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가 너무 많다'는 항목에 대한 평가 [자료 엔바이로닉스연구소]

 

국민 대부분 ‘긍정적 시각’ 

차별 대상 중국계·유태계에서 무슬림·원주민으로

 

 

이민자에게 대체로 관대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 캐나다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여론조사기관 엔바이로닉스연구소(Encironicx Institute)가 캐나다인종연구소와 함께 공동으로 벌인 2018년 조사에서 대부분 국민이 이민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지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결과 현 이민 정책이 타당하다고 보는 국민이 증가했으며 이민을 적극적으로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정서는 줄어드는 추세다. 응답자의 60%는 '캐나다에 이민자가 너무 많다'는 부정적 시각에 반대했다. 너무 많다고 응답한 경우는 35%였다. 다만 '이민자가 매우 많다'거나 '절대 그렇지 않다'고 답한 경우가 각각 3%, 2%씩 감소해 극단적 태도 사이의 간극은 좁혀졌다.

 

거주 지역, 학력, 나이 등 배경에 따라 이민자에 대한 태도도 달랐다. 이민자에 가장 긍정적인 집단은 BC주민, 대졸 이상 학력, 18~29세 연령대, 이민자 출신 성인 등이었다.

 

반면 알버타주 응답자의 42%는 이민자가 너무 많다고 응답했으며 40~59세도 40%가 이민에 폐쇄적인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집권 이후 캐나다로 넘어오는 미국발 난민의 수가 급증하는 최근의 현실이 이민자 사회를 바라보는 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함께 나왔다. 알버타주민의 절반 정도는 난민 신청자 중 상당수가 '진짜 난민'이 아닐 것으로 생각했다.

 

이민자가 캐나다 사회에 융화되지 못한다는 비율도 여전히 과반이었다. 응답자 둘 중 한 명(51%)은 이민자가 캐나다의 가치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여겼다. 다만 이에 동조하는 비율은 점차 낮아져 1993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민자에 대한 차별도 대상이 변했다. 과거 흑인, 남아시아계에 집중된 차별은 이제 무슬림, 중동계, 원주민에게로 향하는 추세다. 무슬림이 차별받고 있다는 응답자는 84%로 심각한 상황을 반영했다. 반면 차별의 대상이던 유태계와 중국계는 그 정도가 가장 낮아졌다.

 

c16f4185280b3b4f9b121ae1d8ac8278_1521831324_7962.JPG
무슬림에 적대적인 캐나다인 비율. [자료 엔바이로닉스연구소]

 

 

사는 지역이 이민자에게 좋은 곳인가를 묻는 항목에 92%가 그렇다고 대답해 OECD 국가 중 최상위에 속했다. 캐나다 뒤를 노르웨이(87%), 뉴질랜드(86%)가 따랐으며 미국은 81%가 긍정적 평가를 했다.

 

설문은 2월 5일부터 17일까지 전국에서 18세 이상 2000명에게 전화를 걸어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캐나다 COVID-19 장기화로 인한 캐나다인들의 삶의 변화 Hancatimes 21.02.04.
3196 캐나다 퀘벡고등법원, 노숙자에 대한 통금 중단 명령 Hancatimes 21.02.04.
3195 캐나다 퀘벡주, 노숙자 통금면제에 대한 법원 판결 준수 할 것이라고 발표 Hancatimes 21.02.04.
3194 캐나다 트뤼도 총리, 유럽연합 백신부족 아우성에도 “캐나다는 문제 없다” Hancatimes 21.02.04.
3193 캐나다 트뤼도 총리, “빠른 시일내에 더 많은 여행 규제 시행” Hancatimes 21.02.04.
3192 캐나다 르고 주총리, "몬트리올 지역, 8일 이후에도 방역 조치 연장 가능성 높아" Hancatimes 21.02.04.
3191 캐나다 자유당 대표 "프랑스어 법률 강화는 영어권 커뮤니티와 함께 이뤄져야" Hancatimes 21.02.04.
3190 캐나다 퀘벡주 교사연합, COVID-19 우려로 인한 파업 찬성 file Hancatimes 21.02.04.
3189 캐나다 지난해 다운타운 보행자수 절반으로 줄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5.
3188 캐나다 ‘경찰이다’ 문 열어줬다 폭한 당한 70대 독거노인 끝내 사망...용의자 2명 체포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5.
3187 캐나다 BC주 정부 중소 자영업 온라인 플랫폼 구축 지원...최고 7500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5.
3186 캐나다 모든 학교 실내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6.
3185 캐나다 버나비서 32세 남성 차 안에서 사체로 발견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6.
3184 캐나다 코로나19 최악은 지났지만, 미래는 불확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6.
3183 캐나다 BC 2차 백신 접종 건 수 1만명 돌파...이상 증세 205건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9.
3182 캐나다 BC 사회 봉쇄 강화 조치 무기한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9.
3181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19 백신 반입 전면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2.09.
3180 캐나다 재난지원금 받은 중하위 소득자 세금 납부 일년 연기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0.
3179 캐나다 BC주 북부 주민 옆집 마실 갔다 돌아오다 얼어 죽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0.
3178 캐나다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상륙... ‘심상찮다’ 불안 고조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