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시가 오늘부터 ‘역사상 가장 엄격한’ 금연조례 시행에 들어간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가게 된다.


라디오방송 인터넷판인 중국광파망은 세계금연의 날인 31일 이제 베이징에서는 “지붕이 있는 곳이면 모두 담배를 피울 수 없게 된다”고 보도했다.


조례는 사무실과 식당, 호텔, 병원 등 실내 공공장소 전역에서 흡연을 금지하고 있다. 실외공간이어도 학교나 병원, 스포츠 경기장 인근에서는 흡연이 제한되며 웹사이트나 공공장소 간판에 담배 광고물을 싣거나 유치원·학교 반경 100m 안에서 담배를 판매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이를 위반하면 개인은 최고 200위안, 업체 등 법인은 1만위안의 벌금을 내야 한다.


앞서 중국 재정부와 국세총국도 담배세를 현행 5%에서 11%로 올렸다. 담배세 인상 역시 금연을 강화하는 조치다.


하지만 이번 금연조례 시행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의 금연반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에서 최대 담배생산국이면서 소비국이다.


중국의 흡연인구는 3억 명으로 성인인구의 28.1%가 수시로 흡연을 한다. 성년 남성의 흡연비율은 절반을 넘는다. 매년 100만명 이상, 매일 3000명 정도가 흡연관련 질병으로 사망한다.


담배생산도 오히려 늘고 있다. 2014년 담배생산은 2조6098억개비로 금연정책을 본격 시행한 2004년에 비해 11년간 7353억 개비, 39%가 증가했다.


이 기간 전체 중국의 전체 담배생산은 24조9980억개비이다. 이 담배를 모두 연결하면 지구를 5만2000바퀴 이상 돌 수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지방정부가 담배 세수에 의존하는 부분이 커 금연정책을 추동하기는커녕 오히려 담배를 매입하고 소비를 촉진하는 등 거꾸로 정책을 펴고 있다고 지적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4 중국 연변의 시골려행지 베스트 8 연변방송국 15.09.15.
433 중국 조선언어문자의 날 기념 중한서예교류전 연길서 연변방송국 15.09.15.
432 중국 재하르빈 한국 유학생 현주소 중국조선어방.. 15.09.16.
431 중국 두만강변 ‘백년부락’을 찾아 중국조선어방.. 15.09.16.
430 중국 심양시조선족문학회 2015년 문필회 서풍현서 중국조선어방.. 15.09.16.
429 중국 훈춘-북경 “연변진달래호”고속렬차 달린다 연변방송국 15.09.24.
428 중국 연길: 국경절 맞이하여 민족단결선진 표창 연변방송국 15.09.28.
427 중국 제83회 연변노래자랑 연길서 연변방송국 15.09.29.
426 홍콩 분노하는 홍콩 공립병원 의사들 옥자 15.10.22.
425 중국 룡정, 귀향창업인원 도와 치부의 길로 연변방송국 15.10.27.
424 중국 우리의 소리와 춤을 전파하는 "진달래예술단" 연변방송국 15.11.09.
423 홍콩 홍콩인 영어 구사력, 아시아 12개 국가 중 9위 홍콩타임스 15.11.11.
422 홍콩 홍콩총영사관, 현지 후원단체와 손잡고 장애아동 돕기 적극 나서 홍콩타임스 15.11.11.
421 홍콩 홍콩총영사관, 현지 후원단체와 손잡고 장애아동 돕기 적극 나서 홍콩타임스 15.11.11.
420 홍콩 홍콩 aT, 호텔 아이콘과 함께 한식 세계화·대중화 앞장서 홍콩타임스 15.11.12.
419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36개 중소학교 축구특색학교로 선정 연변방송국 15.11.14.
418 중국 훈춘공안교통경찰 고속철도역 증설 공공뻐스에 록색통로를 file 연변방송국 15.11.25.
417 홍콩 응답하라, 홍콩 영화... 추억의 홍콩스타들 다시 뭉쳐 홍콩타임스 15.11.26.
416 홍콩 홍콩 코윈, 2015 차세대 인재양성 세미나 개최 홍콩타임스 15.11.26.
415 홍콩 민주평통자문회의 홍콩지회, 현경대 평통 수석부의장 초청 통일강연회 개최 홍콩타임스 15.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