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1억1650만명, 전년 대비 3.6% 올라
 

visit.jpg
▲지난해 허리케인 어마에도 불구하고 플로리다 관광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올랜도국제공항내 부착된 주 관광공사 홍보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지난해 플로리다주 관광객이 1억1650만명으로 집계됐다. 관광객 중 국내인은 1억230만명, 캐나다인 350만명, 그리고 캐나다를 제외한 외국 관광객은 1070만명이다.

허리케인으로 인한 손실분을 감안하면 플로리다 방문객수는 실제 기록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주정부 관광홍보 대행사인 ‘비짓 플로리다(Visit Florida)’는 지난해 9월에 불어닥친 허리케인 어마로 인해 손실된 방문객을 180만명, 그리고 이에 따른 자금 손실액을 15억달러로 추정했다.

릭 스캇 주지사는 지난 20일 성명을 통해 주 관광객이 전년보다 3.6%가 올라 기록을 갱신했다고 밝히며, 허리케인 긴장 속에서도 더욱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친 것이 주효했다고 전했다. 최근 2년 전부터 ‘비짓 플로리다’ 예산을 축소해야 한다는 여론이 주의회 일부 의원들가운데서 흘러 나온 것을 의식한 지적이다. 의원들은 마케팅 예산이 정치적으로 유용될 수 있고, 지출 내역 또한 불투명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스캇 주지사는 지난해 플로리다 관광 관련 일자리수가 140만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여행객들이 풀고 간 액수도 1090억달러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주하원내 일부 정치인들이 비짓 플로리다 존재를 위태롭게 하려 든다고 꼬집은 바 있다.

플로리다는 2015년에 방문객수가 사상 처음으로 1억명대를 돌파해 주정부 관계자들을 고무시킨 바 있다.

한편 플로리다 관광객 증가로 올랜도국제공항은 올해 봄 방학 기간인 3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공항 이용자수도 전년대비 8%가 높은 320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간 중 3월 31일은 8만5천명에 달하는 여행자가 귀향길에 오르느라 공항이 가장 번잡할 것으로 추정됐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57 미국 어린이 환자 앞에서 변태짓 의사 ‘체포’ KoreaTimesTexas 16.01.19.
9156 미국 교회 헌금 노리는 ‘3인조 도둑 ’출몰 … 한인교회 주의 필요 KoreaTimesTexas 16.01.19.
9155 미국 텍사스 교수들, “수업에 총은 필요없다” KoreaTimesTexas 16.01.19.
9154 캐나다 그랜드프래리 도서관, “익명의 기부자 공개…. 그의 이름 딴 기념관 개관” file 앨버타위클리 16.01.19.
9153 캐나다 주정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시기” file CN드림 16.01.19.
9152 캐나다 다인아웃 밴쿠버 개막, 외국 셰프들도 밴쿠버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1 캐나다 밴쿠버 출신 트렘블레이, 오스카상 시상식에서 아역상 수상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50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의 마지막 탄광, 무기한 영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1.
9149 캐나다 앨버타주의사협회, “청소년 안락사 연령 기준 놓고….. 팽팽한 의견 대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8 캐나다 월터대일브릿지,” 950톤 대형 아치의 위용”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7 캐나다 에드먼턴 다운타운, “번화가 상업활동 활성화 시범 프로젝트”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6 캐나다 앨버타 정부 고위직 공무원, “향후 2년간 임금 동결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1.
9145 캐나다 '초대받지 못한 남자' 캐나다, 반 IS 전선에서 제외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여러 억측에도 불구하고 금리동결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3 캐나다 버크 마운틴, 주택 위에 나무 쓰러져 지붕 파손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2 캐나다 킨더 모르간 공청회 시작, 반대 주민들 시위도 재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1 캐나다 BC주, 대마초 합법화 논의 본격화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2.
9140 미국 연방 대법원, 오바마 이민개혁 행정명령 심리 발표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9 미국 유대인 음식법은 우유와 고기 철저히 분리 코리아위클리.. 16.01.22.
9138 미국 12학년 2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코리아위클리.. 16.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