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턴불 1).jpg

호주 대다수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을 감안할 때 낮은 임금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치 지도자들의 연봉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사진)의 연봉은 53만 달러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진 : aap

 

턴불 총리 연봉 53만 달러... OECD 국가 지도자 중 ‘최고’

선진국 노동자 평균 임금의 10배, 정치인 고임금 ‘도마’에

 

호주 노동자들의 실질임금 성장이 거의 정체 상태임에도 집권 여당 수장인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를 비롯해 정치인들의 연봉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턴불 총리는 OECD 국가 지도자 가운데 가장 높은 임금을 받고 있으며, 그의 연봉 수준은 선진국 노동자 평균 임금의 10배에 달한다고 지난 주 토요일(2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한 조사기관 자료를 인용해 전했다.

지난해 호주 독립기구인 공무원 급여심사위원회(Remuneration Tribunal)가 정치인들의 세비 2% 인상을 결정하면서 턴불의 연봉은 1만 달러 오른 현재 52만7,854달러를 받고 있다.

영국 기반의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G’의 분석에 따르면 턴불은 임금 면에서 48만3천 달러의 임금을 받는 알랭 베르세(Alain Berset) 스위스 대통령, 임기 첫해 40만 달러의 연봉이 책정됐던 도날드 트럼프(Donald Trump)를 앞선다.

뿐 아니라 그의 임금은 노동자 평균 임금 및 1인당 국내 총생산 비율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다른 소득계층과 비교해 턴불 총리보다 높은 임금 비율의 지도자는 멕시코의 엔리케 페냐 니에토(Enrique Pena Nieto) 대통령으로, 그의 연봉은 멕시코 임금체계에서 대다수 노동자가 받는 평균 임금의 10.8배에 달한다. 턴불 총리는 그 다음으로 호주 노동자 평균 임금의 10.14배로 분석됐으며 뉴질랜드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8.6배로 뒤를 잇는다.

턴불 총리의 연봉 수준을 비롯해 대다수 노동자 평균 임금을 비교한 이번 수치는 호주 중앙은행(RBA)이 역사적으로 낮은 임금성장이 예상된다고 경고한 이후 나온 것이다. 내년 5월 예정된 연방 총선을 앞두고 노동당이 내부적으로 호주인들의 생활비 상승을 막을 결정적 정책 필요성을 제기하는 가운데 연방 총리의 연봉이 도마에 오른 것이다.

집권 여당은 ‘소득세 감면’을 골자로 한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을 통해 낮은 임금성장의 영향을 상쇄하려 노력하고 있다.

현재 호주 노동자들의 임금인상은 제자리 상태이며 지난 한 해 동안의 생활비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올 3월까지 1분기 인플레이션은 1.9%를 기록했지만 민간 부문 임금은 이전과 같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런 반면 공공 부문 노동자 임금은 2.1% 오른 상황이다.

전반적으로 호주 정치인들은 다른 선진국과 비해 높은 임금 수준이며 민간 부문 임금 체계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우수한 인력을 끌어들이려 한다는 지적이다.

정치인들에 대한 높은 임금 책정은 지난 2011년 노동당 정부가 주도한 보고서에서 제안된 것으로, 당시 길라드(Julia Gillard) 정부는 의원들에게 무한정 무료 여행을 허용하는 ‘골드파스’(gold pass)를 폐지하는 대신 백벤처(backbencher. 각 정당의 주요 직책을 담당하지 않는 의원들)들에게 최대 50%의 연봉 인상을 법제화했다.

이로 인해 현재 집권 정부의 내각 장관(35만 달러), 빌 쇼튼(Bill Shorten. 37만6천 달러) 야당 대표 또한 앙겔라 메르켈(Angela Merkel)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에 비해 높은 보수를 받고 있다.

호주 증권거래소(Australian Securities Exchange. ASX) 이사장의 연봉은 475만 달러로 연간 8만 달러를 받는 호주 중간 노동자 임금의 60배 높은 임금 수준이다.

호주 독립기구인 급여심사위원회(The Remuneration Tribunal)는 지난 2013년에서 15년 사이 정치인들에게 2.4%의 인금인상을 허용했으며 2016년에는 2%, 지난해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보수를 올렸다. 이런 가운데 ASX 이사장 연봉은 2015-16년, 2016-17년 각 3.5%가 높아졌다.

이와 관련, 급여심사위원회는 “공무원들의 급여를 오랜 기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렇게 해야 이 중요한 직급에 필요한 자질을 가진 사람들을 유치하고 또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급여심사위원회는 매년 연봉 상승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호주 공공 서비스 및 외국의 공공 서비스 기관들에 대한 정부의 임금규제 정책에 대해서도 잘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턴불 1).jpg (File Size:35.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01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자주 위험에 처하는 해외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600 호주 가정폭력 문제 심각... 자살여성 5명 중 1명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9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8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7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6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4595 뉴질랜드 20대 영국 관광객 ‘옹벽에서 추락해 치료 중 사망” NZ코리아포.. 17.11.12.
4594 뉴질랜드 손버릇 나쁜 좀도둑 "저혈당 때문에 사리분별 못했다?" NZ코리아포.. 17.11.12.
4593 뉴질랜드 부두 내달리던 5살짜리 남아, 바다로 추락해 익사 NZ코리아포.. 17.11.12.
4592 뉴질랜드 차에 치인 반려견, 치료 없이 방치해 죽게 만든 20대 NZ코리아포.. 17.11.12.
4591 뉴질랜드 경찰 추격받는 도주차량 월 평균 300여대, 경찰 사례분석 중 NZ코리아포.. 17.11.12.
4590 뉴질랜드 10m나 구른 트럭, 행운의 운전자는 별 부상 없어 NZ코리아포.. 17.11.12.
4589 뉴질랜드 지난 한해동안 606명 청소년 자살 NZ코리아포.. 17.11.13.
4588 뉴질랜드 전기 자동차, 뉴질랜드 소비자 신뢰도 점점 높아져 NZ코리아포.. 17.11.13.
4587 뉴질랜드 “사람들 공격하는 까치, 이유는?” NZ코리아포.. 17.11.13.
4586 뉴질랜드 좌초된 범고래 살리고자 발벗고 나선 주민들 NZ코리아포.. 17.11.13.
4585 뉴질랜드 세계보건기구 WHO, 항생제 올바로 알기 주간 정해 NZ코리아포.. 17.11.15.
4584 뉴질랜드 스타일리스트 국제대회에서 최고상 받은 키위들 NZ코리아포.. 17.11.15.
4583 뉴질랜드 군인들까지 동원된 좌초된 범고래 살리기 성공해 NZ코리아포.. 17.11.15.
4582 뉴질랜드 뉴질랜드와 호주, 난민 수용에 대한 대담 나눠 NZ코리아포.. 17.11.15.
4581 뉴질랜드 내년도 임금 상승 기대, 소비 활동 늘어날 것으로... NZ코리아포.. 17.11.15.
4580 뉴질랜드 아던 총리, 대북한 제재 국사적 아닌 모든 방법 동원해야... NZ코리아포.. 17.11.15.
4579 뉴질랜드 공중에 떠 있는 식당이 오클랜드에서 선보인다. NZ코리아포.. 17.11.16.
4578 뉴질랜드 후진하던 차에 치인 한 살배기, 극적으로 목숨 건져 NZ코리아포.. 17.11.16.
4577 뉴질랜드 마오리 하카 공연단, 내년 4월 북한에서 있을 문화 축제에 방문 계획. NZ코리아포.. 17.11.16.
4576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주택매매 지난 한 해 동안 하락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11.16.
457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4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3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2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1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70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9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8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7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6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5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4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2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법안 승인까지의 단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4561 뉴질랜드 키위 어린이들, 불링이 가장 큰 고민거리 NZ코리아포.. 17.11.20.
4560 뉴질랜드 키위들이 갈망하는 직업은 어떤 직종일까? NZ코리아포.. 17.11.20.
4559 뉴질랜드 의도적인 공항보안 검색 회피 여성, 7편의 항공 연기돼 NZ코리아포.. 17.11.20.
4558 뉴질랜드 아시안 관광객 타우포에서 온천욕 하다 숨져... NZ코리아포.. 17.11.21.
4557 뉴질랜드 뉴질랜드, 2024년부터 3년간 무상 대학 교육 제도 도입. NZ코리아포.. 17.11.22.
4556 뉴질랜드 내년도 경제는 둔화되지만 후년의 경제는 바빠질 걸로 예상. NZ코리아포.. 17.11.22.
4555 뉴질랜드 10월까지 연간 이민자 7만2천명 입국, 중국 출신이 가장 많아 NZ코리아포.. 17.11.23.
4554 뉴질랜드 한국, NZ 남자농구 “예측 불가의 맞대결 펼친다” NZ코리아포.. 17.11.23.
4553 뉴질랜드 뉴질랜드 15세 학생들 그룹 스터디에서 세계 10대 안에 들어. NZ코리아포.. 17.11.23.
4552 뉴질랜드 뉴질랜드 찾는 방문객 수 최근 5년 동안 계속해서 기록 갱신. NZ코리아포.. 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