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AKCA 1).jpg

다양한 한국 문화와 풍성한 먹거리를 현지인들에게 소개함으로써 문화이해와 ‘한류’ 확산을 기한다는 취지의 ‘시드니 한민족축제’ 올해 계획이 나왔다. 사진은 동포 미디어 간담회를 통해 이를 밝힌 AKCA와 한국문화원 관계자들.

 

AKCA-한국문화원, 개요 발표... 오는 5월 달링하버 텀발롱 파크서

‘호한문화예술재단’(AKCA) 발족, ‘한민족축제’ 새 주최 단체로

 

한국 전통문화와 다양한 먹거리, ‘한류’를 주도하는 ‘K-Pop’을 선보이는 ‘시드니 한민족축제’(이하 ‘한민족축제’)에 대한 기본 개요가 나왔다.

지난 2013년, 도심 피트스트리트(Pitt Street) 일부 구간에서 펼쳐졌던 이 이벤트는 2016년부터 행사 규모를 확대해 시드니 최대 명소 중 하나인 달링하버(Darling Harbour)에서 주말(토-일) 이틀에 걸쳐 이어오고 있으며, 연인원 4만 관객이 참여하는 시드니 최대 ‘한국’ 주제의 축제로 자리잡았다.

올해 행사는 오는 5월5-6일(토-일요일), 달링하버 소재 텀발롱 파크(Tumbalong Park)에서 펼쳐진다. 아울러 시드니상우회를 대신해 최근 발족한 새 교민단체 ‘호한문화예술재단’(Australia Korea Culture & Arts Incorporated. 회장 고동식)이 한국문화원(원장 박소정)과 함께 행사를 주최한다.

양 단체 및 기관은 금주 월요일(12일) 동포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올해 한민족축제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밝혔다.

이날 공동주최 단체인 AKCA의 고동식 회장은 “올해 행사를 위해 호한문화예술재단을 새로 발족했다”면서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동포들의 관심과 성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축제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한국문화원의 박소정 원장도 “이는 동포들의 참여에 달려 있다”는 말로 관심을 당부했다.

올해 행사의 프로그램을 맡은 ‘이유 프로덕션’의 강해연 총감독은 “전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은 지난해와 유사하다”며 “이전 행사에 대한 관람객 조사 결과 ‘체험 프로그램’에 가장 많은 관람객들이 호응을 보였다는 점에서 ‘한국문화 체험’ 공간을 확대하고 체험 대상 또한 더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유’ 측에 따르면 축제 프로그램은 △전통무대 △열린 무대 △‘한류’무대라는 세 가지 컨셉에 맞추어 구성했으며, 특히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호주 현지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많은 한국 대중문화의 한 장르인 ‘K-Drama & Film’ 코너를 만들어 호주와 한국의 대중문화를 연결하는 대화의 창구로 만들어보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전통문화에서는 수준 높은 한국 공연팀도 초청될 예정이다. 한국문화원 설명에 따르면 한국 ‘동아예술재단’이 운영하는 남사당 공연팀이 이번 행사에 맞추어 시드니를 방문한다. 동아예술재단은 수준 높은 한국 문화를 해외에 선보여 온 문화단체이다.

주최측의 관람객 대상 설문조사 결과, ‘문화 체험’에 대한 인기가 높은 가운데 올해 행사에서도 한복입기는 물론 종이공예 등 여러 전통공예 만들기 프로그램도 병행된다. 지난해 문화원은 행사장 내에 대형 공간을 마련해 다양한 무료 체험코너를 운영해 큰 호응을 끌어냈다.

진행을 맡은 ‘이유’ 측은 이날 개괄적인 행사 개요에 이어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확정되면 보도자료를 통해 이를 알리겠다고 말했다.

-한민족축제 홈페이지 : www.sydneykoreanfestival.com.au

-축제 후원 : Bendigo Bank, Australia Korea Culture & Arts Inc(Account Name), 633 000(BSB), 162297188(A/N)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AKCA 1).jpg (File Size:67.4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43 호주 ‘2015년 서호주대학교 한국문화축제’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2 호주 한국문화원, VIC서 ‘찾아가는 한국문화원’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1 호주 마스터쉐프 개리 메히건 출연 ‘파플렁 한국’ 편 방영 호주한국신문 15.08.27.
1140 호주 “시장경제, 북한의 내재적 변화 원동력 될 듯” 호주한국신문 15.08.27.
1139 호주 총영사관, ‘한-퀸즐랜드 에너지·인프라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1138 호주 2차 대전 종전 관련, 알려지지 않은 4가지 진실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7 호주 2차대전 종전 70년, ‘태평양 전쟁’ 승리 호주의 역할은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6 호주 연립 여당 인기 하락... 애보트 수상, 새로운 위기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5 호주 NSW 주 학생들, 뉴질랜드 학생보다 학업 성취도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4 호주 올 상반기 NSW 주 일자리 창출, 8만5천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3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스퀘어’ 재개발 계획 공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2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베이비붐 세대를 노숙자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1 호주 주 정부, IPART 심의 앞서 합병 카운슬 목록 검토 호주한국신문 15.08.20.
1130 호주 다수 주택 공동 매각, 새 전략으로 부상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9 호주 주 정부, 시드니 도심 경전철 라인 공사 앞당겨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8 호주 임산부들, 임신 장면 사진 유출 조심해야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7 호주 8만여 관람객, ‘Ferragosto’ 페스티벌 즐겨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6 호주 북한 인권 개선 호주운동본부, ‘제2회 북한인권주간’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5 호주 2015 호주 한국영화제, 25일 브리즈번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20.
1124 호주 한국문화원서 “한-호 작가 교류전‘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