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mum-wage.png

 

올해 5월부터 적용되는 퀘벡 주 최저임금이 기존보다 75센트가 올라 시간당 12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퀘벡 주 역사상 가장 큰 폭으로 인상된 것이다.

퀘벡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총 352,000명의 노동자들이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퀘벡 주 정부의 도미닉 비언(Dominique Vien) 노동부장관은 “이번 인상으로 저소득 임금 노동자의 삶이 나아지고 직장에서는 인센티브가 늘어날 것”이라며 “아울러 노동자의 소득가처분총액이 증가해 상대적으로 빈곤발생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팁을 받는 임금근로자는 기본보다 35센트가 인상된 시간당 9.8불을 받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인상으로 임금근로자들이 연간 약 462불에서 979불까지 임금을 더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도미닉 장관은 임금 인상과 관련해 “정부에서 최저 임금을 인상한 것은 그만큼 퀘벡 경제의 기반이 튼튼하고 견고한 성장세에 자신감이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번 인상은 알버타 주와 온타리오 주 다음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캐나다 자영업자 조합(CFIB, Canadian Federation of Independent Business)은 퀘벡 주의 임금인상이 중소 자영업자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적극 반대하고 있다. 조합 대변인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자영업자는 다른 부분에서 적자를 상쇄할 수 밖에 없다며 일례로 신규직원의 채용계획을 보류하거나 정규직원의 임금을 줄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퀘벡 주에 있는 대규모 노동단체 중 하나인 CSN(Confédération des syndicats nationaux)은 인상에 대해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노동단체들은 퀘벡 주민들이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최저임금이 15불 이상은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1월, 온타리오 주는 최저임금은 11.6불에서 14불까지 인상한 바 있다. 급격한 임금 인상을 상쇄하기 위해 일부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기존 임금근로자의 소득을 오히려 줄이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온타리오 주는 2019년 1월 최저임금을 시간당 15불로 인상할 계획이다.

대한민국의 2018년도 최저임금은 7,530원이다. 이는 작년보다 16.4% 오른 것인데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야당과 중소 자영업자들이 정부를 비판하고 있는 형국이다. 하지만 한국의 최저임금을 캐나다 달러화로 바꾸면 약 9달러에 불과하다.

보통 각 나라의 물가지수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것이 ‘빅맥 지수’이다. 빅맥 지수(Big Mag Index)란 각 국의 맥도널드 빅맥 햄버거 현지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가격이다. 이 빅맥지수를 비교하면 각국의 물가수준도 평가할 수 있다. 2018년 1월 기준으로 한국의 빅맥 지수는 4.1이다. 즉, 한국에서 빅맥 햄버거 하나를 먹으려면 4.1불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세계 56개국 중 25위다. 빅맥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로 6.8이었으며 그 뒤로 노르웨이 6.2, 스웨덴 6.1, 핀란드 5.6, 캐나다 5.3, 미국 5.3 등의 순이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 4.4, 한국이 4.1, 일본 3.4 등으로 나타났다.  캐나다와 한국의 빅맥 지수와 최저임금 비교했을 때 한국의 최저임금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퀘벡주 정부는 앞으로 4년 후엔 2020년까지 최저임금 인상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당초 2019년에 예정됐던 12불 인상안이 1년 앞당겨 결정됨에 따라 2020년 12.45불까지 인상하려던 계획도 다소 변경돼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UK Cho

  • |
  1. minimum-wage.png (File Size:22.5KB/Download:4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77 캐나다 VPD, 범죄 신고자나 증인의 체류신분 '묻지도 따지지도' 않겠다 밴쿠버중앙일.. 18.07.21.
3476 캐나다 랭리타운쉽 가평전투 기념석 설치 예정 밴쿠버중앙일.. 18.07.20.
3475 캐나다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안전한 밴쿠버라도 ‘범죄대비’는 필수 밴쿠버중앙일.. 18.07.20.
3474 캐나다 트랜스마운틴 연방매입 찬반 절반으로 갈려 밴쿠버중앙일.. 18.07.20.
3473 미국 올랜도 지역 인구 증가, 남쪽과 서쪽에서 확연 코리아위클리.. 18.07.19.
3472 미국 올랜도에 새 지역 전화번호 생긴다 코리아위클리.. 18.07.19.
3471 캐나다 캠룹스 산불 500헥타르 태워 밴쿠버중앙일.. 18.07.18.
3470 캐나다 BC주 남부 폭염주의보 밴쿠버중앙일.. 18.07.18.
3469 캐나다 한국, 캐나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단속 강화 밴쿠버중앙일.. 18.07.18.
3468 미국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차별 협박 file 뉴스로_USA 18.07.15.
3467 캐나다 영주권 취득 한국국적자 5월까지 누계 2205명 밴쿠버중앙일.. 18.07.14.
3466 캐나다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밴쿠버 유학생 사이 통번역 자격증 열풍 밴쿠버중앙일.. 18.07.14.
3465 캐나다 영주권 취득 한국국적자 5월까지 누계 2205명 밴쿠버중앙일.. 18.07.14.
3464 캐나다 BC 주택 매수 매도 균형 시장 밴쿠버중앙일.. 18.07.14.
3463 미국 플로리다 해수면 상승, 30년내 프로퍼티 40% 침수 위험 코리아위클리.. 18.07.13.
3462 미국 몇십 센트 아끼기 위해 별난 짓 다하네! 코리아위클리.. 18.07.13.
3461 미국 플로리다 새 회계연도 시작, 무엇이 달라졌나 코리아위클리.. 18.07.13.
3460 미국 중앙플로리다 지역 말 뇌염(EEE) 모기 주의보 코리아위클리.. 18.07.13.
3459 캐나다 화이트파인비치 곰으로 일시 폐쇄 중 밴쿠버중앙일.. 18.07.12.
3458 캐나다 하반기 첫 EE 카테고리 이민 3750명 선발 밴쿠버중앙일.. 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