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양론 팽팽히 맞서

 

news_img1_1520272324.jpg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확장 프로젝트를 두고 팽팽히 맞서고 있는 앨버타와 B.C주의 갈등을 보고 있는 캐나다 국민들의 여론 또한 찬반으로 분명하게 나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앵거스 라이드 인스티튜트가 실시한 앨버타에서 B.C주 버나비 시까지 이어지는 트랜스마운틴 파이프라인 확장 지지 여부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49%는 강력하게 또는 신중하게 파이프라인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3은 반대, 나머지는 “확실하지 않다”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파이프라인 지지 의견은 앨버타에서 75%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B.C주에서는 48%가 찬성, 반대는 이에 못 미치는 40%로 나타났다. 다른 지역에서는 퀘백을 제외하고 반대보다는 찬성에 더 많은 표를 던진 것으로 집계되었다. 
파이프라인 지지 여부에 대한 조사로 본다면 앨버타와 연방정부의 손쉬운 승리로 끝날 것 같지만 대 시민 관계로 본 조사 결과는 이와는 조금 다른 면을 보여 주고 있다. B.C주 존 호간 주수상이 “현재 문제는 정치나 경제가 아닌 B.C주 시민의 권리에 대한 이야기”라며 파이프라인 확장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오일 누출 등의 사고 위험을 시민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이에 반해 노틀리 주수상은 파이프라인 문제를 캐나다 경제와 일자리 문제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미 앨버타 비투만이 수송 능력의 한계로 인해 WTI 가격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앨버타로서는 트랜스마운틴 지연이 큰 아픔으로 다가 오고 있다. 지난 주 화요일 스코샤 뱅크는 파이프라인 수송 능력 한계로 인해 입은 캐나다 경제의 손실이 올 해 들어서만 무려 100.8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한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대 시민 관계에서 본 파이프라인 여론은 각각 50대 50으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앵거스 라이드의 여론조사 책임자 샤치 컬 씨는 “파이프라인 문제는 캐나다 국민들이 정확하게 둘로 나뉘는 형상을 보이고 있다. 마치 4인 가족 구성원 중 2대2로 맞서 싸우는 상황이다”라고 분석했다. 
각 주정부에 대해서도 앨버타 시민 82%, 사스카치완 시민 70%가 노틀리 주수상의 주장에 대해 보다 설득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온타리오 시민들 또한 근소하게 노틀리 주수상에 대한 지지를 보였다. 반면 B.C주 58%, 대서양 인근 주들의 경우 55%의 주민들은 B.C주 존 호간 주수상의 의견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열을 가리기 힘든 여론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국민 55%는 B.C주정부의 파이프라인 지연 정책에 대해 잘못된 것으로 평가했으며 45%는 찬성의견을 나타냈다. 심지어 B.C주에서도 52%가 존 호간 주정부의 정책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 대표 디렉터는 “너무나 복잡하고 갈등적인 이슈로 인해 캐나다 국민들의 의견 또한 어느 쪽으로 기울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15일부터 19일까지 2,501명의 캐나다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57 캐나다 코퀴틀람 RCMP 보행자 사고 다시 경고 밴쿠버중앙일.. 18.10.31.
3656 캐나다 세계한인의 날 유공 포상전수식 밴쿠버중앙일.. 18.10.31.
3655 캐나다 加 최초 프로게임팀 창단, 韓 게이머로 구성 밴쿠버중앙일.. 18.10.31.
3654 캐나다 마리화나 첫날, 앨버타 모습 살펴보니 CN드림 18.10.30.
3653 캐나다 국제 유가 상승에 반색하던 주정부 아연실색? CN드림 18.10.30.
3652 미국 재산세 추가 공제’ 플로리다 입법 발의안 통과될까? 코리아위클리.. 18.10.26.
3651 미국 부모 절반, “독감 예방주사가 독감 걸리게 한다” 코리아위클리.. 18.10.26.
3650 미국 걸프만 적조 현상 대서양 마이애미까지 침범 코리아위클리.. 18.10.26.
3649 미국 볼턴, ‘북미2차정상회담 내년 1월에 가능’ file 뉴스로_USA 18.10.26.
3648 캐나다 캐나다포스트 배달 중단 밴쿠버중앙일.. 18.10.24.
3647 캐나다 캐나다, 사우디 언론인 살인 비난 성명 발표 밴쿠버중앙일.. 18.10.24.
3646 캐나다 포브스 세계 500대 최고 고용주 캐나다 고작 1개 밴쿠버중앙일.. 18.10.24.
3645 캐나다 마리화나, 이제 무엇이 불법이고 무엇이 합법인가 CN드림 18.10.23.
3644 캐나다 캘거리 공항, 국제 여행객에 “마리화나는 놔두고 타세요” CN드림 18.10.23.
3643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올림픽에 7억불 지원 결정 CN드림 18.10.23.
3642 캐나다 앨버타 마리화나 판매점, 수 년 안에 500개 될 수도 CN드림 18.10.23.
3641 캐나다 정병원 신임 총영사 한인사회 첫 인사 밴쿠버중앙일.. 18.10.20.
3640 캐나다 8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3410명 밴쿠버중앙일.. 18.10.20.
3639 미국 기록적인 조기투표, 민주당에 유리한가? file 뉴스앤포스트 18.10.20.
3638 미국 최신 여론조사 “켐프 47 대 아브람스 46” file 뉴스앤포스트 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