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창 시야 가리고 페인트칠 망쳐, 최근 감소 추세
 

love.jpg
▲ 러브버그 <자료사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5월은 '러브버그 시즌'이다. 이때는 차창 밖이나 헤드라잇 부근에 러브버그가 수없이 달라붙어 운전자들에게 골치거리가 된다. 이들을 빠른 시간내에 제거하지 않을 경우 곤충 내장이 더욱 산성화 되고 결국은 자동차 페인트칠을 망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한 점은 러브버그 개체수가 이전에 비해 상당히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10년전만 해도 플로리다 턴파이크를 지나는 운전자들은 앞 유리창을 덮는 러브버그 잔해를 씻어내느라 중도에 여러차례 정차를 해야만 했다.

과학자들은 러브버그 감소 원인을 확실히 짚어내지 못하지만 생존을 위한 방어 능력이 그리 뛰어나지 않은 것이 주 요인인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러브버그의 주요 방어 능력은 좋지 않은 맛이나 역한 냄새 정도이다.

'플리시아니어리티카(plecia nearctica)'라는 긴 학명을 가지고 있는 러브버그에 대해서는 잘못 알려져 있는 것들이 많다. 그 중 한가지는 플로리다대학(UF)이 모기를 조절하기 위해 러브버그를 생산해 풀어놓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러브버그는 멕시코에서 걸프만 연안을 따라 이주해 들어 왔다는 것이 정설이다. 남부 루이지애나는 1920년도에 벌써 러브버그를 맞았고, 1940년대에는 미시시피주에서 발견됐다.

러브버그가 플로리다에 처음 출현한 것은 1947년으로, 펜사콜라시가 속해있는 에스캄비아 카운티에서 발견됐다. 이후 10년 뒤엔 리온 카운티에서, 그리고 다시 10년이 흐른 1965년에는 플로리다주 중부 이북쪽의 알라추아와 매리온 카운티에서 발견됐다.

이처럼 영역을 넓혀 온 러브버그는 1974년에는 마이애미까지 도달했고, 현재는 조지아와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등 북쪽으로 널리 퍼져나간 상태다.

최대 3일동안 붙어다니는 곤충, 몸을 떼기엔 너무 짧은 삶

러브버그는 한 해 2세대가 교체된다. 5월과 9월에 각각 한 달 정도 출현하는 러브버그는 다 자란 상태로 서로 긴급하게 교미 상대를 찾는다. 이들의 생존 기간이 길어야 3-4일이기 때문이다. 부화하고, 교미하고, 죽는 것이 일생인 셈이다.

숫놈이 먼저 부화한 다음 극렬히 날라다니며 암놈이 오길 기다리고, 쌍을 이룬 후에는 바로 교미에 들어간다.

또 교미는 72시간까지도 걸리기 때문에 러브버그는 남은 삶의 모든 시간을 붙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들은 한 낮이 되면 식물위에서 잠시 쉬기도 한다. 그러나 이 짧은 시간을 제외하면 결코 떨어지지 않으며, 심지어 날아다닐 때도 몸을 떼지 않는다.

사람들은 이들의 모습을 흥미로운 눈으로 바라보지만, 러브버그 자신들에겐 이 행위가 생의 마감을 눈앞에 두고 종족보존의 임무를 완수하는 처연한 몸부림이다.

숫놈은 교미가 끝나는대로 죽는다. 몸집이 큰 암놈은 숫놈을 끌어다 자신의 근처에 두고 350백개 가량의 알을 낳는다. 그리고 암놈 또한 알을 낳은지 86시간내에 죽는다.

풀밭이나 나무 부스러기 등지에 놓여진 알들은 20일 이후에 부화하고, 다음 러브버그 시즌전까지 꾸준히 자란다. 그러는 동안 이들은 잔디 밑둥 부분의 썩은 부분들을 먹어 잔디를 건강하게 하고, 분비물은 거름 역할을 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77 캐나다 퀘벡주 인종차별 방지를 위한 25가지 계획 발표 Hancatimes 21.01.19.
3276 캐나다 퀘벡주 2021년 5월부터 최저 임금 인상 Hancatimes 21.01.19.
3275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국장 몬트리올의 급격한 COVID-19 확산세를 경고 Hancatimes 21.01.19.
3274 캐나다 르고 주총리 퀘벡주로 돌아오는 여행객들에게 엄격한 조치 경고 Hancatimes 21.01.19.
3273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여행 규칙 발표 Hancatimes 21.01.19.
3272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계획 변경 Hancatimes 21.01.19.
3271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에게 더 많은 백신을 요구 Hancatimes 21.01.19.
3270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조치 사항들 발표: 통행금지령 및 제재 제한 강화 Hancatimes 21.01.19.
3269 캐나다 퀘벡주의 통금관련 업데이트 사항들 Hancatimes 21.01.19.
3268 캐나다 몬트리올의 야간 근무 근로자, 허가서에도 불구하고 통금 벌금 부과 Hancatimes 21.01.19.
3267 캐나다 몬트리올 재산세 분납 기일 6월 1일까지 연장 Hancatimes 21.01.19.
3266 캐나다 에어 캐나다 약 1,700명의 일자리 감축 Hancatimes 21.01.19.
3265 캐나다 1차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7명의 1차 접종자들 COVID-19 확진 Hancatimes 21.01.19.
3264 캐나다 몬트리올 COVID-19 예방 접종 캠페인 시작 Hancatimes 21.01.19.
3263 캐나다 한국 외교부가 밝힌 캐나다 입국 제한 조치 내용 밴쿠버중앙일.. 21.01.20.
3262 캐나다 화이자 코로나 백신 공급 절반으로 줄여...향후 4주간 접종 차질 예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1.20.
3261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31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1.20.
3260 캐나다 BC주 코로나백신 접종자 1만 명 육박 코 앞에 file 밴쿠버중앙일.. 21.01.21.
3259 캐나다 올 시즌 BC주 독감 유행 아직 한 건도 없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1.21.
3258 캐나다 SFU 교수 “타주로부터 이동 통제해야 변이 바이러스 막을 수 있어” file 밴쿠버중앙일.. 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