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통혼잡 1).jpg

시드니는 국제적 명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실질적인 도시 기능에서는 비슷한 규모의 다른 도시에 비해 뒤떨어진다는 평가이다. 특히 고로교통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며, 이미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에 이르렀다는 진단이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정체 도로.

 

‘호주 부동산위원회’ 도시 연구 보고서... 국제적 평가 비해 도시기능 미흡

 

시드니 도로교통 혼잡이 최악의 상태에 이르고 있다는 조사나 나왔다. 증가하는 인구에 대비하지 못한 대중교통 시스템, 출퇴근시 승용차 이용을 고집하면서 시드니 도로교통 상황은 이제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티핑 포인트’는 작은 변화들이 일정 기간 동안 쌓이게 되면서 이제 작은 변화가 하나만 더 발생해도 엄청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에 달했음을 뜻한다.

시드니대학교 도로교통 연구소 소장인 스티븐 그리브스(Stephen Greaves) 교수는 시드니의 경우는 유사한 다른 도시들에 비해 교통 혼잡과 출퇴근 소요 시간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시드니 대중교통 시스템은 기차역 주변의 대대적인 주거지 개발로 인해 이용자 한계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으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한 그리브스 교수는 “시드니 인구 증가 속도는 다른 글로벌 도시의 증가 비율보다 높으며 인구 규모 또한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호주 부동산위원회(Property Council of Australia)의 의뢰로 국제도시 전문가인 그렉 클라크(Greg Clark, City Leadership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수가 진행한 이번 도시 연구에 따르면 시드니의 국제적 명성은 실제 도시 기능보다 높게 평가되어 있다.

조사 결과 시드니는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몬트리얼(Montreal), 피닉스(Phoenix) 등 인구 규모가 유사한 다른 도시들에 비해 도로교통 혼잡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시드니의 출퇴근 소요시간이 도시인구 규모와 비교해 정상 수준을 크게 넘어섰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드니의 경우 인구 밀도가 낮아 대중교통 이용료 및 소요 시간도 길어지고 있다.

시드니는 국제도시로서의 인식 측면에서 열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제반 도시 기능을 기준으로 보면 실질적 도시 순위는 15위로 뒤쳐진다.

시드니의 강점은 양질의 교육 부문과 높은 실용성 및 국제적 명성으로 압축된다. 현재 시드니는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보스톤(Boston), 토론토(Toronto), 마드리드(Madrid) 등과 함께 글로벌 도시 두 번째 그룹(second tier)의 도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 있으며, 이 그룹의 선두 도시로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호주 정책연구기관인 ‘그라탄 연구소’(Grattan Institute)의 매리언 테릴(Marion Terrill) 교통 프로그램 책임연구원은 시드니 교통 혼잡 자료에 대해 ‘마르케티 상수’(Marchetti's constant. 한 개인이 매일 출퇴근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약 1시간이다)와 연관성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출퇴근 시간으로 하루 30-35분 이상을 들이지 않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을 하기 위해 너무 멀리 가려 하지 않는다”는 그는 “그래서 출퇴근 시간이 그다지 나쁜 것은 아니다”는 것이다. 다만 그녀는 시드니의 도로교통 혼잡은 매우 변동이 심하고 전체 일자리의 14%가량이 시드니 도심(CBD)에 위치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을 위해 도시 곳곳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브스 교수는 인구 증가로 인해 버스, 기차 및 도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상황에서 새로이 주거지로 개발된 곳의 기차역을 중심으로 충분한 대중교통이 보완되었는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인구가 늘어나고, 이들이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할 경우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지는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는 얘기다.

그리브스 교수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혼잡이 가중된다면 사람들은 다시 우버(Uber)를 이용하거나 승용차로 출퇴근하려 할 것”이라며 “출퇴근을 원활하게 하려는 모든 조치들은 인구 증가로 다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또한 교통상황에 대한 인식과 실제 교통현장 상황 사이의 불일치가 시드니 및 다른 도시에도 위험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NSW 부동산위원회(Property Council NSW)의 제인 피츠제럴드(Jane Fitzgerald) 최고경영자는 “이번 조사 결과 시드니는 글로벌 10대 도시에 포함되어 있고 도시 브랜드 또한 매우 강하지만 (도시를 평가하는) 주요 기준들을 보면 각 기능은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주요 5개 도시의 명성과 전반적 기준에서의 도시 기능 사이에는 유사한 차이점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호주의 주요 도시들을 캐나다-스칸디나비아-독일-미국 남서부 주요 도시 및 아시아 지역 혁신도시들과도 비교했다. 그 결과 시드니의 경우 도시 운영 측면에서는 비판적이라는 결론이었다. 토론토(Toronto), 베를린(Berlin), 코펜하겐(Copenhagen)처럼 거대하고 중앙집권화된 지방정부 구조를 가진 도시에 비해 시드니는 결코 높은 평가가 아니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지난 세기 대부분 동안 호주의 주요 도시들은 전 세계 다른 도시에 비해 덜 계획적이었고 관리 면에서도 뒤떨어졌다고 경고했다. 피츠제럴드 최고경영자는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정부 당국이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이어 “시드니는 글로벌 도시라는 명성만큼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전 세계 도시에 뒤처지지 않도록 도시계획과 정책을 보다 명확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그 성과를 이루어내야 한다”고 제시했다.

 

■ 도시별 인구밀도와 출퇴근 소요 시간

(시드니와 유사한 규모 도시들. 도시 : 인구밀도 / 출퇴근 소요시간)

-Los Angeles : 1042명 / 30.7분

-Phoenix : 813명 / 24.6분

-San Francisco : 503명 / 33.6분

-Sydney : 390명 / 35분

-Montréal : 890명 / 30분

-Toronto : 1004명 / 34분

-Vancouver : 854명 / 29.7분

-Madrid : 803명 / 31분

(인구밀도는 1스퀘어킬로미터 당 거주자 수)

Sources: ABS Census 2016, Statistics Canada Census 2016, US Census 2016, Community of Madrid, BITRE.

 

■ 호주 주요 도시 출퇴근 피크 시간대 정체 비율

(non-peak 시간 대비)

▲ 2008년

-Sydney : 28%

-Melbourne : 25%

-Brisbane : 24%

-Adelaide : 22%

-Perth : 22%

 

▲ 2010년

-Sydney : 32%

-Melbourne : 26%

-Brisbane : 24%

-Adelaide : 24%

-Perth : 24%

 

▲ 2012년

-Sydney : 34%

-Melbourne : 28%

-Brisbane : 23%

-Adelaide : 25%

-Perth : 29%

 

▲ 2014년

-Sydney : 35%

-Melbourne : 28%

-Brisbane : 25%

-Adelaide : 25%

-Perth : 27%

 

▲ 2016년

(도시 괄호 안은 2016년 기준 전 세계 도시별 도로정체 순위)

-Sydney(29) : 39%

-Melbourne(58) : 33%

-Brisbane(96) : 28%

-Adelaide(100) : 27%

-Perth(105) : 27%

Source: Tomtom traffic Index 2008-16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교통혼잡 1).jpg (File Size:75.0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51 호주 시드니의 대규모 정원들, 매년 3억2천만 달러 가치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3750 호주 NSW 주 정부의 ‘Cost of Living Service’, “적극 활용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3749 호주 호주 어린이들이 뽑은 영화-드라마 속 최고 영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3748 호주 “제왕절개 출산, 전 세계에서 과용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374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위축 속, 윌로비 소재 주택 ‘강력한 경매 결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3746 뉴질랜드 NZ 경찰 “새로운 경찰관 모집 홍보 영상 공개” NZ코리아포.. 18.10.24.
3745 뉴질랜드 꽉 막힌 고속도로 “복권 1등 당첨의 행운 가져다줬다” NZ코리아포.. 18.10.24.
3744 뉴질랜드 오클랜드와 노스랜드 병원 시설 20%, 문제 있어 NZ코리아포.. 18.10.24.
3743 뉴질랜드 폭력적인 포르노 그라피 공유, 정부의 조치 요구 NZ코리아포.. 18.10.24.
3742 뉴질랜드 NZ관광객들, 하이킹 시작 전 위험 대비 필요 NZ코리아포.. 18.10.24.
3741 뉴질랜드 카운트다운 헌틀리 바나나에서 유리 조각 나와 NZ코리아포.. 18.10.24.
3740 뉴질랜드 애완 동물 국립 공원 입장 허용 제안, 환경 운동가들 분노 NZ코리아포.. 18.10.23.
3739 뉴질랜드 순이민자 감소 추세 여전, 비시민권자 출국 증가가 가장 큰 영향 NZ코리아포.. 18.10.23.
3738 호주 [도메인 보고서] 시드니 주택 임대료 1년간 최대 9% 하락 톱뉴스 18.10.22.
3737 호주 “백패커 소득세 폐지해 농촌 인력난 해소하라” 톱뉴스 18.10.22.
3736 호주 호주정부의 석탄화력발전 사랑…IPCC ‘중단’ 제안 일축 톱뉴스 18.10.22.
3735 호주 호주 생활비 상승률, 소비자 물가지수 추월 톱뉴스 18.10.22.
3734 호주 호주 실업률 역대급 하락…자유당 정부 “경제정책의 대성공” 희색 만연 톱뉴스 18.10.22.
3733 뉴질랜드 국제적인 ‘별 관측 명소’로 지정 신청한 스튜어트 아일랜드 NZ코리아포.. 18.10.21.
3732 뉴질랜드 뱀이 살지 않는 뉴질랜드에 운전 중 뱀이 떨어져.... NZ코리아포.. 18.10.21.
3731 뉴질랜드 벽난로 나무와 석탄 연기, 어린이 피부 질환 위험 높여 NZ코리아포.. 18.10.21.
3730 뉴질랜드 타스만 여성, 2만 5천 피트 스카이 다이빙 기록 세워 NZ코리아포.. 18.10.21.
3729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 설치된 CCTV NZ코리아포.. 18.10.19.
3728 뉴질랜드 먼 태평양에서 상어에 부착했던 발신기, NZ해안에서 발견돼 NZ코리아포.. 18.10.19.
3727 뉴질랜드 호주에서 납치된 어린이들, 남아프리카와 뉴질랜드로 보내져 NZ코리아포.. 18.10.19.
3726 뉴질랜드 2025년까지 2,500명의 교사 부족 예상 NZ코리아포.. 18.10.19.
3725 호주 왕립위원회 위원, "호주 교회들은 자산 및 수익 공개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24 호주 연립 정부의 이민자 제한 움직임, 지지도 하락으로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23 호주 호주 인구증가율, 선진국 가운데 최고... 과연 사실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22 호주 HSC 시험 시작... 과목별 남녀 응시율, 20년 전과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21 호주 Things to do in Bowral, Southern Highlands(2)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20 호주 전 세계 ‘파워풀 여권’ 순위... 호주, 183개국 무비자 방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19 호주 화제의 인물- 한 은퇴 노인이 30년 가꾼 수선화 정원, 관광명소가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18 호주 모리슨 총리, 계절노동자 대상 취업비자 ‘유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17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털루 지역에 또 하나의 주거지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16 호주 부동산 화제- 시드니 일부 지역의 높은 주택 가격, “일회성이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3715 뉴질랜드 잭슨 감독 “1차대전 다큐멘터리 작품 선보여” NZ코리아포.. 18.10.18.
3714 뉴질랜드 Rocket Lab 로켓 연구소, 미국 버지니아에 발사시설 건설 NZ코리아포.. 18.10.18.
3713 뉴질랜드 수요 증가로 웰링턴 주택 가격 급등 NZ코리아포.. 18.10.18.
3712 뉴질랜드 비과세 인터넷 쇼핑, 내년 10월에 끝나 NZ코리아포.. 18.10.18.
3711 뉴질랜드 DOC, 카우리 보호 위해 21개 트랙 폐쇄 NZ코리아포.. 18.10.17.
3710 뉴질랜드 오클랜드 항만에서 페리가 남기는 항적 타고 질주한 보더들 NZ코리아포.. 18.10.17.
3709 뉴질랜드 "안녕, 죽음", 코라콜라의 마케팅 실수 SNS에서 화제 NZ코리아포.. 18.10.16.
3708 뉴질랜드 뉴질랜드 2018 올해의 새는 ? NZ코리아포.. 18.10.16.
3707 뉴질랜드 금전적 압박으로 젊은 키위들, 쉽게 돈 버는 유혹에 빠져... NZ코리아포.. 18.10.15.
3706 뉴질랜드 경찰 추적 피해 골프장으로 돌진한 뒤 불타오른 승용차 NZ코리아포.. 18.10.15.
3705 뉴질랜드 투포환 선수 발레리 아담스 “둘째 임신 중, 도쿄 올림픽에도 출전하겠다” NZ코리아포.. 18.10.15.
3704 뉴질랜드 웰링턴 해변에 나타난 물범 NZ코리아포.. 18.10.15.
3703 뉴질랜드 알코올 제품, 임신 중 음주위험 경고 라벨- 의무 부착 NZ코리아포.. 18.10.12.
3702 뉴질랜드 합성마약 복용자 “3주 동안 31명이나 CHCH 병원으로 실려와” NZ코리아포.. 18.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