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은 포키머신 수 불구, 지난 회계연도 730억 달러 ‘매출’

 

주 정부가 NSW 지역민들의 도박 피해를 줄이기 위한 취지로 포키머신 수를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지난 회계연도(2014-15년) 클럽이나 펍(Pub) 등 포키머신 도박업체의 연 매출 규모는 730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토요일(21일), NSW 주 ‘Liquor and Gaming Authority’(ILGA) 당국으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인용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이는 이전 해의 680억9천만 달러보다 43억 달러가 늘어난 것이다.

특히 43억 달러의 매출 증가(6%)는 주 정부가 지속적으로 포키머신 수를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우려가 되고 있다.

 

NSW 지역으로 보면 가장 매출이 높은 곳은 페어필드(Fairfield)였으며, 이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총 3,394대의 포키머신이 올린 연간(2014-15년) 매출은 76억 달러에 달했다.

페어필드 지역 포키머신의 이 같은 매출 증가는 이전 회계연도(2013-14년)보다 6억2,900만 달러가 늘어난 것으로, 2014-15 회계연도가 끝나는 지난 6월30일까지 이 지역 포키머신 수는 410대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현재 페어필드 카운슬 지역 내 클럽에 설치된 포키머신은 2,917대에 달하며 이 지역 펍(Pub)에서 가동되는 포키머신은 477대에 이른다. 이 같은 포키머신 수(3,394대)를 감안하면 지난 한 해 동안 이 지역 포키머신 1대가 올린 매출 규모는 220만 달러에 달하는 셈이다.

 

특정 지역 거주민들의 높은 도박 지출은 페어필드만이 아니다. 캔터베리(Canterbury) 지역의 경우 지난 한 해 포키머신 도박 매출은 36억7천만 달러로 NSW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이 수치는 이전 해에 비해 2억2,300만 달러가 늘어난 것이다.

 

캔터베리 지역의 포키머신 수는 지난 6월말까지 211대가 줄어 1,988대로 집계됐으며, 이렇게 볼 때 포키머신 1대가 올린 매출은 평균 184만 달러에 이른다.

 

뱅스타운(Bankstown) 카운슬 지역의 포키머신 매출 또한 캔터베리 수준에 거의 육박하는 수치로, 이 지역 포키머신 매출은 한 해 동안 총 36억6천만 달러에 달해 전년보다 2억5,400만 달러가 늘어났다.

이 기간(2014-15 회계연도) 뱅스타운 지역의 포키머신은 236대가 줄어 총 2,527대였다. 뱅스타운 지역 포키머신 1대의 연 평균 매출은 140만 달러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ILGA가 최근 내놓은 연간 보고서 상의 이 수치는 포커머신 도박업체의 수익이 아니라 전체 매출 규모이다. 이와 관련, ILGA 대변인은 NSW 주 포키머신의 경우 도박자의 수익률은 90%라고 주장했다. 즉 도박자들이 100달러를 포키머신에 지출할 경우 90달러는 거둬들인다는 얘기다.

 

이 보고서 상의 수치를 보면, 지난 한 해 NSW 주 전체 포키머신 도박자가 지출한 금액은 73억 달러에 달한다.

 

현재 NSW 주 관련법은 포키머신 기계를 팔았을 경우 매 3대마다 한 대는 정부가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같은 규정은 NSW 내 포키머신 수를 줄이면서 또한 포키머신 도박자에게도 피해가 덜 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 같은 규정에 대해 멜번 소재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 도박 연구원인 찰스 리빙스턴(Charles Livingstone) 박사는 “NSW 주 정부의 최근 수치를 분석한 결과, 이 계획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리빙스턴 박사는 NSW 주 정부가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것은 주 내에 너무 많은 포키머신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렇다고 이 모든 포키머신이 동시에 가동되는 것은 아니기에 그 수를 줄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도박자들이 장시간 포키머신 기계 앞에 앉아 심각한 도박에 빠져들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도박기계 수를 줄이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라는 그는 “다만 문제는, 지속적으로 도박업체들의 수익을 줄일 수 없는 시스템 자체에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리빙스턴 박사는 NSW 주 전체의 포키머신 수를 7만 대 수준 또는 그 이하로 줄일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NSW 주의 포키머신 매출 증가에 대해 ILGA 대변인은 그러나 “NSW 경제가 나아지고 있는 점, 그리고 인구가 늘어난 데서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포키머신 도박 시장은 경제환경 및 인구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 한편 NSW 도박관련 부처 장관(Gaming Minister)을 겸하고 있는 트로이 그란트(Troy Grant) 부수상실 대변인은 “포키머신 수 감소 방안을 지지한다”고 언급하면서 “포키머신 수를 감소시킨다는 정부 정책에 따라 매년 이 부분 도박 규모를 엄청나게 줄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도박업체들로부터 나오는 ‘Responsible Gambling Fund’를 통해 도박자들에게 중요한 상담 및 도박치료를 위한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포키머신).jpg (File Size:44.1KB/Download:5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83 호주 ‘민주평통’, 아시아 부의장에 이숙진씨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17.08.24.
1382 호주 '부머즈' 2017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컵 우승 톱뉴스 17.08.25.
1381 호주 [인터뷰] 쓸쓸한 현대인의 초상 영화 싱글라이더, 이주영 감독 톱뉴스 17.08.25.
1380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총리 韓 방문, 서울시와 양해각서 체결 톱뉴스 17.08.25.
1379 호주 찬양하는 축구선수, 브리즈번 시티의 박승철 선수 톱뉴스 17.08.25.
1378 호주 지금 평창은, 동계올림픽 준비에 한창 톱뉴스 17.08.25.
1377 호주 “색다른 도전으로, 새로운 무대를” 톱뉴스 17.08.25.
1376 호주 래이 윌리엄스 NSW 주 다문화 장관, 스트라스필드 주민과 소통 톱뉴스 17.08.25.
1375 호주 김기민 시드니 한국교육 원장 부임 톱뉴스 17.08.25.
1374 호주 2017 NSW 카운슬 선거, 한국계 후보 6명 출사표 톱뉴스 17.08.30.
1373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의 ‘진흙탕 싸움’ 톱뉴스 17.08.30.
1372 호주 “아버지를 닮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1371 호주 ‘찾아가는 한국문화원’ 행사, 이번에는 퀸즐랜드 주에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1370 호주 “한인 동포들의 요구 사항, 우선 관심 항목에 두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1369 호주 청춘수사액션<청년경찰> 31일부터 호주상영 톱뉴스 17.09.01.
1368 호주 제 8회 호주한국영화제 10일 간의 시드니 일정 마쳐 톱뉴스 17.09.01.
1367 호주 “더 나은 우리의 ‘일상’을 위해 귀 기울이겠다” 톱뉴스 17.09.01.
1366 호주 “한인 권익 증진에 앞장서겠습니다” 톱뉴스 17.09.01.
1365 호주 “지역 사회에 꼭 필요한 변화 만들겠다” 톱뉴스 17.09.01.
1364 뉴질랜드 뉴린에 위치한 아라호스쿨 학생들 한국문화 체험 NZ코리아포.. 17.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