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국민 지지는 미국민들의 과제”

 

 

Newsroh=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세계적 석학 노엄 촘스키 교수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취소를 발표했을 때 연대성명(連帶聲明)을 발표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6d858d45314c80b3ac09df4e6d83acf3_20180312163906_dgpdhvvw.jpg

www.en.wikipedia.org

 

 

국제정치 전문가인 노스 이스턴 대학교 시몬천 박사는 미주한인네트워크 JNC-TV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5월 24일 미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회담 취소를 발표했을 때, 세계적인 석학 노엄 촘스키 교수에게 긴급히 연대 성명에 동참해줄 것을 부탁했고 이를 흔쾌히 수락했다고 전했다.

 

당시 한국에서 DMZ 여성평화걷기 행사에 참여하고 있던 시몬천 박사는 북미 회담 취소 소식을 접한 후 DMZ 여성평화걷기 행사 기획팀과 함께 주한미대사관을 찾아가 미국에 북미 회담 취소를 재고해 줄 것을 요청했고,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긴급 대책 회의를 가졌다.

 

이어 노엄 촘스키 교수에게 이메일로 북미 정상 회담 지지 연대 성명을 부탁했으며, 촘스키 교수도 곧바로 연대 성명을 보내주었다. 촘스키 교수는 “비슷한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는데, 당시 수많은 진보단체들이 촘스키 교수에게 연대 성명을 요구하는 긴급한 상황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촘스키 교수는 성명에서 “판문점 선언은 역사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선언은 남한과 북한이 자신들의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미국으로 대변되는 국제 사회가 선언의 실천 과정을 지지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는 “불행하게도 미국의 반응은 혼재되어 있는 상태”라고 지적하고 “회담의 취소가 회담 과정의 종료는 아니더라도 위험한 일이다. 남과 북은 결단력과 선의를 가지고 선언문에 명시된 계획들을 진전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촘스키 교수는 “이 역사적인 노력을 하는 남한과 북한 국민을 지지해 주는 것이 미국민들의 과제”라며, “이것은 성공할 수 있다. 한반도와 우리 모두의 안녕(安寧)을 위해 반드시 성공해야만 한다”고 성명서를 마무리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촘스키 교수 연대 성명 전문 (JNC TV 번역팀)

 

The April 27 Declaration of the two Koreas was a historic event, which promises a bright future for the people of Korea. It calls for the two Koreas to settl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accord” and lays out a careful schedule to proceed, something quite new.

 

4월 27일 남한과 북한의 판문점 선언은 역사적인 사건이며 남과 북 국민들의 밝은 미래를 약속한다. 이 선언은 남한과 북한이 자신들의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앞으로 진행될 아주 새로운 일에 대한 신중한 계획을 제시한다.

 

It also calls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eaning Washington) to support this process. Unfortunately, the signals from Washington are at best mixed.

 

이 선언은 또한 미국으로 대변되는 국제사회가 선언의 실행 과정을 지지할 것을 요청한다. 불행하게도 미국으로부터의 신호는 아무리 낙관적으로 봐도 혼재되어 있다.

 

National Security Council advisor John Bolton, who has called for bombing North Korea at once, and Vice-President Mike Pence both invoked the “Libya model,” knowing full well its import.

 

당장 북한을 폭격할 것을 요구해온 국가안보 보좌관 존 볼턴과 부통령 마이크 펜스는 "리비아 모델"을 언급했는데, 그들은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대단히 잘 알고 있다.

 

President Trump cancelled the Singapore summit a few hours after North Korea had destroyed its main testing site as an important gesture of conciliation. But these are pitfalls, not termination of the process. With determination and good will the two Koreas can move forward with the plans outlined in the Declaration.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화해의 중요한 제스처로 자신들의 주요 핵실험장을 폐쇄하고 나서 몇 시간 후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취소했다. 이것은 회담 과정의 종료는 아니더라도 위험한 일이다. 남한과 북한은 결단력과 선의를 가지고 선언문에 명시된 계획들을 진전시킬 수 있다.

 

It is the task of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to support them in this historic endeavor and to ensure that their own government does not undermine or in any way impede the process. That can succeed. It must succeed, for the welfare of Korea, and all of us.

 

이 역사적인 노력을 하는 남한과 북한 국민을 지지해 주고 남북한 정부가 선언의 실행 과정을 어떤 방식으로든 약화시키거나 정체시키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미국민들의 과제이다. 이것은 성공할 수 있다. 한반도와 우리 모두의 안녕을 위해 반드시 성공해야만 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17 캐나다 밴쿠버국제공항 대규모 확장 공사 착공 밴쿠버중앙일.. 18.06.19.
6116 캐나다 밴쿠버시 공유자전거 서비스 확대 밴쿠버중앙일.. 18.06.19.
6115 캐나다 토피노 인근 선박 전복 3명 실종 밴쿠버중앙일.. 18.06.19.
6114 캐나다 UCP케니 리더, “온타리오와 탄소세 반대 연대 가능” CN드림 18.06.19.
6113 캐나다 트럼프 "캐나다인들은 탈세범...신발도 밀수해" 밴쿠버중앙일.. 18.06.21.
6112 캐나다 4월 캐나다를 찾은 한국인 2만 5000명 밴쿠버중앙일.. 18.06.21.
6111 캐나다 곰이 사람 주거지 왔나, 사람이 곰의 거주지에 갔나? 밴쿠버중앙일.. 18.06.21.
6110 미국 美이민자 영주권 인터뷰 갔다 추방 위기 뉴스로_USA 18.06.21.
6109 미국 트럼프 ‘한미군사훈련중단’ 한일압박 뉴스로_USA 18.06.21.
6108 미국 미주한인단체들, 미 의원들에 '북미정상회담 지지' 호소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1.
6107 미국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기프티드 온리’ 영재학교 문 연다 코리아위클리.. 18.06.21.
6106 미국 플로리다 지방정부들 세수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8.06.21.
6105 미국 마이애미지역 여성, 산책 중 악어에 참변 코리아위클리.. 18.06.21.
6104 미국 ‘마크롱보다 김정은 좋아’ 백악관 사진교체 file 뉴스로_USA 18.06.22.
6103 미국 "싱가포르 회담은 모두를 승자로 만들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18.06.22.
6102 캐나다 타이타닉의 잭과 로즈의 사랑과 슬픔을 체험하는 시간 밴쿠버중앙일.. 18.06.23.
6101 캐나다 캐나다 맥주 '기준' 바뀐다 밴쿠버중앙일.. 18.06.23.
6100 캐나다 한국 자동출입국심사대 도입 10년…1억명 넘게 이용 밴쿠버중앙일.. 18.06.23.
6099 캐나다 한남슈퍼, 경북 명품 특산물장터 행사 밴쿠버중앙일.. 18.06.23.
» 미국 노엄 촘스키 ‘북미정상회담 지지연대성명’ file 뉴스로_USA 18.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