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방 심사 중 95명

한국 국적 취득 속였다 들통 

 

캐나다에 정착한 탈북자 수천 명이 추방됐다는 아랍권 매체 알자지라의 보도에 이어 최근 5년간 캐나다에서 이미 추방된 탈북자가 상당수에 이르며 100여 명은 추방 절차를 밟고 있다는 또 다른 보도가 나왔다.

 

미국 RFA방송은 캐나다 국경관리국(CBSA)을 취재한 결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국외로 추방된 탈북자 수가 165명에 이른다고 21일 보도했다. 2013년 17명에서 시작된 추방은 2014년 71명으로 많이 증가했다. 이후 2015년 44명, 2016년 24명으로 감소했고 2017년에는 9명이 캐나다를 떠났다.

 

이미 캐나다를 떠난 이들 외에도 추방 절차가 진행 중인 사람은 95명이라며 알자지라의 수천 명 추방 기사는 오보라고 CBSA는 밝혔다.

 

캐나다에서 탈북자들이 추방되는 까닭은 이들이 북한에서 나온 후 한국에 도착해 한국 국적까지 받은 사실을 난민 신청 당시 숨겼기 때문이다. 캐나다탈북인총연합회는 한국에 있어도 북한으로 납치돼 처형되거나 선전에 이용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탈북자들 전체가 간첩행위를 할 수 있는 위험그룹으로 매도돼 캐나다 등 다른 국가로 제2의 탈북을 했다고 광고를 통해 주장했다.

 

캐나다 정부는 난민지위 박탈에 이어 캐나다 영주권을 받은 경우에까지 조사를 확대하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17 캐나다 퀘벡주, 65세 이상에게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Hancatimes 21.03.18.
3016 캐나다 퀘벡주 초고속 인터넷 확대를 위해 약 7억 달러 투자 발표 Hancatimes 21.03.18.
3015 캐나다 몬트리올 지역, 곧 65세까지 백신 접종 확대 Hancatimes 21.03.18.
3014 캐나다 몬트리올 총기폭력에 시달리는 지역사회 단체를 위해 140만 달러 지원 Hancatimes 21.03.18.
3013 캐나다 퀘벡주 보건 전문가, “백신 접종 후에도 보건수칙 유지 할 것” Hancatimes 21.03.18.
3012 캐나다 몬트리올 공중보건국장, "적극적인 개입으로 COVID-19가 정체기 접어들어" file Hancatimes 21.03.18.
3011 캐나다 캐나다 보건당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 유발 징후 없다" file Hancatimes 21.03.18.
3010 캐나다 퀘벡주 COVID-19 1주년…국회와 시청서 추모 행사 등 전국적 애도 file Hancatimes 21.03.18.
3009 캐나다 애틀란타 총격 사건, 캐나다 한인도 안전하지 않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
3008 캐나다 버나비서 또 살인사건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
3007 캐나다 코로나19 안전 조치를 위한 감시 사회 file 밴쿠버중앙일.. 21.03.19.
3006 캐나다 BC 필수 일선 노동자 우선 백신 접종 가능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3005 캐나다 BC주 6월까지 모든 주민 1차 백신 접종 완료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3004 캐나다 백신 효과는 언제나...확진자 다시 600명 대로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3.20.
3003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브라질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첫 출현 CN드림 21.03.22.
3002 캐나다 캐나다 학교 교실서 17세 소녀 칼에 찔려 사망 file CN드림 21.03.22.
3001 캐나다 캐나다 대표 한인 식품 기업 '21세기', 신사옥으로 확장 이전 file CN드림 21.03.22.
3000 미국 바이든 "7월 4일엔 가족과 함께 바베큐 파티를"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9 미국 연방정부, 1조9천억 달러 경기 부양책 최종 승인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
2998 미국 우주선 부품 주어갈 경우 '절도죄' 적용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