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식 교수, “북한 핵 추구 안하고 판매할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에 북한의 진정성 관철시켰어야”


 

박한식 조지아대(UGA) 명예교수는 북한이 “전략을 바꿀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을 취소한다고 밝힌 것에 우려를 나타냈다.

 

박 교수는 24일 뉴스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이번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만날 수는 있었겠지만 별다른 결정 없이 ‘다음에 만나자’는 식으로 헤어질 것으로 예상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리비아식 비핵화에 화학무기까지 언급한 존 볼튼의 발언 수위나 최선희 부상이 펜스 부통령을 ‘정치적 얼뜨기’로 비난하는 등의 수위를 보아서 미-북 간의 협상이 잘 안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중국이 묘한 변수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취소 서한이 중국도 경계해야 하는 입장에서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를 설득시키러 왔어야 했는데 트럼프 말만 듣고 갔다”면서 “북한의 비핵화 의도에 진정성이 있다는 걸 관철시켰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기만성이 없다고 설득했어야 했다는 것.

 

박 교수는 앞서 22일 뉴스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면담을 가졌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갔다’고 평가한 바 있다.

 

결국 상호 신뢰가 없다는 것만 확인하게 된 북한은 핵과 관련한 전략을 바꿀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북한도 이미 정책이 바뀌어서 핵을 추구하지는 않을 것이고, 핵을 확산하는데 노력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핵을 가지고 장사를 할 것인데, 이건 미국도 두려워할 일”이라고 말했다.


 

클릭시 이미지 새창.

  • |
  1. park_hanshik2-0.jpg (File Size:107.5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50 미국 워싱턴한인들 美정치인 낙선운동 눈길 file 뉴스로_USA 16.11.05.
949 미국 美 도서관서 창작국악밴드 공연 file 뉴스로_USA 16.11.04.
948 미국 재외동포 장학생 177명, 모국 역사문화 체험 file 뉴스로_USA 16.11.04.
947 캐나다 평화의 사도 기념탑 헌화식으로 공식 일정 시작 밴쿠버중앙일.. 16.11.04.
946 캐나다 한인 노부부 과잉진압 제3자 조사 밴쿠버중앙일.. 16.11.04.
945 미국 美유학생 첫 시국선언…UC버클리대 학생들 “朴대통령 책임져야” file 뉴스로_USA 16.11.03.
944 미국 ‘박근혜하야’ 미주동포들 연대시위 file 뉴스로_USA 16.11.03.
943 미국 뉴욕에서 한번 놀아보세 ‘놀이’ 공연 file 뉴스로_USA 16.11.02.
942 미국 남북미중 화가들 뉴욕서 첫 합동전시 file 뉴스로_USA 16.10.31.
941 미국 [단독] 세계 첫 불교뮤지컬 뉴욕시연회 호평 file 뉴스로_USA 16.10.30.
940 미국 美 한인대학생 안타까운 죽음 file 뉴스로_USA 16.10.30.
939 미국 오승제 뉴욕문화원장 차은택 입김? file 뉴스로_USA 16.10.30.
938 미국 해외한인들 ‘박-최 게이트’ 비난봇물 file 뉴스로_USA 16.10.30.
937 미국 정직한 신랑감 찾는 요령 있다면? file 코리아위클리.. 16.10.29.
936 미국 韓청년작가 3인 워싱턴 미디어아트 전시 file 뉴스로_USA 16.10.29.
935 미국 달라스에서 독도의 진실을 만나다! file KoreaTimesTexas 16.10.29.
934 미국 ‘신세대’ 강상구 마이애미 한인회장 취임 코리아위클리.. 16.10.29.
933 미국 탬파 동포들, 미 대선 합동 우편투표 모임 열어 코리아위클리.. 16.10.29.
932 미국 뉴저지서 위안부초상화전 file 뉴스로_USA 16.10.28.
931 미국 워싱턴DC 첫 한국문화주간 펼쳐 file 뉴스로_USA 16.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