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매거진 메인.jpg

호주는 연중 다양한 주제의 페스티벌을 즐길 수 있는 나라이다. 단순한 즐길거리뿐 아니라 학문적 주제를 예술 행위로 표현하는 이벤트에 이르기까지 영역 또한 매우 폭넓다. 겨울 시즌에도 각 지역마다 흥미로운 이벤트가 끊이지 않는다. 사진은 시드니의 겨울 페스티발 가운데 대표적 이벤트인 빛의 축제 ‘Vivid Sydney’를 즐기는 어린이들.

 

시드니 도심의 밤을 수놓는 화려한 빛의 축제 ‘Vivid Sydney’ 대표적

종교 의식과도 같은 ‘Dark Mofo’, 문화-예술 이벤트 ‘Darwin Festival’ 인기

 

호주의 봄은 축제로 시작되어 연중 내내 다양한 주제의 이벤트가 이어진다. 겨울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대표적인 시드니 빛의 축제(Vivid Sydney)를 비롯해 음악, 음식, 지역사회 문화 이벤트에 이르기까지, 각 지역의 페스티벌 열기는 한 겨울의 추위를 잊게 한다.

호주 각 지역에서 열리는 겨울 축제 가운데 대표적 이벤트를 알아본다.

 

 

■ Vivid Sydney

한 겨울, 시드니 도심 곳곳을 화려한 빛으로 장식하는 대표적 겨울 축제 중 하나이다. ‘비비드 시드니’는 시드니 도심 일대의 상징적 건축물이나 공원에 야외 조명을 설치하고 야간에 빛을 쏘아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호주 최대 빛의 축제이다. 비단 건축물뿐만 아니라 식물원(Royal Botanic Garden) 등에서 화려한 색깔이 빛과 함께 여러 가지 형상을 만들어내는 화려함으로 전 세계 여행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 이벤트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펼쳐져 왔으나 NSW 주 정부는 지난해부터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구역으로 개발된 바랑가루(Barangaroo)까지 ‘비비드 시드니’ 영역을 확대해 이 지역의 카페와 레스토랑에서도 다양하고 화려한 빛의 조화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바랑가루뿐 아니라 올해 ‘비비드 시드니’는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내 도로를 더욱 늘려 팜 코브(Palm Cove) 주변까지 확장했다. 로얄 보타닉 가든의 ‘비비드’는 식물원이라는 특색에 맞게 형형색색의 빛을 활용해 곤충과 새 등 여러 생물의 형상을 선사해 어린이 관람객들에게 짜릿한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한다.

‘비비드 시드니’는 말 그대로 화려한 빛의 축제이지만 3주간 이어지는 이 이벤트 기간에는 야외 음악공연도 최고 250회 이상이 펼쳐진다.

올해에는 5월25일 개막해 6월16일까지 이어진다. www.vividsydney.com 참조.

 

1 Vivid-1.jpg

‘Vivid Sydney’를 즐기는 대표적 명소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이다. 반원형의 오페라하우스 지붕은 시간별로 색색의 빛이 장식돼 겨울밤을 화려하게 비춰준다.

 

1 Vivid-2.jpg

오페라하우스 옆의 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은 아기자기한 빛의 조화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식물원답게 화려한 조명으로 나무와 곤충들을 장식해 가족 단위 관람객을 끌어들인다.

 

 

■ Dark Mofo

타스마니아 호바트(Hobart)에서 펼쳐지는 대표적 겨울 이벤트 중 하나이다. ‘다크 모포’(Dark Mofo)는 호바트 ‘모나’(MONA. The Museum of Old and New Art)가 진행하는 것으로, 고대와 현대의 신화, 인간과 자연, 종교와 세속 전통, 빛과 어둠, 죽음과 부활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해보자는 취지의 종교적 의식과도 같은 이벤트이다.

‘다크 모포’는 이를 주제로 하여 ‘모나’와 타스마니아 박물관 및 현대미술관(Tasmanian Museum and Art Gallery. TMAG), 다크 파크(Dark Park)의 공공예술 그라운드에서 이를 주제로 한 전시회, 호바트의 유서 깊은 오데온 극장(Odeon Theatre), 페더레이션 콘서트 홀(Federation Concert Hall) 등 도심 곳곳에서 전 세계 각국의 음악인과 예술가의 공연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2주간의 전시회와 갖가지 퍼포먼스 끝에 ‘오고오고 퍼레이드’(Ogoh-ogoh parade)와 밤이 시작되는 (시간적) 지점에서의 불꽃, 그리고 2주 동안의 긴 밤이 끝나고 새로이 돌아온 빛을 맞이하고자 호바트의 더웬트 강(River Derwent)으로 수백 명의 사람들이 알몸으로 뛰어드는 종교적 성격의 의식으로 끝을 맺는다.

올해 Dark Mofo는 6월8일부터 24일까지 이어진다. https://darkmofo.net.au 참조.

 

2 Dark Mofo-1.JPG

호바트(Hobart, Tasmania)의 ‘모나’(MOna. The Museum of Old and New Art)가 마련하는 겨울 페스티벌 ‘Dark Mofo’는 고대와 현대의 신화, 인간과 자연, 종교와 세속 전통, 빛과 어둠, 죽음과 부활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해보자는 취지의 종교적 의식과도 같은 이벤트이다.

 

2 Dark Mofo-2.jpg

2주 동안 펼쳐지는 ‘Dark Mofo’의 마무리는 이른 아침, 호바트를 가로지르는 더웬트 강(River Derwent)에 알몸을 담그는 행위이다. 이는 긴 어둠이 끝나고 다시 빛을 맞이한다는 의식이다.

 

 

■ Festival of Voices

호주는 물론 전 세계 예술가, 워크숍 지도자, 합창단 등 음악과 관련된 이들이 모든 장르의 음악으로 호바트의 한 겨울을 뜨겁게 달구는 이벤트이다.

‘Festival of Voices’(FoV)는 지난 2004년, 한 겨울 호바트를 보다 활기차게 만드는 방법에 대한 해답에서 비롯됐다. 도심에 모닥불을 밝히고 모든 이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면 좋겠다는 아이디어가 결정됐고, 이렇게 시작된 ‘FoV’는 오늘날 국내외 3만여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이벤트로 자리잡았으며, 도심 곳곳의 명소에 모여 대형 모닥불을 중심으로 모인 사람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이 축제의 상징적 이미지가 됐다.

2주 동안 이어지는 ‘FoV’에서는 모든 음악 장르가 두루 선보이며 캬바레 예술가와 배우, 재즈 연주가 등의 공연도 이벤트 기간 내내 호바트의 교회, 박물관, 공원, 광장 등에서 만날 수 있다. 각 가수나 합창단 등의 공연 프로그램은 ‘FoV’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 가운데 호바트의 대표적 명소 중 하나인 살라망카(Salamanca)에서 펼쳐지는 ‘Big Sing Bonfire’는 한 번에 5천명 이상의 관객이 모이기도 한다.

올해 ‘Festival of Voices’ 이벤트는 6월29일 시작해 7월15일까지 이어진다. https://festivalofvoices.com 참조.

 

3 Festival Of Voices-1.jpg

호바트(Hobart)의 대표적 겨울 축제인 ‘Dark Mofo’가 끝나면 곧이어 흥미로운 음악 이벤트가 이어진다. ‘Festival of Voices’는 모든 장르의 음악을 즐기는 프로그램으로, 이 시기에는 전 세계 예술가들이 호바트로 몰려온다.

 

3 Festival Of Voices-2.jpg

‘Festival of Voices’는 한 겨울, 활기찬 밤을 보내자는 취지로 시작되어 지금은 호주의 대표적 음악 이벤트 중 하나로 성장했다. 이 시기, 호바트 도심 곳곳은 대형 모닥불과 함께 흥겨운 무대가 마련된다. 호바트의 명소 살라망카(Salamanca)에서 펼쳐진 ‘Big Sing Bonfire’ 프로그램에 모여든 관객들(사진).

 

 

■ Darwin Festival

연극, 무용, 음악, 코미디, 전시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북부 호주의 대표적 이벤트이다. 애초 이 축제는 지난 1974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다윈(Darwin)을 강타한 태풍 ‘트레이시’(Tracy)로 68명의 사망자에 2만5천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한 이후 슬픔에 빠진 도시 공동체를 하나로 모으고 도시를 재건하자는 취지로 북부 호주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 보건부 장관인 찰스 구드(Charles Gurd) 박사가 제안, NT 준주 정부 기금으로 1979년 ‘부겐빌레아 페스티벌’(Bougainvillea Festival)이라는 이름의 꽃 축제로 시작됐다(bougainvillea는 식물 용어로 분꽃과에 속하는 덩굴 식물이다).

도시 재건과 미화라는 취지에 따라 마련된 이 축제는 ‘Bougainvillea Queen of Quests’ 선발, 홈 가든 경연, 수레와 자전거 등을 꽃으로 장식한 거리 퍼레이드, 스포츠 경기, 손수레 경주, 손으로 만든 비행기 날리기 등의 이벤트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태풍으로 파괴됐던 도시가 재건되면서 부겐빌레아 페스티벌은 점차 북부 호주의 문화와 예술에 초점을 두게 되었고 1990년대부터는 지역 공동체 예술을 선보이는 축제로 자리잡았다. 특히 북부 호주의 원주민 공동체 예술가들, 아시아 문화단체들이 대거 참여하는 행사로 발전했으며 1996년부터는 ‘Festival of Darwin’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오늘날 ‘Festival of Darwin’은 세계적 명성의 축제로 성장해 축제가 열리는 다윈의 건기 시즌에는 전 세계 문화 예술가 및 단체, 여행자들이 찾고 있다.

올해 행사는 8월9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진다. www.darwinfestival.org.au 참조.

 

4 Darwin Festival-1.jpg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주도인 다윈(Darwin)의 비극은 아마도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군에 의한 폭격, 그리고 1974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다윈(Darwin)을 강타한 태풍 ‘트레이시’(Tracy)일 것이다. 이 이벤트는 ‘트레이시’ 태풍으로 거의 폐허가 된 도시를 다시 재건하자는 취지로 마련된 꽃의 축제(Bougainvillea Festival)에서 발전한 것이다.

 

4 Darwin Festival-2.jpg

‘Darwin Festival’은 연극, 무용, 음악, 코미디, 전시 등 예술 부문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북부 호주의 대표적 이벤트이자 세계적 명성의 축제이다.

 

 

■ Alice Springs Beanie Fest

호주 중앙 내륙, 앨리스 스프링(Alice Springs)의 원주민 여성들이 손으로 만든 비니(beanie) 파티에서 시작된 지역사회 기반의 작은 행사에서 지금은 대규모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다. 원주민들이 손으로 만든 모자를 판매하기 위해 고안된 이벤트가 여행자를 끌어들이고 지역사회에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축제로 자리잡은 것이다.

1997년부터 시작된 이벤트로 누구나 손수 디자인하여 만든 비니로 참가할 수 있으며 단순히 비니만을 선보이지 않고 다양한 문화 행사와 음식을 선보이며 호주 예술가들의 전시 등이 동시에 펼쳐진다.

올해 행사는 6월29일부터 7월2일까지 진행된다. www.beaniefest.org 참조.

 

5 Alice Springs Beanie Fest-1.jpg

‘Beanie Fest’는 머리를 장식하는 털모자를 주제로 한 이벤트이지만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흥미를 주는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5 Alice Springs Beanie Fest-2.jpg

호주 중앙 내륙의 원주민 여성들이 손수 손으로 만들어내는 비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행사로 시작된 Beanie Fest는 오늘날 호주 전역은 물론 해외 여행자로 하여금 앨리스 스피링을 방문하게 한다.

 

 

■ North West Festival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먼 북부, 필바라(Pilbara)의 연례 음악축제이다. 보통 8월 말경 주말 이틀간 필바라 중심지역인 포트 헤드랜드(Port Hedland)에서 펼쳐지며 축제 참가자들은 보석, 공예, 음식, 가정용품 스톨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또한 축제 현장에서 야영을 하며 맥주와 음식, 음악을 즐기는 서부 호주 외딴 지역의 최대 이벤트이다. 지역민뿐 아니라 서부 호주 북부 지역을 여행하는 이들도 추제 기간, 포트 헤드랜드를 방문해 이벤트를 즐긴다.

‘North West Festival’의 올해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추후 관련 사이트(www.everfest.com/e/north-west-festival-port-hedland-wa)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North West Festival-1.jpg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북부, 필바라 지역(Pilbara region)에서 펼쳐지는 ‘North West Festival’은 라이브 음악을 위주로 한 주말 이벤트이다.

 

6 노스 웨스트 페스티벌-2.jpg

라이브 음악을 즐기는 관객들. 이 이벤트에는 음악 공연뿐 아니라 보석, 공예, 지역 특산물, 가정용품 및 음식 스톨이 마련된다.

 

 

■ Regional Flavours Festival

‘선샤인 스테이트’(Sunshine State)인 퀸즐랜드(Queensland) 주의 최고 무료 음식 및 와인 축제로 브리즈번(Brisbane) 최고 풍경을 자랑하는 사우스 뱅크 파크랜드(South Bank Parklands)에서 펼쳐진다.

매년 7월 주말 이틀간 진행되는 ‘Regional Flavours Festival’은 음식과 와인 스톨에서 다양한 요리를 즐기며 유명 요리사의 요리 시연(50여 음식 이상)이 동시에 진행된다. 또한 와인과 치즈, 초콜릿, 과일 잼, 케이크 등 80여 개 스톨에서 퀸즐랜드의 특산물을 판매하며 부대행사로 라이브 무대와 어린이 프로그램도 풍성하게 마련된다.

올해 이벤트는 7월21-22일(토-일요일) 양일간 진행된다. https://regionalflavours.com.au 참조.

 

7 Regional Flavours Festival-1.jpeg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의 주말 이벤트인 ‘Regional Flavours Festival’는 음식을 주제로 펼쳐지는 이벤트이다. 주말 이틀간 브리즈번 사람들은 사우스 뱅크 파크랜드(South Bank Parklands)에서 다양한 요리를 즐긴다.

 

7 Regional Flavours Festival-2.jpg

음식을 주제로 한 이 축제는 요리 시연은 물론 80여 개의 스톨에서 지역 농산물을 소개하는 장이다. 오후의 햇살을 받으며 이벤트를 즐기는 사람들(사진).

 

 

■ Head On Festival

시드니에서 펼쳐지는 사진가를 위한 축제이다. 각 주제의 다양한 사진 전시회가 마련되는 이벤트로, 패딩턴(Paddington Town Hall)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서 수많은 전시회가 열리며 호주는 물론 전 세계 사진작가들이 참여한 워크숍, 아티스트 토크 등의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사진 전시는 시드니 전역 100여 장소, 참가하는 사진작가는 호주 국내외 800여 명에 달하는 대규모 사진 이벤트이다.

올해 ‘Head On Festival’은 이달 5일 시작됐으며 28일까지 이어진다.

 

8 Head On Festival-1.jpg

‘Head On Festival’은 시드니에서 펼쳐지는 사진가들의 축제이다. 호주는 물론 전 세계 사진가들이 모여 ‘사진’을 주제로 전시는 물론 관객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8 Head On Festival-2.jpg

약 3주간 이어지는 ‘Head On Festival’은 패딩턴(Paddington Town Hall)을 중심으로 하여 시드니 도심 곳곳에 전시장이 마련된다. 사진은 ‘Head On Festival’의 자원봉사자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0 매거진 메인.jpg (File Size:133.3KB/Download:29)
  2. 1 Vivid-1.jpg (File Size:86.0KB/Download:17)
  3. 1 Vivid-2.jpg (File Size:94.1KB/Download:25)
  4. 2 Dark Mofo-1.JPG (File Size:57.8KB/Download:20)
  5. 2 Dark Mofo-2.jpg (File Size:77.0KB/Download:25)
  6. 3 Festival Of Voices-1.jpg (File Size:89.5KB/Download:19)
  7. 3 Festival Of Voices-2.jpg (File Size:87.8KB/Download:15)
  8. 4 Darwin Festival-1.jpg (File Size:131.2KB/Download:15)
  9. 4 Darwin Festival-2.jpg (File Size:89.6KB/Download:27)
  10. 5 Alice Springs Beanie Fest-1.jpg (File Size:86.2KB/Download:23)
  11. 5 Alice Springs Beanie Fest-2.jpg (File Size:70.9KB/Download:20)
  12. 6 North West Festival-1.jpg (File Size:71.4KB/Download:17)
  13. 6 노스 웨스트 페스티벌-2.jpg (File Size:82.5KB/Download:17)
  14. 7 Regional Flavours Festival-1.jpeg (File Size:113.3KB/Download:20)
  15. 7 Regional Flavours Festival-2.jpg (File Size:82.4KB/Download:26)
  16. 8 Head On Festival-1.jpg (File Size:90.8KB/Download:13)
  17. 8 Head On Festival-2.jpg (File Size:112.7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01 호주 버려진 장난감으로 탄생한 ‘공 룡 세 상’ 톱뉴스 18.01.12.
4300 호주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신작 ‘더 포스트’ 톱뉴스 18.01.12.
4299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재점화 톱뉴스 18.01.14.
4298 호주 끝이 안보이는 시드니 전철 ‘대란’…15일 지연 운행 우려 톱뉴스 18.01.14.
4297 호주 2018 호주오픈 15일 개막…정현, 권순우 ‘출격’ 톱뉴스 18.01.14.
4296 호주 샘 해밍턴-제임스 최 호주대사, 평창올림픽 성화 봉송 톱뉴스 18.01.14.
4295 뉴질랜드 지진으로 생긴 호수, 특이한 관광상품으로 각광 NZ코리아포.. 18.01.16.
4294 뉴질랜드 다양한 길거리 공연 등장하는 CHCH NZ코리아포.. 18.01.17.
4293 뉴질랜드 뉴질랜드 독자들은 스릴러를 좋아해 NZ코리아포.. 18.01.17.
4292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상 열기로 해변 수온 올라가 NZ코리아포.. 18.01.17.
4291 뉴질랜드 혼자 버스 타고 쇼핑하러 가는 견공(?) NZ코리아포.. 18.01.17.
4290 호주 부동산 화제- 시드니 인근, 주택 가격 저렴한 해안 휴양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9 호주 NSW 주, ‘Be Water Safe, Not Sorry’ 캠페인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8 호주 2018년 대대적 변화가 전망되는 시드니 5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7 호주 광역시드니 각 카운슬의 개발신청 승인 상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6 호주 Australia Day... ‘호주’ 국가 출발을 기념하는 최대 국경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5 호주 정부 규제 강화로 외국인 부동산 구입,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4 호주 녹색당, “Australia Day의 날짜 변경 추진하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3 호주 대졸 신입 ‘정규직’ 취업난... 5명 중 1명, 첫 직장은 ‘파트타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2 호주 호주 각 지역 중 ‘일자리 찾기’ 가장 쉬운 지역은 NSW 주 file 호주한국신문 18.01.18.
4281 호주 국민 언론 신뢰도, 한국 최하위…뉴스 공정성•정확성 모두 ‘낙제점’ 톱뉴스 18.01.19.
4280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가열 톱뉴스 18.01.19.
4279 호주 ‘지리멸렬’ 시드니 전철 사태…19일 24시간 파업 톱뉴스 18.01.19.
4278 호주 [호주오픈] 정현, 즈베레프에 기권승…2회전 진출 톱뉴스 18.01.19.
4277 호주 호주달러,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가파른 상승세 톱뉴스 18.01.19.
4276 호주 중국-호주, 불편한 관계 심화… 중국 매체, 호주에 융단 폭격 톱뉴스 18.01.19.
4275 호주 시드니 최고의 고학력자 동네: ‘로즈’(Rhodes) 톱뉴스 18.01.19.
4274 호주 정현, 메드베데프 3-0 완파…호주오픈 3회전 진출 톱뉴스 18.01.19.
4273 호주 베넬롱 낙선 크리스티나 케넬리, 상원의회 입성 확정적 톱뉴스 18.01.19.
4272 호주 호주 12월 고용 3만4천700명↑…예상 큰 폭 상회 톱뉴스 18.01.19.
4271 호주 건축 인허가 절차 가장 까다로운 카운슬은? 톱뉴스 18.01.19.
4270 호주 수퍼(퇴직연금) 조기 인출 사례 증가…정부 규정 완화 가능성 시사 톱뉴스 18.01.19.
4269 호주 "미니 주택단지가 뜬다" 톱뉴스 18.01.19.
4268 호주 새해맞이 풍수인테리어, 현관 꾸미기 톱뉴스 18.01.19.
4267 호주 방탄소년단 읽기, 낮은울타리 신상언 선교사 톱뉴스 18.01.19.
4266 호주 심심한 방학, 관심에 따라 만끽하는 재미가 달라요 톱뉴스 18.01.19.
4265 호주 26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맞아 페리톤 행사 열려 톱뉴스 18.01.19.
4264 뉴질랜드 뉴질랜드 전국 주택 연간 5.8%, 오클랜드 1.8% 상승 NZ코리아포.. 18.01.20.
4263 뉴질랜드 재신다 아던 총리 “6월에 첫 아기 출산해” NZ코리아포.. 18.01.20.
4262 뉴질랜드 사립 초중고 졸업 비용, 모두 36만 달러...국공립의 10배 NZ코리아포.. 18.01.20.
4261 뉴질랜드 하루 동안 3차례 지진 찾아온 CHCH, 피해 보고는 없어 NZ코리아포.. 18.01.20.
4260 뉴질랜드 싸움 현장 출동했다가 대박(?) 성과 올린 경찰 NZ코리아포.. 18.01.20.
4259 뉴질랜드 타우랑가, 오클랜드 제치고 주택 구입 가장 어려운 도시 NZ코리아포.. 18.01.22.
4258 뉴질랜드 지난해 부의 28%인 420억 달러, 인구 1% 키위 부자들 손으로... NZ코리아포.. 18.01.22.
4257 뉴질랜드 “수백만 마리 꿀벌이 집단 폐사한 원인은?” NZ코리아포.. 18.01.22.
4256 뉴질랜드 임대 계약에 인종과 혼인 관계 문제, 인권보호 위원회 불만 제소 NZ코리아포.. 18.01.23.
4255 뉴질랜드 집 나간 사이에 이름 2개나 더 갖게된 물오리 한 마리 NZ코리아포.. 18.01.23.
4254 뉴질랜드 교사가 부족해 은퇴 교사 재고용한 학교 NZ코리아포.. 18.01.23.
4253 뉴질랜드 남섬의 한 타운, 플라스틱 빨대 금지 캠페인 벌여 NZ코리아포.. 18.01.24.
4252 호주 센트럴코스트 임대료 상승, 시드니 외곽 지역 중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