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차우착 윙).jpg

호주의 억만장자 부동산 개발업자이자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차우 착 윙(Chau Chak Wing)씨가 전 유엔 사무총장 존 애쉬(John Ashe)에게 뇌물을 전달한 ‘CC-3’(3명의 공범을 뜻함) 중 한 명이라는 폭로가 나왔다. 이는 자유당 소속 앤드류 헤이스티(Andrew Hastie) 의원이 의회 면책특권을 이용해 밝힌 것이다. 사진은 NSW 주 중국-호주 비즈니스 카운슬 후원자로 나선 차우 착 윙씨(오른쪽).

 

자유당 의원 밝혀... 미 법원 기소장에 명시된 ‘CC-3’ 중 하나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중국계 호주 사업가들이 정치-교육계에 엄청난 자금을 지원하며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해에는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가 중국계 부동산 개발업자들로부터 거액의 후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호주 정보당국인 ASIO(Australian Security Intelligence Organisation)가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전에도 ASIO는 자유당, 노동당 및 국민당 일부 의원들에게 중국계 사업가들로부터 받는 정치 후원금에 대해 경고를 보내기도 했다. 당시 이를 전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주요 인물로 억만장자 부동산 개발업자인 차우 착 윙(Chau Chak Wing)씨와 후앙 시앙모(Huang Xiangmo)씨를 언급한 바 있다.

이 주요 인사 가운데, 차우씨가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한 존 애쉬(John William Ashe)에게도 뇌물을 제공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자유당 앤드류 헤이스티(Andrew Hastie) 하원의원이 의회 면책특권(Parliamentary privilege)을 사용해 이 같은 내용을 폭로한 것이다.

금주 수요일(23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양원 합동 정보-보안 위원회(Parliamentary Joint Committee on Intelligence and Security, PJCIS) 위원장이기도 한 헤이스티 의원은 전날(22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2015년 10월 적발된 제68차 유엔총회 존 애쉬 사무총장의 뇌물수수 혐의 사건에 차우 착 윙씨가 연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호주 시민권을 가진 차우씨는 지난 10여년 간 자유당 및 노동당에 거액의 정치후원금을 제공한 인물이기도 하다.

당시 애쉬 전 의장은 마카오의 부동산 개발업자 응 랍셍(Ng Lap-seng)씨를 포함한 중국 기업인들로부터 130만 달러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기소됐다. 이로부터 1년 뒤인 2016년 6월22일, 그는 뉴욕 북부 돕스페리(Dobbs Ferry)에 소재한 자택에서 돌연 사망했다.

헤이스티 의원에 따르면 차우씨가 전달한 금액은 20만 달러다. 그는 해당 뇌물사건의 법원 기소장에 기재된 ‘공모자 세 명’이라는 뜻의 CC-3(Co-Conspirator 3)를 언급하며, 최근 유엔 당국과 만나 정치계에 일어나는 간첩행위와 외국의 간섭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오랫동안 추적해왔던 나머지 한 명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차우씨는 유엔 전 사무총장 존 애쉬에게 뇌물을 제공한 3명 중 하나”라고 못박았다.

헤이스티 의원은 “이는 국가적 관심사이며, 호주 국민들 그리고 연방의 민주적 전통과 가치, 즉 언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내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의무라고 믿기에 이 같은 내용을 함께 나누게 됐다”고 폭로 이유를 밝혔다.

헤이스티 의원은 이날 의회에 ‘민감한 자료’라고 분류된 미국 주 정부기관의 2007년 외교 전문을 제시하며, “차우씨는 중국 공산당 및 연합전선(United Front)과도 폭넓게 연계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CC-3의 한 명이 호주 시민권을 가지고 있다”면서 “2004년부터 호주 정치인들에게 400만 달러, 호주 소재 대학교에 450만 달러를 기부했다”고 설명했다.

헤이스티 의원은 이어 “CC-3의 뇌물수수 사건을 보도해 온 호주 언론들은 이들에게서 고소를 당했다”고 말한 뒤 “명예훼손 소송은 법원이 해결할 일이지만, 내가 우려하는 것은 이런 명예훼손 사건들이 언론의 자유에 대한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서구 민주주의에 미치는 중국의 전반적인 영향력에 대해 비판하며 “현재 중국 공산당이 호주의 언론과 대학 및 정치적인 절차와 공적 토론에까지도 은밀하게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헤이스티 의원의 폭로와 관련해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는 “해당 이슈는 오래된 사건이기에 더 이상 덧붙일 말이 없다”고 일축한 뒤 “이런 일로 헤이스티 의원이 의회 면책특권을 사용할 줄 몰랐다”고 비난했다.

스티브 사이보(Steve Ciobo) 무역부 장관 또한 “의회 면책특권을 사용할 때에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며 “미디어와 대중들이 그(헤이스티 의원)가 이를 잘 고려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회 면책특권은 의원들이 명예훼손의 위험 없이 의회 내에서 자유롭게 발언할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과거 차우씨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 및 ABC 방송을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차우착 윙).jpg (File Size:57.5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51 호주 지방대학들, 연방정부의 HECS 상환 제안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0 호주 호주 ‘Child Prosperity Index’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9 호주 ‘2016 Houses Magazine Awards’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8 호주 노동당 플리버세크 부대표, 교육부 담당 겸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7 호주 Australia's bloodiest WWI... ‘Fromelles’, ‘Pozieres’ 전투 1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6 호주 겨울 시즌 시드니 경매시장, ‘셀러스 마켓’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5 호주 RBA,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4 호주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의 ‘최고 선호 여행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3 호주 글로벌 추세 따라 호주인 중국 유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2 호주 “시드니 주거지 개발 붐, 공급과잉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1 호주 연방 정부, 새로운 메디케어 계획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0 호주 2016 호주 인구조사, 어떻게 진행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9 호주 “호주 직장인들, 새로운 기술 흐름에 적응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8 호주 광역 시드니,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7 호주 9 of the most incredible places to sleep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6 호주 하버 전망의 달링포인트 아파트, 178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5 호주 호주가 배출한 최고의 서퍼, 파렐리씨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4 호주 지난 2월 이후 시드니 도심 노숙자 18%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3 호주 2011 센서스 통해 본 호주의 희귀 직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2 호주 ‘인구조사’ 관련, “위반 따른 벌금은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1 호주 UTS, ‘애니메이션 시각학’ 석사과정 개설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0 호주 일과 후의 직장인들 대상, 문화 활동 장려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9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최고의 해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8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적정 주택가격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7 호주 심화되는 부의 불평등... “호주는 더 이상 공정사회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6 호주 14 of the world’s most expensive homes on sale right now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5 호주 MHAHS, 다문화 사회 간염 인식 제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4 호주 봄 시즌, 시드니 부동산 경매시장 다시 불붙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3 호주 태양열 전력 생산,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2 호주 ‘길거리 도서관’ 통한 독서 운동, 학교들 동참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1 호주 NSW 주, 전년 대비 소비자 불만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0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젊은 전문직 종사자 최고 거주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9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범죄발생과 주거 적합성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8 호주 올해 ‘독감’ 기승... NSW 주서 45명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7 호주 호주 원주민 청년 자살률, 전 세계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6 호주 호주 국세청, 허위 세금 환급 신청 사례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5 호주 루시 턴불, ‘헤리티지 주택’ 파괴에 대해 “몰랐다” 일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4 호주 The 10 best crowd-free roads worth a drive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3 호주 8월 최고 낙찰률 기록, 도심 인근 주택가격 ‘강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2 호주 시드니 최대 이탈리안 축제, 10만여 인파 운집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1 호주 소비자 가격 저렴한 주유소, 시드니 남부 지역에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0 호주 뉴질랜드인들, 타 이민자보다 호주생활 더 ‘불만족’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9 호주 대부분 사립학교들, “전학? 학비 내고 가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8 호주 IPART, 연금수령자 대상 지원제도 변경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7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폭력에 강도 높은 대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6 호주 심장 전문의들, 고령층 ‘심장박동’ 정기 검진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5 호주 시드니 지역 가구당 교통비 지출, 연간 2만2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4 호주 호주인들, 도박으로 연간 23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3 호주 정규직 줄고 비정규 늘어, 호주 노동시장 ‘적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2 호주 시드니, 전 세계 ‘톱 10 살기 좋은 도시’에서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