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수상·美워싱턴주지사 공동발표

BC주 연구비 30만달러 부담키로 

  

밴쿠버에서 시애틀까지 1시간만에 주파하는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BC주와 워싱턴주가 한발 더 앞으로 나가는 합의에 도달했다.

 

BC주 존 호건 주수상은 미 워싱턴주 제이 인슬리 주지사와 함께 한 자리에서 고속철도 운영에 대한 개념을 세우기 위한 심층 연구에 30만 달러를 부담하겠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고속철은 밴쿠버에서 시작해 워싱턴주를 거쳐 오레곤주의 포트랜드까지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또 해당 고속철이 성공적으로 운영된다면 캘리포니아주의 LA를 거쳐 샌디에고까지도 연결될 수 있다. 현재 밴쿠버에서 시애틀까지는 기차로 3시간이 걸리지만 고속철이 놓이게 되면 1시간만에 갈 수 있다. 

 

호건 수상은 "한 시간만에 시애틀까지 갈 수 있다면 BC주와 워싱턴주 양쪽 주민들에게는 스포츠에서 비즈니스 잠재력 등 무한한 기회가 생겨날 것"이라며 "초고속 청정 교통수단에 대한 검토는 북미 서북지역에 경제적 기여도가 크고, 국경장벽의 제약도 감소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제분석가들은 고속철도로 20만 개의 새 직업이 양 주에 창출되고 수 십 억달러의 경제 혜택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워싱턴주가 지난주에 이번 심층 연구에 120만 달러를 투입하기로 예산 통과를 한 상태에서 BC주 정부도 연구비 일부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셈이다.

 

인스리 주지사는 "초기 연구에서 고속철이 일자리 창출에서, 고속도로 정체 해소, 공해문제 해결 등 다양한 혜택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새 예산이 투입된 연구는 탑승률, 시스템 개발, 자금운영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실제 검증하게 된다.

 

현재 구상 중인 고속철도는 시속 최대 400킬로미터로 BC주에서 워싱턴주를 거쳐 오레곤주까지 달린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77 미국 <채널 뉴스 아시아> “북한을 리비아와 비교하지 말라” 코리아위클리.. 18.06.07.
3376 미국 올랜도 유입 인구 증가율 전국 4위 코리아위클리.. 18.06.07.
3375 미국 2018년 허리케인 시즌 시작… 평년 수준 이상 코리아위클리.. 18.06.07.
3374 미국 퍼블릭스, 총기 우호 주지사 후보 지원으로 논란 코리아위클리.. 18.06.07.
3373 미국 "플로리다에선 뱀과 함께" 코리아위클리.. 18.06.07.
3372 미국 트레일러 속 불법 이민자 86명 적발 KoreaTimesTexas 18.06.02.
3371 미국 허리케인 시즌 시작 … “메이저급 2~3개 예상” KoreaTimesTexas 18.06.02.
3370 미국 스타벅스, 구매상관없이 매장 이용 가능 KoreaTimesTexas 18.06.02.
3369 미국 트럼프 “12일 싱가포르서 김정은 만난다” file 뉴스앤포스트 18.06.02.
3368 미국 플로리다 비치 2곳 올해 '닥터 비치'에 선정 코리아위클리.. 18.06.01.
3367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에 대학 은퇴촌 생긴다 코리아위클리.. 18.06.01.
3366 미국 올랜도 교통 카메라에서 실시간 얼굴 인식 코리아위클리.. 18.06.01.
3365 미국 주요 외신, 대한항공 일가 추락 등 한국 대기업 추문 보도 file 코리아위클리.. 18.06.01.
3364 캐나다 캐나다 경제성장 약세 속 BC주 성장 두드러져 밴쿠버중앙일.. 18.05.30.
3363 캐나다 연방정부, 킨더 모건 파이프 라인 45억달러에 인수 추진 밴쿠버중앙일.. 18.05.30.
3362 캐나다 불가리안 커뮤니티 유대인 구출 75주년 기념 음악회 밴쿠버중앙일.. 18.05.29.
3361 캐나다 버나비 소방서의 한인사회를 위한 끝없는 선행 밴쿠버중앙일.. 18.05.29.
3360 캐나다 이민자 기업 지원이 캐나다 번영의 첩경 밴쿠버중앙일.. 18.05.29.
3359 캐나다 Vancouver Kpop Con 성황리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5.29.
3358 캐나다 연방정부 전자담배 규제 강화 추진 CN드림 18.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