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561139162cc5175cbbb8f5429c6dd4d_1520401
 

지난 2월 26일 (월요일) 오클랜드 미술관 Mackelvie Gallery 에서 열린 “A Night of Art and Opera” 는 한국의 소프라노 김민지(한국예술종합학교)교수의 독창회 형식으로 미술 전시회의 테마인 Love, Longing, Loss 의 각 테마 마다 오클랜드 미술관의 큐레이터 Emma Jameson 의 미술 작품의 배경및 작가소개와 교민음악가 왕주철 박사가 연주곡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휴식없이 한 시간에 걸쳐 진행된 이번 음악회는 미술전시회 주제에 맞게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의 미술작품과 시대적으로 연결된 음악 프로그램으로 이태리 예술가곡, 오페라 아리아및 한국의 정애련 곡의 “별을 캐는 밤” 등  8곡을 독창으로 그리고 왕주철 박사의 더블베이스 독주도 2곡 연주 되었다. 

 

관객으로는 현지인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다양한 민족의 관객은 물론 연령층도 20대 초반부터 장년층의 키위 현지인들이 주 관객이었지만 인도, 중국등 아시안들도 몇몇 눈에 뛰었다. 각 곡이 끝날때 마다 관객의 뜨거운 호응으로 미술관의 음악회는 공간예술과 시간예술의 좋은 만남이었으며 공연후 관객들은 미술품들을 감상하는 시간을 갖음으로 눈과 귀를 통해 예술을 접하는 아주 알찬 시간을 보냈다.

 

그동안 대다수의 한국에서 온 음악가들이 교민들의 대상으로 이루어진 공연 이었다면, 이번 음악회는 뉴질랜드 공공단체의 초청에 의해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며, 무료 음악공연이 대부분인 오클랜드 겔러리는 상당히 높은 가격($45-55)의 유료 음악회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서 이와 비슷한 공연이 지속되기를 희망한다고 미술관의 총 실무를 담당한 Johnny Hui (Public Programmes Manager) 는 자신감을 내비치며, 이번 음악회의 기획은 한국 음악가들에 대한 믿음이 있어 준비 할수 있었다고 전했다.

 

미술관 공연담당 총 책임자인 Neal Stimler (Head of Public Engagement)은 서신을 통해 오클랜드 미술관은 유능한 음악가들의 아름다운 음악회를 통해 미술작품을 더 홍보하고 새로운 관객들이 미술관과 더욱 친밀해지고 나아가 정기회원으로 발전하는 기회를 얻은 계기가 되었으며 이 공연이 가능할 수 있게 collaboration 해준것에 감사의 이메일을 보내왔다고 왕주철박사는 전해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43 호주 ‘2015년 서호주대학교 한국문화축제’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2 호주 한국문화원, VIC서 ‘찾아가는 한국문화원’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1 호주 마스터쉐프 개리 메히건 출연 ‘파플렁 한국’ 편 방영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0 호주 “시장경제, 북한의 내재적 변화 원동력 될 듯” 호주한국신문 15.08.27.
1139 호주 총영사관, ‘한-퀸즐랜드 에너지·인프라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1138 호주 2차 대전 종전 관련, 알려지지 않은 4가지 진실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7 호주 2차대전 종전 70년, ‘태평양 전쟁’ 승리 호주의 역할은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6 호주 연립 여당 인기 하락... 애보트 수상, 새로운 위기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5 호주 NSW 주 학생들, 뉴질랜드 학생보다 학업 성취도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4 호주 올 상반기 NSW 주 일자리 창출, 8만5천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3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스퀘어’ 재개발 계획 공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2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베이비붐 세대를 노숙자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1 호주 주 정부, IPART 심의 앞서 합병 카운슬 목록 검토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0 호주 다수 주택 공동 매각, 새 전략으로 부상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9 호주 주 정부, 시드니 도심 경전철 라인 공사 앞당겨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8 호주 임산부들, 임신 장면 사진 유출 조심해야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7 호주 8만여 관람객, ‘Ferragosto’ 페스티벌 즐겨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6 호주 북한 인권 개선 호주운동본부, ‘제2회 북한인권주간’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5 호주 2015 호주 한국영화제, 25일 브리즈번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4 호주 한국문화원서 “한-호 작가 교류전‘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