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거스리드 조사결과

주택소유자 70% 반대

 

렌트 광고에 반려동물 금지라고 쓰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체적으로 많은 캐나다인들이 이런 광고에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앵거스리드연구소가 발표한 집주인이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의 입주를 거부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63%의 응답자가 지지를 표명했다.

 

그러나 자세하게 응답자를 분석해 보면 집 소유주들의 70%가 거부할 권리를 지지한 반면, 세입자 중에는 절반(50%)만 지지를 했다. 부모나 형제자매 등 다른 가족에 얹혀 사는 경우도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대해 거부(64%)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별로 보면 퀘벡주와 온타리오주 주민들은 애완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더 호의적으로 집주인이 거부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43%와 39%만이 각각 지지를 보냈다. 

 

BC주는 전국 평균보다 1% 포인트 높은 64%의 주민이 반려동물 주인을 세입자로 받아들이지 않을 권리가 집주인에게 있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전국에서 가장 반려동물을 가진 세입자에 냉담한 주는 사스카추언주로 80%가 집주인의 거부권을 지지했다. 이어 알버타주와 뉴펀런들랜드가 74%로 높게 나타났다.

 

 

세입자가 많은 3대 대도시의 조사결과를 보면 메트로밴쿠버는 집주인의 거부권에 지지하는 비율이 61%로 광역토론토의 62%와 몬트리올의 54%의 중간에 위치했다.

 

 

지지정당별로 봤을 때 BC주의 경우 자유당 지지자가 가장 반려동물 주인이 세입자로 오는 것을 반대하는 비율(79%)이 높았으며 녹색당도 58%로 과반을 넘겼지만, NDP 지지자는 45%만이 반대를 해 진보적일수록 반려동물에 대한 호의도도 높은 것으로 보였다.

 

온타리오주는 보수당이 집주인의 거부권에 대한 지지율(69%)이 가장 높았고, 자유당이 중간(54%)를 보였으며, NDP는 여기서도 39%만이 집주인의 권리를 지지했다.

 

 

연령별로 보면, 18-34세의 젊은 경우 집주인의 거부권에 대한 지지가 56%로 나타났으며, 35-54세는 65%, 55세 이상은 67%로 나이가들수록 반려동물 주인이 세입자로 오는데 부정적이었다. 

 

소득별로 볼 때, 10만 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의 76%, 5만-10만 달러 미만 소득자의 65%, 그리고 5만 달러의 소득자는 54%가 지지를 했다. 즉 소득이 낮을수록 반려동물 소유 세입자의 편에 섰다.

 

결국 나이많은 부자는 반려동물을 데려오는 세입자를 거부할 확률이 높은 셈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37 캐나다 퀘벡주, 마마디 카마라 부당 체포에 대한 조사 개시 Hancatimes 21.02.16.
3136 캐나다 르고 주총리, COVID-19 변종 사례 발견으로 3월 봄방학 추가 규제 경고 file Hancatimes 21.02.16.
3135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연방정부와 퀘벡주에게 총기 관련 규제 강화 요구 file Hancatimes 21.02.16.
3134 캐나다 퀘벡주, 봄방학 앞두고 온타리오주 국경에 COVID-19 검문소 설치 예정 file Hancatimes 21.02.16.
3133 캐나다 변종 COVID-19 계속 확산… 공중보건국장, 규칙 준수 촉구 file Hancatimes 21.02.16.
3132 캐나다 애봇츠포드 아파트에 큰불...100여 명 대피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7.
3131 캐나다 온주 정부 산재 신청자 미행하며 비디오 촬영까지...관계자 “업계 관행” 충격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7.
3130 캐나다 델타 한적한 주택가에서 총질...주민 충격에 휩싸여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7.
3129 캐나다 BC응급상황 다시 3월 2일까지 연장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8.
3128 캐나다 BC 나이지리아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도 출현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8.
3127 캐나다 SFU대학 전산망 뚫려 20만 명 개인정보 유출...학점, 입학서류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8.
3126 캐나다 도대체 어떻게 자가격리 호텔을 찾으란 말인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9.
3125 캐나다 밴쿠버 아시안대상 혐오범죄 도시로 전락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9.
3124 캐나다 국세청 전산망 뚫려 ID, 비번 유출...온라인 계정 동결 상태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9.
3123 미국 파크랜드 하이스쿨 총기난사 3주년... 바이든, 총기 규제법 도입 촉구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
3122 미국 바이든 "장벽 건설에 납세자 돈 전용 없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
3121 미국 수직 이착륙 '하늘 나는 택시' 현실화 눈앞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
3120 미국 올랜도 고층 놀이기구, '더 높이, 더 많이'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
3119 미국 플로리다 대학들, 온라인 학사프로그램 전국 상위권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
3118 미국 플로리다 비영리단체들, 교통위반 벌금액 줄어 '울상' file 코리아위클리.. 21.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