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 앞 광장 수만 명 모여 대규모 집회, 평화적 행진 진행 … 총기 소지 옹호자들 맞불 집회 강행

 

 

시위1.jpg

지난 24일(토) 달라스 시청 앞 광장에는 수천 명이 모여 강력한 총기 규제 입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와 함께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의 맞불 집회도 열렸다. 
지난 2월 17명의 목숨을 앗아간 플로리다 더글라스 고교 총격사건 생존 학생들이 주도한 총기규제를 위한 행사가 24일(토) 워싱턴을 비롯한 미 전역에서 일제히 열렸다. 

‘우리의 생명을 위한 행진’(March For Our Lives)을 목적으로 한 한 이 행사에는 초·중·고교생은 물론 교사, 학부모 등이 참석해 총기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한 시민들의 바람을 보여줬다.

달라스 시청 앞 광장에서도 지난 24일(토) 강력한 총기 규제법의 입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이번 집회는 달라스 시청을 시작으로 오는 5월 5일(토) 전미 총기 협회(NRA)의 연례 회의가 예정된 달라스 다운타운의 케이 베일리 허치슨 컨벤션 센터(Kay Bailey Hutchison Convention Center)까지 행진하고 다시 시청 앞 광장으로 모여 대규모 집회를 가졌다. 

학생 및 학부모를 비롯한 수만 명의 시민들이 모인 이번 집회에서 참여자들은 ‘총알이 아닌 책’(Books not bullets), ‘이것이 민주주의다’(This is what democracy looks like), ‘이 정도면 충분하다’(Enough is enough),  ‘NRA 폐지를 위해 투표하라’(Vote Them Out) 등의 구호를 외치며 엄격한 총기 규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학교 총격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등장하는 ‘AR-15’을 비롯한 공격용 자동 소총의 판매 금지와 총기 구매 시 신원 조회를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주장했다. 

주말을 맞아 7살 딸과 함께 집회에 참석한 이지퀠 산도발(Ezequiel Sandoval) 씨는 “’AR-15’과 같은 공격용 소총은 판매가 금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안전을 위해 총기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공격용 소총들은 전쟁에서나 필요한 살상 무기”라 말하며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총기 소지의 전면 금지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 

이번 집회에서는 오는 11월에 있을 중간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들을 모으기 위한 유권자 등록도 이뤄졌다. 

유권자 등록을 통해 총기구매자 신원조회 강화, 공격용 무기 및 대용량 탄창 판매 금지 등과 같은 엄격한 총기 규제법을 입법시키기  위해 더 많은 유권자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번 집회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에슐리 콜럼비(Ashley Coulombe) 씨는 “총기 규제를 반대하는 정치인들에게 유권자가 가진 힘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하며 “교사들이 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총격 사건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투표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며 유권자 등록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집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의 반대 시위가 진행돼 총기 규제를 찬성하는 시민들과의 첨예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은 ‘수정헌법 2조’(Second Amendment)라고 쓰인 팻말을 들고 개인의 총기 소지는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시위자는 “모든 사람은 총기를 가질 권리가 있다”고 말하며 “이 권리는 어느 누구도 침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총기 사고를 막기 위해 개인의 총기 소유를 박탈하는 것은 헌법에 위배되는 것”이라 피력했다.  

두 시위대의 논쟁은 30여 분간 지속됐으며 무력 충돌로는 번지지 않았다. 

5,000여 명 이상이 달라스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가운데, 포트워스, 어스틴 등 텍사스 주요 도시에서도 같은 날 집회가 열렸다. 

텍사스 뿐 아니라 워싱턴 DC를 비롯한 같은 날 800여 개 도시에서도 집회가 열렸다. 이번 집회에 주최측은 워싱턴 DC에 80여 만 명의 시민들이 참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수치는 베트남 참전 반대 시위가 일어났을 때 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결과다.  

대규모 집회.jpg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시청 앞 광장을 출발해 전미 총기 연합회의 연례회의가 예정된 케이 베일리 허치슨 센터를 돌아 다시 광장으로 돌아오는 행진을 진행했다. 

시위4.jpg

 

시청.jpg

 

전지호 기자  press4@newskorea.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57 캐나다 불법 마약에 1700명 이상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3156 캐나다 11일 현재 BC주 2차 접종자 1만 568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3155 캐나다 트럼프 탄핵에 트뤼도 총리 발언 인용...트뤼도와 트럼프 악연 퇴임 후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3154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일선 근로자에 110만원 보너스 지급 CN드림 21.02.13.
3153 캐나다 캐나다 오일 생산,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CN드림 21.02.13.
3152 캐나다 캐나다 실내 체육관 50%, “재정난 심각, 두 달도 못 버텨” CN드림 21.02.13.
3151 캐나다 "규제 피해가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심하다" CN드림 21.02.13.
3150 캐나다 캐나다 주거지 제한속도 시속 40Km 확정 file CN드림 21.02.13.
3149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어디까지 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8 미국 신종 코로나 '온라인 수업' 1년... "학력 격차 커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7 미국 플로리다 소도시, 2월 첫 주를 '트럼프 주간'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6 미국 톰 브래디의 탬파베이, 18년 만에 슈퍼볼 우승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장소 늘어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4 미국 몰아친 2월 한파... 애플 앱 "플로리다 눈 내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3143 캐나다 몬트리올, “다운타운지역 무료 주차 정책 2월 말까지 연장” file Hancatimes 21.02.16.
3142 캐나다 퀘벡주, 몇 주 만에 가장 낮은 COVID-19 확진자 기록 및 비필수 상점들 다시 개장 Hancatimes 21.02.16.
3141 캐나다 캐나다, 육로 국경에서도 COVID-19 검사 결과 요구 Hancatimes 21.02.16.
3140 캐나다 Mamadi Camara에 대한 부당 체포 및 석방에 관한 타임라인 Hancatimes 21.02.16.
3139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의 새로운 규제로 인해 1,500여 명 해고 Hancatimes 21.02.16.
3138 캐나다 퀘벡주 온라인 학습 선택여부 승소…학부모들 아직 항소 불투명 Hancatimes 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