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첫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는 지난 11월20일 18시30분부터 독일에서 처음으로 베를린 베딩(Wedding) 소재 '시티 극장'에서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오프닝 리셉션을 개최했다. 

 

이 영화제는 25일까지 6일간 영화상영과 더불어 탈북자들의 참혹한 북한인권유린 증언과 탈북 동기, 강연 등으로 진행된다.

 

ICNK는 현지 파트너로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사람'과 공동으로 이 행사를 개최했으며 국제인권문제를 다루는 시네마포피스재단(Cinema for Peace Foundation)이 공동주최 단체로 초청됐다.

 

또, 이 영화제에는 ‘사람’의 창설부터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독일 정책연구소 지오다노브루노재단(Giordano-Bruno-Stiftung)과 인권단체 헤코(HEKO), 국제앰네스티 독일지부 등이 함께 동참했다

 

1.JPG 

 

 

2년 전 부터 북한 인권 실태를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나서고 있는 니콜라이 슈프리켈스 독일 인권단체 “사람”(Saram e.V.) 대표는 이 행사 오프닝에서 "탈북자 문제를 다룬 한국 영화 '크로싱',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등이 제공하는 영화, 독일인이 제작한 북한 예술 단편영화 등 7∼8편을 상영할 예정이며 또,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NKNET) 연구위원과 안명철 NK Watch 대표의 증언과 강연으로 독일인에게 북한의 인권 상황을 알리기 위해 계획한 행사‘라고 말 했다. 또 그는 “특히 젊은 독일인들에게 북한의 인권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 영화제의 목적”이라며“영화 상영과 더불어 북한의 참혹한 인권 실태를 체험한 탈북자의 강연회를 준비 했다고 전했다.

 

2.JPG 

 

 

ICNK의 권은경 사무국장은 "이번 처음으로 독일에서 개최되는 북한인권 국제영화제와 강연회를 통해, 독일과 국제사회에 북한 반인도적인 범죄를 알리는 계기를 마련할 것" 이라며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 외교관계를 가진 나라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다.

 

 

이날 안명철 NK Watch 대표와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NKNET) 연구위원은 독어와 한국어 즉석 통역을 통해 국제사회에 북한인권유린실상을 알렸다.  인터뷰는  슈프리켈스 대표가 진행했다.

 

3.JPG

 

 

 

함북과 평양 정치범 수용소에서 경비와 운전병으로 근무하다 1994년 10월에 한국으로 이주한 안명철 대표는 현재 북한의 인권 유린 실상을 알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또 그는 자신이 목격하고 겪은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의 인권 유린 실태에 대한 증언을 하면서 “수감자의 90% 이상이 자신이 무슨 죄를 지어 수용소에 수감됐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 했다. 그가 탈북을 감행한 동기는 “아버지가 술에 취해 당을 비판 했다가 처벌이 두려워 자살했고, 어머니와 누이, 형은 체포되어 실종 되면서 배신감과 두려움 때문에 탈북을 결심하고 그가 운전병으로 몰던 트럭을 이용해 중국 국경까지 몰고 가서 두만강을  건넜다.”고 말했다.

 

 

한편  김일성 주체사상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강철서신' 등의 글을 써서 주체사상을 전파하고자 노력했던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NKnet) 연구위원은 1991년 밀입북 해 김일성 주석과 면담한 뒤 북한 실상과 김일성의 주체사상에 대한 무지 때문에 북한인권운동가로 변모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강철환 탈북자 기자가 쓴 “북한정치범 수용소 체험 수기”를 읽고 나서 북한인권유린 실상을 알게 되었다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민주주의를 전혀 경험하지 못한 북한주민들은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을 위한 민주주의 관련 정보와 지식을 제공 할 수 있는 책자와 CD, 라디오 방송 등 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독일과 유럽사회의 커다란 관심과 협조“를 당부 했다.

 

독일 베를린 유로저널  안희숙 기자

eurojournal05@eknews.net

< 유럽 19개국에 배포되는 주간신문 유로저널  www.eknews.net >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 프랑스 문재인 대통령의 ‘소통의 리더십’ 프랑스존 17.05.19.
649 프랑스 몽블랑에서 한국인 등산객 협곡에 추락 사망 프랑스존 17.05.19.
648 프랑스 낭트에서 펼쳐지는 ‘한국의 봄’ 프랑스존 17.05.19.
647 프랑스 바버레츠, 씽씽밴드...파리상륙 프랑스존 17.05.19.
646 프랑스 프랑스 한글학교, 화합의 장, 제7회 프랑스 한글학교 청소년 캠프 프랑스존 17.05.19.
645 프랑스 프랑스인들의 '내 마음 속의 한국문화' 프랑스존 17.05.19.
644 프랑스 2017 통일안보 비전발표대회 프랑스존 17.05.19.
643 프랑스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위해 세계한인들 힘 모으자 프랑스존 17.05.19.
642 프랑스 한인회, 노르망디 2차 세계대전 전적지 탐방 프랑스존 17.05.19.
641 프랑스 세월호 참사 3주기 추모전, '긴 여정, 작은 위로' 프랑스존 17.05.08.
640 프랑스 앙상블 ''시와 음악' 콘서트/전시 프랑스존 17.05.08.
639 프랑스 이명림 전 '마음으로 번지는 은유' 프랑스존 17.05.08.
638 프랑스 재외투표 열기는 뜨거웠다. 프랑스 투표율 83.5%로 역대최고 프랑스존 17.05.01.
637 프랑스 한인체육대회, 파리15구에서 펼쳐진다 프랑스존 17.04.28.
636 프랑스 19대 대선 재외투표, 프랑스 투표율은 과연? 프랑스존 17.04.28.
635 프랑스 올 9월부터 프랑스 에서 한국어 정규수업 시작 프랑스존 17.04.28.
634 프랑스 프랑스 공립학교에 교육한류 심는다 프랑스존 17.04.28.
633 프랑스 강영숙 신임 재불한인여성회장 프랑스존 17.04.28.
632 프랑스 ASCoF 수학경시대회 진행하는 이종욱 담당관 프랑스존 17.04.28.
631 프랑스 제6대 재불한인여성회장에 강영숙씨 당선 프랑스존 17.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