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버타와 B.C주정부,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상황

 

news_img1_1519670285.jpg

 

트랜스마운틴 사태를 두고 앨버타와 B.C주의 갈등이 점점 더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양 주의 집권당의 정치적 사활이 걸린 이슈가 되어 어느 한 쪽도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B.C주 존 호간 NDP정부는 소수 정당으로 녹색당과 연정을 통해 집권했으며 파이프라인 반대를 총선 핵심 공약으로 제시하며 정권을 창출했다. 2016년 트뤼도 연방정부의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승인에도 불구하고 B.C주 버나비 시의 행정 승인 지연, B.C주정부의 오일 누출 연구 등 파이프라인 좌초를 위한 매우 치밀한 방법을 사용하며 저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B.C주 존 호간 NDP정부는 자신들의 공약을 취소할 경우 연정 와해 등의 심각한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뒤로 물러설 틈이 없다. 
앨버타 노틀리 주정부 또한 내년 2019년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트랜스마운틴에 대한 포기는 정권 재창출 포기나 다름 없는 사형선고이기 때문에 한 치의 양보나 물러서는 모습을 앨버타 시민들에게 보여서는 안되는 중차대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양측 모두 배수의 진을 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트뤼도 연방정부의 승인이나 결정이 현재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주 NEB가 트랜스마운틴 터널 입구 일부 공사 시행을 결정했지만 B.C주나 버나비 시는 미동도 하지 않으며 항소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노틀리 주정부는 B.C주에 대해 전력 구매 협상 중단과 B.C주 와인 전면 수입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추가로 더욱 강력한 경제 보복조치를 강구하고 있다며 B.C주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방정부 또한 양측의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강온전략을 구사하고 나섰다. 현재 B.C주정부와 트랜스마운틴 사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지난 주 B.C주와 연방정부간의 차일드 케어 예산 지원 기자회견을 급작스럽게 취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방정부는 기자회견 취소에 대해 “트랜스마운틴 사태와 연관이 없다”라고 밝혔지만 B.C주와 연방정부는 약 1억 5천 백만 달러의 예산 지원에 대한 합의를 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궁금증이 일고 있다. 
이런 와중에 B.C주 야당인 자유당이 “파이프라인 논쟁은 결국 수 많은 B.C주 시민들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며 앨버타와 연방정부의 대B.C주 보복조치를 우려하고 나섰다. 자유당 앤드류 윌킨스 리더는 “B.C주를 향한 앨버타와 연방정부의 제재조치가 기다리고 있다. 앨버타와 연방정부는 모두 부인하고 있지만 그들의 움직임은 이미 B.C주를 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B.C주 존 호간 주정부는 이번 트랜스마운틴 사태를 장기화하는 전략을 사용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앨버타 노틀리 주정부와 연방정부, 그리고 B.C주정부가 정치적 사활이 걸린 싸움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97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 주택보험 '시티즌스'에 빨간불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6 미국 플로리다 고속철 '브라잇라인' 디즈니까지 연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5 캐나다 BC주 일일 확진자 올해 들어 2번째로 많은 737명 나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4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19 검사 10명 중 7명...BC주 절반도 안 돼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3 캐나다 교육운전면허 차량에 5살 여아 등 3명 치여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3.
2992 캐나다 북미 아시안 여성들 죽을 만해서 죽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91 캐나다 BC 주말 3일간 확진자 1785명 추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90 캐나다 오타와그룹 통상장관, WTO 개혁 및 코로나-19 대응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4.
2989 캐나다 애틀랜타 총격 사건에 대한 넬리 신 연방하원 의원 성명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8 캐나다 작년 아시안 인종혐오 사건 수 BC주 전국 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7 캐나다 외교부 김건 차관보, 비세그라드 그룹 공관장회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5.
2986 캐나다 BC 백신 접종은 늘어나는데 코로나19 상황 점점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5 캐나다 BC 2월 불법마약물 사망자 15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4 캐나다 버나비 공원 불탄 사체 살해 용의자 15세 청소년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6.
2983 캐나다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요금 2년 만에 2.3% 인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2 캐나다 BC주 코로나19, 3차 대유행 지옥문 열렸나?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1 캐나다 BC주민 "백신 여권 좋은 아이디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7.
2980 미국 엣취! 중앙플로리다지역 꽃가루 시즌 한창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9 미국 "아시아계 증오 멈춰라"...'애틀랜타 총격 사건’ 규탄 시위 확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8 미국 지난해 미국내 사이버 범죄 79만건, 1년새 70%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