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이민자 1).jpg

지난 2017년 마지막 분기, 12개월 이상 체류했던 이들의 호주 이탈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에는 해외유학생, 임시 취업비자 소지자가 절반 정도이지만 호주 시민권을 가진 이들의 이탈, 즉 역이민 수도 3분의 1에 달하고 있다. 사진 : Twitter / Tyson Armstrong.

 

12개월 이상 거주자 이탈, 크게 증가... ‘호주 시민’도 상당 비율

 

해외에서 유입되는 이민자들이 호주 인구 성장의 중요한 축이 되고 있는 가운데, 12개월 이상 거주했던 이들의 호주 이탈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의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 자료는 이를 집계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거주민들이 호주를 떠났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난 주 토요일(23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ABS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마지막 분기 3개월간 호주를 떠난 이들은 8만5천 명에 달했다. 이는 2016년 같은 기간에 비해 9천 명이 많은 수치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은 진단되지 않았다.

다만 ABS 집계는 16개월 이전을 기준으로 12개월 이상 호주에 거주했던 이들을 집계하므로 여기에는 해외 유학생이나 취업비자를 소지하고 거주했던 이들이 포함된 것이다.

ABS의 인구통계 담당 책임자인 앤서니 그럽(Anthony Grubb) 국장은 “이 수치는 유학생 이탈이 상당히 늘어난 증거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는 호주 시민(citizenship)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최근 수년 사이 호주를 이탈한 이들 중 호주 시민권 소지자는 3분의 1에 달하며 절반가량이 해외 유학생이나 워킹홀리데이 메이커, 그 외 457비자 등 임시 취업자들이었다.

매콰리대학교 인력개발센터(Centre for Workforce Futures)의 닉 파(Nick Parr) 교수는 9-12월 사이의 늘어난 이탈 수에 대해 “대학 학기가 끝나는 무렵, 호주를 떠나는 학생들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는 있으나 명확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파 교수는 이어 “(호주 이탈 수가 집계되기 이전) 임시 비자로 호주에 입국하는 이들이 많았고, 이들이 장기간 체류하다 떠남으로써 이탈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연방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호주에 등록한 해외 유학생은 5년 전 30만 명에서 지난 2월에는 54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파 교수는 호주를 떠나는 이들이 늘어난 데에 또 다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과거에 비해 영주비자 발급이 크게 감소하고 임시 취업비자 소지자에게 영주비자를 제공하는 기업체의 고용주 지명 기준이 강화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4월, 턴불 정부는 광범위한 이민개혁의 일환으로 영주비자 신청 직업군을 대폭 줄인 바 있다.

호주 이민연구소(Migration Institute of Australia)의 린 스티븐스(Leanne Stevens) 부회장은 “이런 변화들이 제한적 명확성으로 실행되었다”면서 “이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호주와 비슷한 경제 수준을 가진 국가 출신들은 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보다 나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어쩌면 이들 중 일부는 호주에서의 불확실한 미래를 원치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연방 정부는 올 회계연도(2017-18년) 해외 유입 이민자 수용을 약 2만 명 줄인다는 계획이다. 2017년 마지막 분기, 호주 거주자들의 이탈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은 이전 연도에 비해 호주로 유입된 순 이민자 수가 약간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 시기별 호주 유입-이탈자 수

(기간 : Arrivals / Departures)

-2007 Q4 : 116,400 / 60,400

-2008 Q4 : 132,200 / 59,100

-2009 Q4 : 107,600 / 65,900

-2010 Q4 : 107,800 / 69,400

-2011 Q4 : 116,900 / 66,300

-2012 Q4 : 119,700 / 68,800

-2013 Q4 : 114,100 / 76,000

-2014 Q4 : 113,000 / 76,300

-2015 Q4 : 116,900 / 77,600

-2016 Q4 : 129,400 / 75,900

-2017 Q4 : 120,600 / 84,700

Source: ABS Get the data Embed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이민자 1).jpg (File Size:91.0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51 뉴질랜드 뉴질랜드 보험 업계, 무법천지 NZ코리아포.. 18.09.13.
3250 뉴질랜드 탄산 음료 등에 부과하는 Sugar Tax 뉴질랜드 체택할까? NZ코리아포.. 18.09.13.
324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템페(Tempa) 소재 코티지, ‘부동산 활황’ 당시 가격에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8 호주 가족 나들이 제격... ‘카브라마타 추석 페스티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7 호주 젊은이들, ‘내집 마련’ 하려면 먼저 자동차부터 버려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6 호주 60th anniversary of the iconic Australian 'Sunliner' caravan...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5 호주 주택 판매자들, 경매보다 중개업체 통한 매매 ‘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4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2)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3 호주 호주인들, 포키-경마 등으로 연간 240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2 호주 뷰티산업 붐, 경제 불황도 빗겨가는 ‘외모 가꾸기’ 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1 호주 연령별 호주 여성들, ‘자기만의 시간’은 어느 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40 호주 IPART, 카운슬 비용 인상... 에너지-건설비용 상승 이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39 호주 시드니 경전철, ‘랜드윅-무어파크 구간’ 낮 시간 시험 운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38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정부 위기? ‘와가와가’ 보궐선거 ‘과반득표’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237 뉴질랜드 프린터 토너 카트리지에 마약 숨겼던 캐나다인, 8년 반 징역형 NZ코리아포.. 18.09.13.
3236 뉴질랜드 도주 차량 추격 중 경찰차와 충돌해 다리 부러진 경찰관 NZ코리아포.. 18.09.13.
3235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시장, 봄이 되며 반등의 기미 NZ코리아포.. 18.09.14.
3234 뉴질랜드 일부 요양소, 유지 관리 상태 기준에 못 미쳐... NZ코리아포.. 18.09.14.
3233 뉴질랜드 뉴질랜드 주택 가격, OECD국가 중 두번째로 과대 평가 NZ코리아포.. 18.09.17.
3232 뉴질랜드 비행기 매니아, 자신의 뒷뜰에 오래된 에어 뉴질랜드 항공기를... NZ코리아포.. 18.09.17.
3231 뉴질랜드 오클랜드 와이헤케섬 “2025년까지 천적없는 섬으로 만든다” NZ코리아포.. 18.09.17.
3230 뉴질랜드 “건물 내진용 기초로 폐타이어 사용한다” NZ코리아포.. 18.09.17.
3229 뉴질랜드 오클랜드, 마이크로 칩 없는 고양이 안락사 NZ코리아포.. 18.09.18.
3228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 구입 금지, 확실한 효과 있다고... NZ코리아포.. 18.09.18.
3227 뉴질랜드 음주 비행? 알코올 테스트 걸려 집으로 보내진 조종사 NZ코리아포.. 18.09.18.
3226 뉴질랜드 광고 깃발 매단 채 도심 내달렸던 구조견, 하루 만에 인터넷 스타로 등장 NZ코리아포.. 18.09.19.
3225 뉴질랜드 범죄 등으로 호주에서 추방된 뉴질랜더 14명, 오클랜드 통해 입국해 NZ코리아포.. 18.09.19.
3224 뉴질랜드 영리한 앵무새 키아 “막대기 이용해 덫에서 먹이 빼먹는다” NZ코리아포.. 18.09.19.
3223 뉴질랜드 “세계 최초로 인정됐던 뉴질랜드의 여성 참정권, 125주년 맞이해” NZ코리아포.. 18.09.19.
3222 뉴질랜드 NZ정부, 연간 난민 수용 쿼터 1,500명으로 늘린다고... NZ코리아포.. 18.09.20.
3221 뉴질랜드 말기 암 환자 검사결과 1년 만에...IT 시스템에서의 문제 NZ코리아포.. 18.09.20.
3220 뉴질랜드 클랜드 시민들, 앱으로 e-스쿠터 대여 NZ코리아포.. 18.09.20.
32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주택시장 활기 찾는 봄 시즌, 낙찰 가격 다소 ‘꿈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8 호주 캔버라 의사당, 30주년 기념 ‘오픈 데이’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7 호주 적정 가격 주택-도시 미래 위해 서부 지역 개발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6 호주 ‘스크린’에 매달리는 청소년들, ‘신체활동’ 극히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5 호주 ‘시드니 보이스 하이’, 남녀공학 전환... 여학생 맞이할 준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4 호주 Emmys 2018... 올해 최고의 ‘미드’와 그 주인공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3 호주 8 surprising facts about how we spend our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2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계획 단계에서부터 문제점 제기됐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1 호주 괴롭히는 상사, 저주인형으로 보복해 정의 회복하는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10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09 호주 ‘학사’ 학위가 주는 임금 혜택, 갈수록 줄어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08 호주 모리슨 총리 리더십, 빌 쇼튼에 앞서지만 턴불보다는 약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3207 호주 딸기 속 바늘 범죄 – 호주 전역 확산 우려 톱뉴스 18.09.22.
3206 호주 호주 8월 실업률 5.3%...안정세 유지 톱뉴스 18.09.22.
3205 호주 말콤 턴불 ‘뒤끝 작렬’…피터 더튼 끌어내리기 움직임 톱뉴스 18.09.22.
3204 호주 공정근로 옴부즈맨, 도미노 피자 저임금 의혹 전방위 조사 확대 톱뉴스 18.09.22.
3203 호주 WWF “NSW 코알라, 2050년 멸종위기 직면” 경고 톱뉴스 18.09.22.
3202 호주 인구 고령화 속 장년층 홈리스 급증 톱뉴스 18.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