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프로세스가 주 승리 요인… 보수 양 기둥 경제, 안보 이슈 사라져

 

(뉴욕=코리아위클리) 현송-박윤숙 기자 = <아시안코레스폰던트>가 지난 18일 한국의 6.13 지방선거에서 대북 유화 국면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낸 문재인 정부가 대승을 거두었다고 보도했다.

 

<아시안코레스폰던트>는 "한국 보수당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문재인 물결이 지방 선거를 휩쓸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80 %에 육박하는 문재인 지지율은 전례가 없는 수준이며, 이는 전통적으로 우위를 차지했던 보수 자유한국당과 최근에 형성된 중도우파 바른미래당에 전례 없는 위기를 가져 왔다고 전했다.

 

또한, 선거 후 여파로 양측 대표의 사퇴를 전하며 높은 문재인 지지율이 문재인 물결의 원인임을 시사했다.

 

<아시안코레스폰던트>는 민주당이 광역단체장 17개 중 14곳에서 승리를 했고, 보수 중심지인 경남과 대구, 제주시를 제외한 곳을 휩쓸었다며, 민주당이 압승한 선거 결과를 소개했다.

 

국회의원 보궐 선거에서 민주당이 12곳 중 11곳을 승리하여 총 130 의석이 되었는데, 25석을 확보한 소수 좌파 정당들의 의석까지 합치면, 민주당은 의회에서 법안을 효과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다수 의석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특히 진보진영이 불모지였던 영남에서 승리한 사실을 주목했다. 확고한 지역주의하에서 진보진영이 영남에서 단 한 곳 만이라도 이긴다면, 그것은 기념할 만한 사건으로 여겨지는데, 민주당은 떠오르는 스타 김경수의 출현으로 경남도지사직을 차지했고, 대구를 제외한 이 지역의 모든 시장직을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것이 지역 보수주의의 종말을 알린 것인지, 아니면 보다 신뢰할 만한 보수당이 언젠가 그들의 지역 기반을 되찾을 수 있을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런 광범위한 정치적 승리를 하나의 현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가장 즉각적인 요인은 문 대통령의 대북 평화 프로세스라고 말했다.

 

특히 평화 통일 프로세스에서 문 대통령이 보수의 가장 강력한 무기였던 '북한 문제의 냉전적 해결'을 무력하게 만들었다고 했다.

 

탄핵되어 물러난 박근혜 대통령 집권 동안 경제에 대한 신뢰성이 사라지고, 안보에 대한 논쟁을 잃어버린 것은 한국 보수의 양 기둥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현 보수 몰락의 근원은 탄핵된 박 전 대통령의 몰락이 원인이라고 분석했고, 그 이유로 박 정부의 투명성 부족, 부패, 여론에 대한 무관심을 들었다. 그리고, 지난 18개월 동안 보여주었던 박 정부에 대한 성의 없는 비난, 당의 분열, 국회에서의 대치,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 홍준표의 융통성과 겸손함의 부재를 지적했다.

 

<아시안코레스폰던트>는 이번 선거는 정치 스펙트럼이 반대인 두 정당의 성급한 결합으로 탄생한 신생정당인 바른 미래당에 가장 처참했다고 했다. 바른미래당이 정치적 정체성을 찾는데 고전한 것을 그 이유로 들었다. 유승민 당대표의 사퇴와 서울시장 선거에서 3등으로 끝난 안철수의 결과는 이 정당이 계속 존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보수는 가까운 미래에 정치적 대화에서 변두리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기회를 새로운 지도자 체제하에서 장기적인 재건 프로젝트의 기회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5년 임기 중 막 일 년이 지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번 지방선거는 외교적 국내적 아젠다 실행을 위해 필요한 정치적 도구의 접근이 가능하게 했다고 해서, 앞으로 문 대통령의 국정 운영이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음을 암시했다. 

 

  • |
  1. newspro.jpg (File Size:115.9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880 기타 베트남은행들 예금 금리 대폭 인상 file 라이프프라자 22.06.20.
10879 기타 영국군 장군, 영국군대 '유럽에서의 전투'에 대비 file 라이프프라자 22.06.20.
10878 캄보디아 캄폿 해안가, 강가 불법 건축물 철거 조치 뉴스브리핑캄.. 22.06.18.
10877 캄보디아 제11회 캄보디아 국제영화제, 6월 28일부터 7월 3일까지 영화 150편 상영 뉴스브리핑캄.. 22.06.18.
10876 기타 더 빠른 노화현상을 만드는 아침 식사 습관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8.
10875 기타 미국 연준 금리 인상, 베트남에 미치는 영향 있나?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8.
10874 기타 풀리스티렌 플라스틱을 먹을 수 있는 유충 발견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7.
10873 기타 북한, 코로나19상황 새로운 전염병 발생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7.
10872 기타 코로나 후유증 어린이 “원인 불명 간염” 발견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7.
10871 기타 미국 연준, 기준금리 0.75%p 인상 ‘초강수’ 뒀다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7.
10870 캄보디아 켐 소카 전 제1야당총재 , 삼랑시와 결별 공식 선언 뉴스브리핑캄.. 22.06.16.
10869 캄보디아 캄보디아 신발 수출액 올 1~5월 7억 달러 돌파 뉴스브리핑캄.. 22.06.16.
10868 캄보디아 야당측 당선자, 냉대에도 화합 다짐 뉴스브리핑캄.. 22.06.16.
10867 캄보디아 캄보디아 국제영화제 CIFF 15일 기자회견, 2년동안 기다린 영화팬 만났다 뉴스브리핑캄.. 22.06.16.
10866 캄보디아 메콩강 거대 송어 “무려 300kg” 뉴스브리핑캄.. 22.06.16.
10865 기타 호치민시 수족구병·뎅기열 환자 급증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6.
10864 기타 호치민 시 30개 이상의 불법 항구 운영 file 라이프프라자 22.06.16.
10863 캄보디아 캄보디아, 6월 중순 전국적 뇌우 예보 뉴스브리핑캄.. 22.06.15.
10862 캄보디아 캄보디아 보건부, 동성애자 원숭이두창 확산 경고 뉴스브리핑캄.. 22.06.15.
10861 캄보디아 캄보디아 증권거래규제국·통신규제국 MoU 체결, 기업 상장 독려 뉴스브리핑캄.. 22.06.15.