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어말하기 1).JPG

나를 ‘심쿵’하게 만든 한국의 색다른 문화를 주제로 한 올해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는 13명의 참가자가 출연(사진), 다양한 경험을 흥미롭게 풀어내 박수를 받았다. 올해 대회 1등상은 한국의 ‘정’을 풀어낸 앤서니 맥메나민(Anthony McMenamin. 가운데 ‘앵삼’을 입은 사람)씨가 차지했다.

 

‘세종학당’ 수강자들, ‘한국어 말하기’ 대회서 빼어난 실력 과시

 

“외국인에게 ‘정’은 사실 모호한 개념이지만, 제가 느낀 ‘정’은 ‘심쿵’한 경험이었습니다. 우리 모두는 ‘정’을 나누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정’을 나누면서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Anthony McMenamin

호주 현지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현지인들의 ‘한국 사랑’을 확인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박소정, 이하 ‘문화원’)은 지난 주 금요일(25일) 저녁, 문화원에서 세종학당 한국어 강좌 수강생 대상 ‘2018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진행했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최고상 수상자에게는 ‘세종학당재단’ 주관으로 한국에서 개최되는 ‘한국어 말하기 대회’ 결승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이번 행사에는 호주 현지 세종학당 수강생 13명이 열띤 경연을 펼쳤다.

‘나를 심쿵하게 만든 한국의 색다른 문화’라는 주제의 올해 대회에서는 ‘말하기 부문’에 12명, 장기자랑 부문에 1명이 참가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열정을 선보였다.

초급에서 고급까지 수강 레벨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가가 가능한 올해 대회에서는 한국어 학습 기간이 비교적 짧은 초급부문 수강자들도 참가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그동안 혼자서 한국어 공부를 해 오다 올해 세종학당에 등록한 초급반의 에이미 브렌넌(Amy Brennan)씨는 한국 가수 인순이씨의 ‘아버지’라는 노래를 선사해 큰 박수를 받았다.

올해 대회 심사는 신기현 NSW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유경애 한국어교사협의회 회장, 이은경 한글학교협의회 회장이 맡았으며, △언어 표현 능력, △발표 내용, △청중 호응도 등으로 점수를 부여했다. 신기현 교수는 “올해 주제가 ‘심쿵’이어서 그런지 개인적인 경험담이 많아 흥미로웠다”며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지 3개월 밖에 안 되었지만 내용을 모두 외워 참가한 학생이나 시적인 문장을 구사한 참가자 등이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올해 대회 3위는 고등학교 때 만난 친구를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경험을 발표한 초급의 유니스 린(Eunice Lin)씨와 “K-Beauty와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다”며 다양한 한국의 뷰티 제품을 주제로 발표한 저스틴 웡소(Justina Wongso)씨가 차지했다. 2위는 ‘나의 심쿵으로 말할 것 같으면~ K-POP!’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낸 퀜티나 쿠수마(Quentina Kusuma)씨에게 돌아갔으며 1위는 ‘나를 심쿵하게 만든 정 이야기’를 주제로 발표한 앤서니 맥메나민(Anthony McMenamin)씨가 차지했다. 맥메나민씨는 “‘심쿵’이라는 주제를 들었을 때 한국의 특징인 ‘정’을 떠올렸고 한국 사람에게 느꼈던 ‘정’의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서 대회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어를 쉽게 공부할 수 있게 도와준 세종학당 교사들과 문화원에 감사를 표하며 “한국에서 개최될 우수학습자 초청 연수도 매우 기대가 크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올해에는 1등 시상을 위한 특별 세레모니로 문화원은 조선시대 유생들이 장원급제 당시 입었던 ‘앵삼’과 임금이 내려준 ‘어사화’를 착용케 함으로서 흥미를 더했다.

맥메나민씨는 올 하반기 한국에서 개최되는 ‘세종학당 우수학습자초청연수’에 참가하게 되며, 예선 우승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 심사 통과시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본선에 진출하여 세계 곳곳의 세종학당에서 온 참가자들과 한국어 실력을 겨루게 된다.

올해 행사에는 약 80여명의 청중이 함께 해 대회 참가자들에게 응원과 격려를 보냈으며, 문화원은 부대 프로그램으로 한복 체험과 전통놀이, 한글 엽서 만들기 외 한국 음식을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시드니 현지 댄스그룹인 ‘Dal Light’가 케이팝 공연을 선보여 행사장 열기를 달구었다

박소정 문화원장은 “말하기 대회를 통해 참가자들의 한국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며 “이번 대회 참가자들처럼 자신이 좋아하는 한국 문화와 연계해 한국어를 공부하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
  1. 종합(한국어말하기 1).JPG (File Size:88.1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63 호주 시드니 도심 지역 주거지 개발 계획 ‘홍수’ 호주한국신문 15.07.23.
1062 호주 한국 국적 청년, 시드니 도심 성폭행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5.07.23.
1061 호주 커플 네 쌍 중 한 쌍 꼴로 ‘관계개선 상담’ 실패 호주한국신문 15.07.23.
1060 호주 12세 딸 결혼시킨 아버지에게 최소 6년 징역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9 호주 유명 화가에서 마약중독 강도 전락, 다시 화가로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8 호주 양창영 의원 주도로 ‘호주 미래포럼’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7 호주 광복 70주년 기념, ‘청소년 민족캠프’ 계획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6 호주 한국문화원 주관, ‘프리스타일 불고기 요리 경연’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5 호주 민주 평통 호주협의회 17기, 31일 출범식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4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워홀러 맞춤형’ 순회 영사 계획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3 호주 시드니 한인사진협회, 전시회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7.23.
1052 뉴질랜드 경찰, 6년 전 사라진 한국인 여성 수색에 현상금 3만 달러 걸어 file 굿데이뉴질랜.. 15.07.17.
1051 호주 건강과 행복을 위한 호주인의 레시피는? 호주한국신문 15.07.16.
1050 호주 ‘새 음주법’ 시행 이후 ‘시드니 아이콘 업소들’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9 호주 우수 학업성적 거둔 NSW 5개 초등학교는 어디?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8 호주 NSW 주 금연법 발효... 레스토랑, 펍 등 흡연 제한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7 호주 주택 임대료, 1995년 이래 성장속도 가장 느려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6 호주 시드니 빈집 화장실 안에 은닉한 기관총 발견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5 호주 NSW 주 남녀공학 선호 추세로 단일성별 학교 감소 호주한국신문 15.07.16.
1044 호주 IS 테러조직 가담 호주 의사에 ‘자격 정지’ 처분 호주한국신문 1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