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아 전 세계의 한인들이 대대적인 추모 행사를 준비하면서 밴쿠버도 주요 한인거주 도시로 이에 동참한다.

 

416 해외연대 기억행동은 밴쿠버를 비롯해 세계 주요 도시에서 오는 13일과 16일에 걸쳐 대대적으로 추모행사를 갖는다고 발표했다.

 

매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기념일에 맞춰 추모 행사를 가져왔던 '세월호를 기억하는 밴쿠버 사람들(이하 세기밴)'도 오는 14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밴쿠버아트갤러리 사우스 플라자(750 Homby St. Van)에서 추모집회를 갖는다.

 

캐나다에서는 토론토에서 14일 오후 2시 노스욕 시청 앞 광장(Mel Lastmen Square, (5100 Yonge St.)에서, 오타와에서도 같은 시각 캐네디언 트리뷰트 투 휴먼 라이츠(Canadian Tribute to Human Right, 220 Elgin St.)에서 열린다. 빅토리아는 15일 오후 6시에 이너하버 비지터센터(Inner Harber Visitor Centre)에서 추모회를 갖는다.

 

이외에도 미국의 뉴욕과 LA를 비롯해 10개 도시와, 프랑스, 독일,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추모행사를 갖는다.

 

416 해외연대 기억행동은 박근혜 정부 때 정부에 의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정상적인 활동이 자한당과 정부의 방해로 흐지부지 되었다가 이번에 다시 2기 특조위원들이 임명돼 새롭게 진실을 밝힐 수 있는 기회가 왔다며, 이를 위해 세계 한인들이 관심과 동참을 촉구했다.

 

주최측은 시발점은 세월호 참사였으나, 이후 세월호 진상규명촉구는 물론, 한일 '위안부' 졸속 합의, 국정교과서, 박근혜정권 퇴진 촛불행동, 재외선거 등록 및 시민의 눈, 한반도 평화 운동 등의 다양한 사회 이슈에 반대 혹은 지지 의사를 적극 표명하며 연대의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주최측은 유가족 간담회, 참사 2주기 3주기 추모행사, 세월호 다큐 영화 공동체 상영등 다양한 방식으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의 목소리를 내어 왔으며, 최종 목표는 세월호에 대한 투명하고 완벽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고 밝혔다.

 

밴쿠버 중앙일보 /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