은 큰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다.

(3) 접시처럼 크고 세척이 더 필요한 그릇은 아래에 두고 유리컵 등 비교적 깨끗한 식기는 윗칸에 둔다.

(4)적정량의 세제와 린스제를 사용한다. 린스제는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나와 그릇에 물방울이 앉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물자국이 덜 남고 빨리 건조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

(5)연수제(Water Sofner) 넣는 곳이 있다면 연수용 소금인 그래뉼라 솔트(granular salt) 만을 사용해야 한다. 이 소금은 물속의 칼슘을 분해, 경수를 연수로 만들어 세척제를 적게 사용케 하며 세척기에 미네랄이 끼는 것을 방지해 수명을 높힌다. 보통 한달에 한번 가득 부어두면 된다.

(6)세척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꼼꼼히 청소한후 배수밸브를 열어 물탱크의 물을 완전히 빼내는 것은 물론, 마른걸레등으로 물기를 제거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97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 주택보험 '시티즌스'에 빨간불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6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브라잇라인' 디즈니까지 연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5 캐나다 BC주 일일 확진자 올해 들어 2번째로 많은 737명 나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4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3 캐나다 교육운전면허 차량에 5살 여아 등 3명 치여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2 캐나다 북미 아시안 여성들 죽을 만해서 죽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91 캐나다 BC 주말 3일간 확진자 1785명 추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90 캐나다 오타와그룹 통상장관, WTO 개혁 및 코로나-19 대응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89 캐나다 애틀랜타 총격 사건에 대한 넬리 신 연방하원 의원 성명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8 캐나다 작년 아시안 인종혐오 사건 수 BC주 전국 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7 캐나다 외교부 김건 차관보, 비세그라드 그룹 공관장회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6 캐나다 BC 백신 접종은 늘어나는데 코로나19 상황 점점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5 캐나다 BC 2월 불법마약물 사망자 15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4 캐나다 버나비 공원 불탄 사체 살해 용의자 15세 청소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3 캐나다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요금 2년 만에 2.3% 인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2 캐나다 BC주 코로나19, 3차 대유행 지옥문 열렸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1 캐나다 BC주민 "백신 여권 좋은 아이디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0 미국 엣취! 중앙플로리다지역 꽃가루 시즌 한창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9 미국 "아시아계 증오 멈춰라"...'애틀랜타 총격 사건’ 규탄 시위 확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8 미국 지난해 미국내 사이버 범죄 79만건, 1년새 70%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